보건교사는 학교의 유일한 의료인으로써 상시적 응급처치 뿐만 아니라 급ㆍ만성질환 학생 관리, 감염병 예방사업을 포함한 학교보건업무와 학생의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위한 보건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보건업무 수행과정에서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응급상황을 적절히 판단하여 대처하며, 효율적인 보건수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이 필요하다. 전문직관이 높은 보건교사들은 스스로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하며 보건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건강한 학교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적절한 사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보건교사의 특수한 업무환경과 직업적 특성을 반영한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의 혼종모형을 이용한 ...
보건교사는 학교의 유일한 의료인으로써 상시적 응급처치 뿐만 아니라 급ㆍ만성질환 학생 관리, 감염병 예방사업을 포함한 학교보건업무와 학생의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위한 보건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보건업무 수행과정에서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응급상황을 적절히 판단하여 대처하며, 효율적인 보건수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이 필요하다. 전문직관이 높은 보건교사들은 스스로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하며 보건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건강한 학교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적절한 사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보건교사의 특수한 업무환경과 직업적 특성을 반영한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의 혼종모형을 이용한 개념분석을 통해 도구의 초기문항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이론적 단계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78개의 문헌을 분석하였고, 두 번째 현장작업 단계에서는 12명의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하여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의 개념과 속성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최종분석 단계에서는 이론적 단계와 현장작업 단계를 비교 분석하여 개념의 속성과 차원을 확인하고, 예비문항 40개를 도출하였다. 예비문항은 전문가 11명과 전문가 5명에 의해 1차와 2차 내용 타당도 검정과정을 거친 후 15명의 보건교사에 의한 예비조사를 거쳐 37개의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위해 전국의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12일까지 보건교사들이 주로 이용하는 홈페이지인 학교 보건교사회와 참보건연구회의 게시판을 통해 270부의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asch 평정척도모형을 적용하여 응답범주의 적절성을 검토하여 4점 Likert 형태로 결정하였으며, 문항분석을 통해 30문항을 선정하고,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사각회전 방식인 오블리민 방식을 이용한 최소 잔차 추출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은 ‘전문직 책무성’(11문항), ‘자율성’(3문항), ‘역량개발’(3문항), ‘사회적 인정’(3문항)이며, 전체 설명변량은 56.75%였다. 도구의 요인별 변별타당도는 하부요인 간의 상관계수가 각 요인의 신뢰 계수보다 낮게 나타나 요인별 변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속성-다문항 매트릭스 분석 결과 하부척도와 겹치는 문항을 통제한 후 계산된 상관계수가 모두 .4 이상으로 나타나 문항의 수렴타당도의 증거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이 속한 하부척도의 상관계수의 크기가 다른 하부척도의 상관계수의 크기보다 높은 문항이 90%로 나타나 문항의 판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차이가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두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소진 점수의 상위 25% 그룹과 하위 25% 그룹 간의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점수를 비교한 결과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이 소진 하위 25%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냈으며(t=-4.491, p<.001), 하부 요인들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발된 보건교사 전문직관 도구와 간호사의 전문직관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점 및 4개의 요인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도구의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소진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점 및 4개의 요인 모두 보건교사의 전문직관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도구의 판별 타당도가 검정되었다.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932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2주 후에 시행한 재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 .604, 급내 상관계수 .964로 나타나 도구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도구개발과정을 거쳐 ‘전문직 책무성’, ‘자율성’, ‘역량개발’, ‘사회적 인정’의 4개 요인, 20문항, 4점 척도의 자가보고형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보건교사의 전문직관과 관련된 연구, 교육, 실무, 정책 결정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건교사는 학교의 유일한 의료인으로써 상시적 응급처치 뿐만 아니라 급ㆍ만성질환 학생 관리, 감염병 예방사업을 포함한 학교보건업무와 학생의 건강생활 습관 형성을 위한 보건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보건업무 수행과정에서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응급상황을 적절히 판단하여 대처하며, 효율적인 보건수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이 필요하다. 전문직관이 높은 보건교사들은 스스로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하며 보건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건강한 학교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적절한 사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보건교사의 특수한 업무환경과 직업적 특성을 반영한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의 혼종모형을 이용한 개념분석을 통해 도구의 초기문항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이론적 단계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78개의 문헌을 분석하였고, 두 번째 현장작업 단계에서는 12명의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하여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의 개념과 속성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최종분석 단계에서는 이론적 단계와 현장작업 단계를 비교 분석하여 개념의 속성과 차원을 확인하고, 예비문항 40개를 도출하였다. 예비문항은 전문가 11명과 전문가 5명에 의해 1차와 2차 내용 타당도 검정과정을 거친 후 15명의 보건교사에 의한 예비조사를 거쳐 37개의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위해 전국의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12일까지 보건교사들이 주로 이용하는 홈페이지인 학교 보건교사회와 참보건연구회의 게시판을 통해 270부의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asch 평정척도모형을 적용하여 응답범주의 적절성을 검토하여 4점 Likert 형태로 결정하였으며, 문항분석을 통해 30문항을 선정하고,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사각회전 방식인 오블리민 방식을 이용한 최소 잔차 추출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은 ‘전문직 책무성’(11문항), ‘자율성’(3문항), ‘역량개발’(3문항), ‘사회적 인정’(3문항)이며, 전체 설명변량은 56.75%였다. 도구의 요인별 변별타당도는 하부요인 간의 상관계수가 각 요인의 신뢰 계수보다 낮게 나타나 요인별 변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속성-다문항 매트릭스 분석 결과 하부척도와 겹치는 문항을 통제한 후 계산된 상관계수가 모두 .4 이상으로 나타나 문항의 수렴타당도의 증거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이 속한 하부척도의 상관계수의 크기가 다른 하부척도의 상관계수의 크기보다 높은 문항이 90%로 나타나 문항의 판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차이가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두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소진 점수의 상위 25% 그룹과 하위 25% 그룹 간의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점수를 비교한 결과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이 소진 하위 25%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냈으며(t=-4.491, p<.001), 하부 요인들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발된 보건교사 전문직관 도구와 간호사의 전문직관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점 및 4개의 요인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도구의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소진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점 및 4개의 요인 모두 보건교사의 전문직관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도구의 판별 타당도가 검정되었다.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932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2주 후에 시행한 재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 .604, 급내 상관계수 .964로 나타나 도구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도구개발과정을 거쳐 ‘전문직 책무성’, ‘자율성’, ‘역량개발’, ‘사회적 인정’의 4개 요인, 20문항, 4점 척도의 자가보고형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보건교사의 전문직관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보건교사의 전문직관과 관련된 연구, 교육, 실무, 정책 결정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Health teachers are the only medical personnel in the school who carry out regular first aid, manage students with acute and chronic diseases, help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provide health education for school health services and the formation of student health life habits. In the midst of va...
Health teachers are the only medical personnel in the school who carry out regular first aid, manage students with acute and chronic diseases, help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provide health education for school health services and the formation of student health life habits. In the midst of various and complex school situations, the perception of health teachers is low and there is an emergence of identity confusion of health teachers, despite the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health service field to be handled by health teachers and the corresponding expertise of health teachers. Health teachers with higher professionalism have greater job satisfaction and skills, which allow them to prioritize their work, deal with emergencies, and provide efficient health services, all of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ent health outcomes. Nevertheless, there are currently no basic tools to measure the professionalism of health teachers with this meaning and significance in our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health teachers' Professionalism that reflect the special work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alth teachers. This study derived the initial questions of the tool through conceptual analysis using a hybrid model of Schwartz-Barcott, & Kim (2000). In the first theoretical stage, 78 literatur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 the second field work stag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health teachers to confirm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the health teacher's profes- sionalism. In the third final analysis stage, the theoretical stage and the field work st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attributes and dimensions of the concept, and 40 preliminary questions were drawn. After complet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content validity tests by 11 experts and 5 experts, 37 items were completed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by 15 health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tool, 270 survey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2, 2019 through the School Health Teachers' Association’s bulletin board and the True Health Research Council’s website, which is mainly used by health teachers. By applying the Rasch Equilibrium Scale Model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response category to form a 4-point Likert, 30 items were selected through question analysi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inimum residual extraction method of the oblimin method, which is a square rotation metho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The factors extracted were "professional accountability" (11 questions), "autonomy" (3 questions), "competency development" (3 questions), and "social recognition" (3 questions), with the total explanatory variance of 56.75%. The discriminant validity for each factor of the tool was found to have a discriminant validity for each factor becaus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ub-factors was lower than the confidence factor for each factor. The multitrait-multiitem matrix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rrelation calculated after controlling the question overlapped with the lower scale was greater than .4, indicating that the evidence of convergence of the questions was sufficient. And 90% of the question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n the subscale to which the questions belong was higher than the siz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other subscales, indicating that the items had discriminant validity. For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that are expected to show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ism of health teachers, the professionalism scores of health teachers between the top 25% group and the bottom 25% group of the exhaustion score showed that the professional views of health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ttom 25% group (t=-4.491, p<.001), with all of the sub-factors also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the exhausting tool, the total score and all four fact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rofessionalism of the health teacher,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tool was tested.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value was very high at .932, and the retest reliability with the retested tool after 2 weeks was shown a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604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964, confirming the stability of the tool. Through the tool development process as described above, four factors of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utonomy' 'competency development' and 'social recognition,' were developed, in addition to a self-report of 20 questions and 4-point scale, a tool for measuring professionalism for health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larify the concept of health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mprove the perception of health teacher's values. By measuring the degree of professionalism of a health teacher using the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research, education, practice, and policy decision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the health teacher in the future.
Health teachers are the only medical personnel in the school who carry out regular first aid, manage students with acute and chronic diseases, help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provide health education for school health services and the formation of student health life habits. In the midst of various and complex school situations, the perception of health teachers is low and there is an emergence of identity confusion of health teachers, despite the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health service field to be handled by health teachers and the corresponding expertise of health teachers. Health teachers with higher professionalism have greater job satisfaction and skills, which allow them to prioritize their work, deal with emergencies, and provide efficient health services, all of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ent health outcomes. Nevertheless, there are currently no basic tools to measure the professionalism of health teachers with this meaning and significance in our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health teachers' Professionalism that reflect the special work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alth teachers. This study derived the initial questions of the tool through conceptual analysis using a hybrid model of Schwartz-Barcott, & Kim (2000). In the first theoretical stage, 78 literatur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 the second field work stag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health teachers to confirm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the health teacher's profes- sionalism. In the third final analysis stage, the theoretical stage and the field work st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attributes and dimensions of the concept, and 40 preliminary questions were drawn. After complet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content validity tests by 11 experts and 5 experts, 37 items were completed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by 15 health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tool, 270 survey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2, 2019 through the School Health Teachers' Association’s bulletin board and the True Health Research Council’s website, which is mainly used by health teachers. By applying the Rasch Equilibrium Scale Model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response category to form a 4-point Likert, 30 items were selected through question analysi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inimum residual extraction method of the oblimin method, which is a square rotation metho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The factors extracted were "professional accountability" (11 questions), "autonomy" (3 questions), "competency development" (3 questions), and "social recognition" (3 questions), with the total explanatory variance of 56.75%. The discriminant validity for each factor of the tool was found to have a discriminant validity for each factor becaus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ub-factors was lower than the confidence factor for each factor. The multitrait-multiitem matrix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rrelation calculated after controlling the question overlapped with the lower scale was greater than .4, indicating that the evidence of convergence of the questions was sufficient. And 90% of the question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n the subscale to which the questions belong was higher than the siz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other subscales, indicating that the items had discriminant validity. For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that are expected to show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ism of health teachers, the professionalism scores of health teachers between the top 25% group and the bottom 25% group of the exhaustion score showed that the professional views of health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ttom 25% group (t=-4.491, p<.001), with all of the sub-factors also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the exhausting tool, the total score and all four fact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rofessionalism of the health teacher,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tool was tested.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value was very high at .932, and the retest reliability with the retested tool after 2 weeks was shown a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604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964, confirming the stability of the tool. Through the tool development process as described above, four factors of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utonomy' 'competency development' and 'social recognition,' were developed, in addition to a self-report of 20 questions and 4-point scale, a tool for measuring professionalism for health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larify the concept of health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mprove the perception of health teacher's values. By measuring the degree of professionalism of a health teacher using the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research, education, practice, and policy decision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the health teacher in the future.
Keyword
#보건교사 전문직관 도구 개발 혼종모형 Health teacher Professionalism Scale development Hybrid model
학위논문 정보
저자
권오윤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지도교수
박경숙
발행연도
2020
총페이지
v, 250 p.
키워드
보건교사 전문직관 도구 개발 혼종모형 Health teacher Professionalism Scale development Hybrid mode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