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으로 인성교육이 강조되는 요즘,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의 역할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담임교사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심지어 담임교사를 선호하지 않아 ‘담임교사 기피 현상’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가 가지는 경험적 의미, 그리고 정책적 대처방안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의 틀을 작성하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질문하여 심층 면담한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함으로써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어려움을 대처하는 실질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심층면담을 통해 전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경험적 의미를 분석하고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적 ...
사회적으로 인성교육이 강조되는 요즘,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의 역할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담임교사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심지어 담임교사를 선호하지 않아 ‘담임교사 기피 현상’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가 가지는 경험적 의미, 그리고 정책적 대처방안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의 틀을 작성하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질문하여 심층 면담한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함으로써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어려움을 대처하는 실질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심층면담을 통해 전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경험적 의미를 분석하고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적 해결방안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이 많이 강조하고 언급하는 순서에 따라 의미화하여 범주화시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첫째, ‘턱없이 부족한 시간’, ‘많은 학생 수로 인해 집중할 수 없는 고충’, ‘가정교육과 사회와의 부조화’,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비민주적 의사결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턱없이 부족한 시간’은 교재 연구와 수업 시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본업인 가르치는 일을 하는 교사로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말한다. ‘많은 학생 수로 인해 집중할 수 없는 고충’은 교사는 단 한명 뿐인데 많은 학생들이 동시에 관심이 필요한 상황으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가정교육과 사회와의 부조화’는 교실에서 담임교사가 아무리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교육을 한다고 하더라도 가정에서 제대로 지도가 되지 않거나 사회에서 그 중요성을 간과할 때 생기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는 지나친 형식주의, 담임도 업무의 한 부분이라는 점, 비전문가로서의 어려움, 교육계의 안전, 보신주의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비민주적 의사결정’은 담임교사의 업무가 업무의 특성상 긴박하게 이루어질 때가 많아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관리자 위주의 하향식 의사결정 구조로 인해 생기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로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가지는 경험적 의미는 ‘가르치는 일에 대한 무기력감’, ‘담임교사로서 무한한 책임감’, ‘학부모의 이기주의로 인한 회의감’, ‘심리적, 체력적 소진’,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교사로서의 사명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르치는 일에 대한 무기력감’은 학교 현장에서 무기력한 학생들이 많아지고 소극적인 학생이 많은 학급의 학습 분위기와 교과학습 부진학생으로 인하여 담임교사 역시 가르쳐도 소용없다는 생각에 교사로서 가장 중요한 본분인 가르치는 일에 대해 ‘무기력함’을 겪게 되는 것을 말한다. ‘담임교사로서 무한한 책임감’은 교사에게는 요구되는 역할은 많은데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학교와 학부모, 나아가서는 사회에서 비난을 받는 것을 말한다. ‘학부모의 이기주의로 인한 회의감’은 반 전체 학생의 보호자로서 반 전체를 교육하는 교사와는 달리, 학부모가 자신의 아이 입장에서만 보고 듣고 행동하고 자기 아이와 관련된 일이라면 사소한 일에도 참지 못하고 담임교사에게 장소와 때를 가리지 않고 불만을 토로하거나 화를 내며 소리를 지르는데서 오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심리적, 체력적 소진’은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담임교사의 특성상 1년 동안 자신의 학생들을 책임지고 맡아야 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기 때문에 느끼는 부담감을 말한다.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교사로서의 사명감’은 교사로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교사들에게 교사로서의 핵심 역할인 담임교사도 맡기 싫을 정도의 기피 현상으로 이어지는 것 또한 사실이지만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결국 교사로서 맡겨진 자신의 일을 제대로 잘하기 위한 ‘사명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수업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교과 수업 시수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교육공동체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업무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교사 재량권을 존중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인간관계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교권 침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다섯째, 그밖에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초등학교 담임교사를 위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사회적으로 인성교육이 강조되는 요즘,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의 역할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담임교사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심지어 담임교사를 선호하지 않아 ‘담임교사 기피 현상’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가 가지는 경험적 의미, 그리고 정책적 대처방안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의 틀을 작성하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질문하여 심층 면담한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함으로써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어려움을 대처하는 실질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심층면담을 통해 전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경험적 의미를 분석하고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적 해결방안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이 많이 강조하고 언급하는 순서에 따라 의미화하여 범주화시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첫째, ‘턱없이 부족한 시간’, ‘많은 학생 수로 인해 집중할 수 없는 고충’, ‘가정교육과 사회와의 부조화’,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비민주적 의사결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턱없이 부족한 시간’은 교재 연구와 수업 시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본업인 가르치는 일을 하는 교사로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말한다. ‘많은 학생 수로 인해 집중할 수 없는 고충’은 교사는 단 한명 뿐인데 많은 학생들이 동시에 관심이 필요한 상황으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가정교육과 사회와의 부조화’는 교실에서 담임교사가 아무리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교육을 한다고 하더라도 가정에서 제대로 지도가 되지 않거나 사회에서 그 중요성을 간과할 때 생기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는 지나친 형식주의, 담임도 업무의 한 부분이라는 점, 비전문가로서의 어려움, 교육계의 안전, 보신주의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비민주적 의사결정’은 담임교사의 업무가 업무의 특성상 긴박하게 이루어질 때가 많아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관리자 위주의 하향식 의사결정 구조로 인해 생기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로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가지는 경험적 의미는 ‘가르치는 일에 대한 무기력감’, ‘담임교사로서 무한한 책임감’, ‘학부모의 이기주의로 인한 회의감’, ‘심리적, 체력적 소진’,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교사로서의 사명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르치는 일에 대한 무기력감’은 학교 현장에서 무기력한 학생들이 많아지고 소극적인 학생이 많은 학급의 학습 분위기와 교과학습 부진학생으로 인하여 담임교사 역시 가르쳐도 소용없다는 생각에 교사로서 가장 중요한 본분인 가르치는 일에 대해 ‘무기력함’을 겪게 되는 것을 말한다. ‘담임교사로서 무한한 책임감’은 교사에게는 요구되는 역할은 많은데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학교와 학부모, 나아가서는 사회에서 비난을 받는 것을 말한다. ‘학부모의 이기주의로 인한 회의감’은 반 전체 학생의 보호자로서 반 전체를 교육하는 교사와는 달리, 학부모가 자신의 아이 입장에서만 보고 듣고 행동하고 자기 아이와 관련된 일이라면 사소한 일에도 참지 못하고 담임교사에게 장소와 때를 가리지 않고 불만을 토로하거나 화를 내며 소리를 지르는데서 오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심리적, 체력적 소진’은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담임교사의 특성상 1년 동안 자신의 학생들을 책임지고 맡아야 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기 때문에 느끼는 부담감을 말한다.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교사로서의 사명감’은 교사로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교사들에게 교사로서의 핵심 역할인 담임교사도 맡기 싫을 정도의 기피 현상으로 이어지는 것 또한 사실이지만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결국 교사로서 맡겨진 자신의 일을 제대로 잘하기 위한 ‘사명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수업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교과 수업 시수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교육공동체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업무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교사 재량권을 존중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인간관계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교권 침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다섯째, 그밖에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하여 초등학교 담임교사를 위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With the recent emphasis on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society,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become more important. However, a lo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and even do not prefer the roles. Accordingly, ‘...
With the recent emphasis on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society,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become more important. However, a lo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and even do not prefer the roles. Accordingly, ‘avoiding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frequently appea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ctual policy plans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by conducting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The analysis fram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in terms of the empirical implications of stress of performing the job and policy plans. To be specific,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teachers in charge is analyzed through the transcribed materials from in-depth interviews by coding and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 orders highlighted and mentioned a lot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regarding practical and realistic stress solution for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is derived from ‘highly insufficient time’, ‘difficulties from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disharmony between home education and society’, ‘stress from the task’, ‘non-democratic decision making’. ‘Highly insufficient time’ refers to being stressed due to the shortage of textbook investigation and class time so that they cannot conduct their main job, teaching their students. ‘Difficulties from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refers to the stress from the situation in which only a single teacher should simultaneously take care a lot of students. ‘Disharmony between home education and society’ means the stress from the gap between the emphasis of teachers in charge in school classes and the misguidance of home or neglect in the society. ‘Stress from the task’ implies the stress from excessive formalism, the fact that being a teacher in charge is as a part of their duties, the problems as a non-expert, the safety-priority and protectionism in the educational circle. ‘Non-democratic decision making’ refers to stress from immediate job performance of teachers in charg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duties and the stress originated from top-down decision making process centered on managers. Second, the empirical implications of job stress experienced as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are ‘the sense of inactivity of teaching job’, ‘the sense of infinite responsibilities as a teacher in charge’, ‘doubt to the selfishness of school pare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burnout’, ‘the sense of duty as a teacher’. ‘The sense of inactivity of teaching job’ means that they experience ‘the sense of inactivity’ regarding teaching job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occupation due to the increase of inactive and underachieved students in the fields of education and teaching atmosphere and teachers’ relevant ideas of no need for educating them. ‘The sense of infinites responsibilities as a teacher in charge’ refers the situation in which insufficient performance as a teacher in charge receives critiques from schools, school parents, and even from society in spite of too much required roles of teachers. ‘doubt to the selfishness of school parents’ refers to the stress from the circumstance in which school parents attack teachers regardless of location and time even trivial troubles since they only act and listen on their children, although a teacher educate the entire class as a protector of the entire stude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burnout’ refers to the burden of enormous 1-year responsibilities as a teacher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In terms of ‘the sense of duty as a teacher’, although the stress experienced as a teacher leads to the avoidance of not being a teacher in charge, a main role as a teacher, it is revealed that their stress is derived from ‘the sense of duty’ to make better job in their positions as teachers. Thu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terms of policies. First, the number of class sessions should be expanded to decrease class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communal endeavors of educational community are required to reduce the guidance work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Third, the teacher autonomy should be respect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Fourth,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should be actively dealt to decrease the relational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Fifth, to reduce other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 a variety of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for them.
With the recent emphasis on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society,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become more important. However, a lo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and even do not prefer the roles. Accordingly, ‘avoiding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frequently appea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ctual policy plans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by conducting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The analysis fram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in terms of the empirical implications of stress of performing the job and policy plans. To be specific,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teachers in charge is analyzed through the transcribed materials from in-depth interviews by coding and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 orders highlighted and mentioned a lot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regarding practical and realistic stress solution for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is derived from ‘highly insufficient time’, ‘difficulties from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disharmony between home education and society’, ‘stress from the task’, ‘non-democratic decision making’. ‘Highly insufficient time’ refers to being stressed due to the shortage of textbook investigation and class time so that they cannot conduct their main job, teaching their students. ‘Difficulties from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refers to the stress from the situation in which only a single teacher should simultaneously take care a lot of students. ‘Disharmony between home education and society’ means the stress from the gap between the emphasis of teachers in charge in school classes and the misguidance of home or neglect in the society. ‘Stress from the task’ implies the stress from excessive formalism, the fact that being a teacher in charge is as a part of their duties, the problems as a non-expert, the safety-priority and protectionism in the educational circle. ‘Non-democratic decision making’ refers to stress from immediate job performance of teachers in charg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duties and the stress originated from top-down decision making process centered on managers. Second, the empirical implications of job stress experienced as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are ‘the sense of inactivity of teaching job’, ‘the sense of infinite responsibilities as a teacher in charge’, ‘doubt to the selfishness of school pare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burnout’, ‘the sense of duty as a teacher’. ‘The sense of inactivity of teaching job’ means that they experience ‘the sense of inactivity’ regarding teaching job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occupation due to the increase of inactive and underachieved students in the fields of education and teaching atmosphere and teachers’ relevant ideas of no need for educating them. ‘The sense of infinites responsibilities as a teacher in charge’ refers the situation in which insufficient performance as a teacher in charge receives critiques from schools, school parents, and even from society in spite of too much required roles of teachers. ‘doubt to the selfishness of school parents’ refers to the stress from the circumstance in which school parents attack teachers regardless of location and time even trivial troubles since they only act and listen on their children, although a teacher educate the entire class as a protector of the entire stude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burnout’ refers to the burden of enormous 1-year responsibilities as a teacher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In terms of ‘the sense of duty as a teacher’, although the stress experienced as a teacher leads to the avoidance of not being a teacher in charge, a main role as a teacher, it is revealed that their stress is derived from ‘the sense of duty’ to make better job in their positions as teachers. Thu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terms of policies. First, the number of class sessions should be expanded to decrease class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communal endeavors of educational community are required to reduce the guidance work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Third, the teacher autonomy should be respect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Fourth,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should be actively dealt to decrease the relational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s. Fifth, to reduce other stress of teachers in charge in elementary school, a variety of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for them.
Keyword
#job stress teachers in charge coping method elementary school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지혜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육행정전공
지도교수
이상오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viii, 96 p.
키워드
job stress teachers in charge coping method elementary schoo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