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어린이집 적응 증진을 도모하는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1-1.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가? 1-2.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부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가? [연구문제 2]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한 M 어린이집 유아 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 된 12명의 유아 중 무작위로 만 4세 1명과 만 5세 5명의 유아 6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머지 만 4세 1명과 만 5세 5명의 유아 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연구진행 중 부모의 반대로 중도 하차한 만 5세 유아 1명을 제외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 40분씩 12회기에 걸쳐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Fanttuzzo, Coolahan, Mendez, McDermott와 Sutton-Smith(1995)가 제작하고 1998년에 수정 보완한 ...
집단치료놀이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 승 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지도교수 박 부 진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어린이집 적응 증진을 도모하는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1-1.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가? 1-2.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부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가? [연구문제 2]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한 M 어린이집 유아 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 된 12명의 유아 중 무작위로 만 4세 1명과 만 5세 5명의 유아 6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머지 만 4세 1명과 만 5세 5명의 유아 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연구진행 중 부모의 반대로 중도 하차한 만 5세 유아 1명을 제외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 40분씩 12회기에 걸쳐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Fanttuzzo, Coolahan, Mendez, McDermott와 Sutton-Smith(1995)가 제작하고 1998년에 수정 보완한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를 최혜영과 신혜영(2008)이 국내 유아들을 대상으로 척도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과 동료들(1993)이 개발한 유치원 적응 질문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 PAQ)를 사용하였다. 일차적으로 이은경(2014)이 번안하고 사용한 검사도구를 아동학 전문가 집단(전문가, 어린이집교사, 아동학 전공 박사)에 의뢰하여 문항의 적절성을 검토한 후 수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 검사를 분류하여 채점 후,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 유(Mann-Whiitney U)검증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실험집단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린이집 적응의 행동변화를 코리더가 관찰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치료놀이는 어린이집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 또래놀이 상호작용 척도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긍정적 또래놀이 상호작용인 놀이상호작용에서 사전·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한편 부정적 또래놀이 상호작용인 놀이방해와 놀이단절 감소에는 사전·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치료놀이는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증진시킨다. 어린이집 적응 척도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집단치료놀이 과정에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린이집 적응 측면의 긍정적인 행동변화가 나타났다. 또래놀이 상호작용 측면에서 유아는 회기 초반에 놀이상황에서 또래를 방해하거나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고 배회하는 등의 놀이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회기가 후반으로 진행될수록 유아들은 또래 간의 긍정적인 놀이행동과 지속적인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하였다. 어린이집 적응 측면에서도 유아는 회기 초반에 놀이상황에서 다른 유아에 대해 낮은 관심을 보이고, 자신감이 부족하고 소극적으로 놀이에 임하며 연구자와의 상호작용도 부족했다. 그러나 회기가 진행될수록 유아들은 다른 유아들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독립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자기주장이 분명하게 하는 경우가 증가되었다. 또한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연구자에게 도움을 적절하게 요청하고 협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린이집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린이집 적응을 향상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밝힘으로 효과를 입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이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아닌 일반 아동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은 예방적 측면의 치료놀이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집단치료놀이, 어린이집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어린이집 적응
집단치료놀이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 승 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지도교수 박 부 진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어린이집 적응 증진을 도모하는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1-1.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가? 1-2.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부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가? [연구문제 2]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한 M 어린이집 유아 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 된 12명의 유아 중 무작위로 만 4세 1명과 만 5세 5명의 유아 6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머지 만 4세 1명과 만 5세 5명의 유아 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연구진행 중 부모의 반대로 중도 하차한 만 5세 유아 1명을 제외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 40분씩 12회기에 걸쳐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Fanttuzzo, Coolahan, Mendez, McDermott와 Sutton-Smith(1995)가 제작하고 1998년에 수정 보완한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를 최혜영과 신혜영(2008)이 국내 유아들을 대상으로 척도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과 동료들(1993)이 개발한 유치원 적응 질문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 PAQ)를 사용하였다. 일차적으로 이은경(2014)이 번안하고 사용한 검사도구를 아동학 전문가 집단(전문가, 어린이집교사, 아동학 전공 박사)에 의뢰하여 문항의 적절성을 검토한 후 수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 검사를 분류하여 채점 후,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 유(Mann-Whiitney U)검증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실험집단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린이집 적응의 행동변화를 코리더가 관찰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치료놀이는 어린이집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 또래놀이 상호작용 척도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긍정적 또래놀이 상호작용인 놀이상호작용에서 사전·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한편 부정적 또래놀이 상호작용인 놀이방해와 놀이단절 감소에는 사전·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치료놀이는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증진시킨다. 어린이집 적응 척도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집단치료놀이 과정에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린이집 적응 측면의 긍정적인 행동변화가 나타났다. 또래놀이 상호작용 측면에서 유아는 회기 초반에 놀이상황에서 또래를 방해하거나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고 배회하는 등의 놀이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회기가 후반으로 진행될수록 유아들은 또래 간의 긍정적인 놀이행동과 지속적인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하였다. 어린이집 적응 측면에서도 유아는 회기 초반에 놀이상황에서 다른 유아에 대해 낮은 관심을 보이고, 자신감이 부족하고 소극적으로 놀이에 임하며 연구자와의 상호작용도 부족했다. 그러나 회기가 진행될수록 유아들은 다른 유아들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독립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자기주장이 분명하게 하는 경우가 증가되었다. 또한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연구자에게 도움을 적절하게 요청하고 협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린이집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린이집 적응을 향상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밝힘으로 효과를 입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이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아닌 일반 아동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은 예방적 측면의 치료놀이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on Children’s Peer-play Interactions and Adaptations in Child Care Centers
Kim Seung-yeon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Park Boo-jin
This research aims to ...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on Children’s Peer-play Interactions and Adaptations in Child Care Centers
Kim Seung-yeon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Park Boo-jin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which encourages peer-play interactions and adaptations in child care center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herapy to the children in the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Subject 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roup play therapy on the peer-play interactions of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1-1. Does the group play therapy increases positive peer-play interactions? 1-2. Does the group play therapy decreases negative peer-play interactions? [Subject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roup play therapy on the adaptations of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in child care centers? [Subject 3] How is the change of children’s behavior shown in the group play therapy? 12 children in M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Jongno-gu, Seoul are chosen for the subject of study. Among the 12 children, one child in 4 years old and 5 children in 5 years old are randomly chosen for the control group, and another child in 4 years old and 5 children in 5 years are chosen for the experiment group. However, with the exclusion of one 5 years old child who dropped out from the experiment due to the parent’s opposition, the analysis has been finally concluded with 5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and 5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group play therapy has been conducted to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throughout the 12 sessions (40 minutes each), and nothing has been conduct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take a measurement of the effect in group play therapy, PIPPS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roduced(1995) and revised(1998) by Fanttuzzo, Coolahan, Mendez, McDermott and Sutton-Smith, verified by Hyeyoung Choi and Hyeyoung Shin in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ctor analysis on domestic children) is used as an experimental tool. Also, PAQ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Jewsuwan and his companies,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adaptation in a nursery. The measurement tool, first adapted and used by Eunkyung Lee(2014), is revised after requesting consideration in the appropriacy of questionnaires to the professional group of children studies (expert, child care center teacher, and master of children education). Data analysis is conducted by Mann-Whiitney U test as a non-parametric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after classifying and grading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data. In addition, peer-play interaction and change in children behavior adapting in a childcare center of experiment group children has been observed and recorded by co-reader. The summarize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corresponds to the following: Fist, group play therapy increases peer-play interaction of children in a child care center. As a result of examining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data throughout the scale of peer-play interaction i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play interaction as a positive peer-play interaction in experiment group has been meaningfully proved. Mean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found in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play interruption and decrease in play severance as negative peer-play interaction. Second, group play therapy increases adaptation of children in childcare center. After examining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roughout the scale of adaptation in childcare center,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experiment group has shown the statistical correlation, in addition of the positive influ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is a positive change in children behavior throughout the group play therapy, in the aspect of peer-play interaction and adaptation in a day care center. In the early therapy sessions, children have shown such behaviors as interrupting peers in the play time or wandering around while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play. However, as the therapy continues to the latter, children have shown positive peer-play interactions and continuous interaction with the peers. In the aspect of adaptation in the child care center, children have shown low interest in the other children, lack of self-confidence, passive participation in the play, and low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in the early session of the therapy. However, as the therapy session continues, the children begun to have more chance of being interested in the other children, showing independence or activeness, and self-assertion. Also, they have shown the increased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with the act of reaching out for the appropriate help, cooperating to the researcher in the meantime. As shown above, this research states its validity as it proves the group play therapy enhances the effect of peer-play interaction and adaptation in the child care center of the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Also, the point that the subject of study is composed of just ordinary children, not the children with problematic behavior, has its meaning on the demonstration of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in a precautionary perspective.
Key words: Group play therapy, Children in the child care center, peer-play interactions, adaptations in childcare center.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on Children’s Peer-play Interactions and Adaptations in Child Care Centers
Kim Seung-yeon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Park Boo-jin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which encourages peer-play interactions and adaptations in child care center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herapy to the children in the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Subject 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roup play therapy on the peer-play interactions of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1-1. Does the group play therapy increases positive peer-play interactions? 1-2. Does the group play therapy decreases negative peer-play interactions? [Subject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roup play therapy on the adaptations of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in child care centers? [Subject 3] How is the change of children’s behavior shown in the group play therapy? 12 children in M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Jongno-gu, Seoul are chosen for the subject of study. Among the 12 children, one child in 4 years old and 5 children in 5 years old are randomly chosen for the control group, and another child in 4 years old and 5 children in 5 years are chosen for the experiment group. However, with the exclusion of one 5 years old child who dropped out from the experiment due to the parent’s opposition, the analysis has been finally concluded with 5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and 5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group play therapy has been conducted to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throughout the 12 sessions (40 minutes each), and nothing has been conduct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take a measurement of the effect in group play therapy, PIPPS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roduced(1995) and revised(1998) by Fanttuzzo, Coolahan, Mendez, McDermott and Sutton-Smith, verified by Hyeyoung Choi and Hyeyoung Shin in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ctor analysis on domestic children) is used as an experimental tool. Also, PAQ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Jewsuwan and his companies,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adaptation in a nursery. The measurement tool, first adapted and used by Eunkyung Lee(2014), is revised after requesting consideration in the appropriacy of questionnaires to the professional group of children studies (expert, child care center teacher, and master of children education). Data analysis is conducted by Mann-Whiitney U test as a non-parametric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after classifying and grading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data. In addition, peer-play interaction and change in children behavior adapting in a childcare center of experiment group children has been observed and recorded by co-reader. The summarize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corresponds to the following: Fist, group play therapy increases peer-play interaction of children in a child care center. As a result of examining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data throughout the scale of peer-play interaction i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play interaction as a positive peer-play interaction in experiment group has been meaningfully proved. Mean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found in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play interruption and decrease in play severance as negative peer-play interaction. Second, group play therapy increases adaptation of children in childcare center. After examining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roughout the scale of adaptation in childcare center,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experiment group has shown the statistical correlation, in addition of the positive influ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is a positive change in children behavior throughout the group play therapy, in the aspect of peer-play interaction and adaptation in a day care center. In the early therapy sessions, children have shown such behaviors as interrupting peers in the play time or wandering around while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play. However, as the therapy continues to the latter, children have shown positive peer-play interactions and continuous interaction with the peers. In the aspect of adaptation in the child care center, children have shown low interest in the other children, lack of self-confidence, passive participation in the play, and low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in the early session of the therapy. However, as the therapy session continues, the children begun to have more chance of being interested in the other children, showing independence or activeness, and self-assertion. Also, they have shown the increased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with the act of reaching out for the appropriate help, cooperating to the researcher in the meantime. As shown above, this research states its validity as it proves the group play therapy enhances the effect of peer-play interaction and adaptation in the child care center of the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Also, the point that the subject of study is composed of just ordinary children, not the children with problematic behavior, has its meaning on the demonstration of the effect of group play therapy in a precautionary perspective.
Key words: Group play therapy, Children in the child care center, peer-play interactions, adaptations in childcare cent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