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the Withdrawal of Children's Daily Stress, Anxiety, Peer-Interaction and EEG Vari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1, 2015년, pp.249 - 267  

이유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전공) ,  한유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에 의한 아동행동평가척도인 K-CBCL에서 임상범위에 해당되는 만 3세-5세의 위축유아 12명이었다. 이 유아들은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 유아에게 주 2회 35분씩 총 12회기의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일상적 스트레스척도, 불안척도, 또래 상호작용척도 및 뇌파검사를 한 후 결과처리를 위해 맨 휘트니(Mann-Whitney-U)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종료 후 실험집단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은 감소하였고 긍정적 또래상호작용과 뇌파의 정서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정서적인 어려움을 다루는데 효과적인 접근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withdrawn preschool children's daily stress, anxiety, peer interaction and EEG variation. The research subjects are 12 children of 3-5 years of age who are over 65T in the social-withdrawal scale of KPR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축성향을 지닌 아동에게 어떤 문제가 나타나는가? 위축성향을 지닌 아동들은 사회적 상황으로 접근하지 않고 스스로 자기 안으로 숨어드는 행동특징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지속적인 스트레스, 불안감, 긴장감, 열등감, 우울감, 소심함 등을 보인다(배주미, 오경자, 1991; Hymel, Bowker, & Woody, 1993). 또한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또래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김소영, 이근매, 2010). 이러한 문제들은 또다시 위축되는 악순환을 낳게 되고 결국에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적응 및 정신병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실제 최근 종단연구결과(Ladd, 2006)나 선행연구(안이환, 2007)를 보면 유아기의 위축성향은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위축의 악순환은 장기화 된다고 한다. 따라서 이제는 유아기 때 발견되는 위축성향에 좀 더 관심을 갖고, 다양한 차원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접근을 시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상적스트레스란? 그러나 자신의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 미숙하여(Mederious, Porter, & Welch, 1983) 일상생활 속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일상적인 스트레스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일상적스트레스는 극적이지는 않으나 반복적으로 경험되는 일들로 인해 심신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큰 스트레스를 의미한다(김정화, 2012). 지속적인 일상적 스트레스는 유아에게 불안감, 우울감, 소외감, 긴장감, 압박감 등의 정신건강 문제를 지속적으로 야기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염현경, 1998)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이를 개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한유진, 2011).
집단놀이치료의 장점은? 놀이치료란, 놀이라는 매개체를 활용하여 유아의 정서적인 부적응 행동을 적응적인 행동으로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치료방법이다(Landreth, 2002). 그 중에서도 집단놀이치료는 아동이 집단이라는 존재를 통해 도움을 받음으로써 자신의 어려움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Sweeney, 1997). 실제로 집단놀이치료를 통해 위축성향 유아의 자아존중감이나 사회성, 또래관계,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고, 불안이나 외현화 및 내현화 문제행동을 개선한 효과들을 밝힌 연구들을 찾아볼 수 있다(오미경, 이수희,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고예진 (2009). 전통놀이를 활용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개념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길경미 (2013). 짝 놀이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경원, 김경화, 정연희 (2001). 놀이치료 이론에 따른 놀이활동의 비교. 놀이치료연구, 5(2), 13-24. 

  4. 김경은, 한유진 (2013). 교사의 집단치료놀이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유능감 및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229-320. 

  5. 김소영, 이근매 (2010).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위한 사회성 향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미술치료연구, 17(6), 1333-1355. 

  6. 김용래, 김태은 (2005). 교육심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7. 김용진, 김학현, 박재근, 채희경, 박미아, 강경미 외 (2000). 문제풀이 활동에서 뇌파 측정에 의한 두뇌 기능 상태의 평가. 생물교육, 28(3), 1229-2222. 

  8. 김은경, 하영례 (2013).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이 정서지능, 또래상호작용 및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7(2), 93-107. 

  9. 김정화 (2012). 어린이집 재원시간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보육환경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진수 (2013). 소심인. 서울: 푸른봄. 

  11. 김하정, 선우현 (2009). 다문화 가정 유아를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아동교육, 18(4), 143-155. 

  12. 마주리 (2003). 위축된 유아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3(1), 83-108. 

  13. 박병운 (2005). 뇌파해석기법. 서울: 한국정신과학연구소. 

  14. 박진아, 정문자 (2007). 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양육 행동의 중재효과. 한국상담 및 심리치료 학회지, 19(2), 273-295. 

  15. 배주미, 오경자 (1991). 아동의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 훈련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31-242. 

  16. 안이환 (2007). 사회성 측정: 이론과 실제. 서울: 서현사. 

  17. 염현경 (1998).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7).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 오미경, 이수희 (2010).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 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4), 237-259. 

  20. 오윤희, 안창일, 오강섭 (2004). 성인 불안장애 환자에서의 아동기 시절 불안장애 과거력 및 그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873-889. 

  21. 원희옥, 이선규, 강현곤 (2008). 뉴로피드백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뇌기능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4(3), 315-324. 

  22. 이숙재 (1990).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3. 이은미 (1995).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따른 비인기 아동집단의 자아지각과 또래지각.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정숙, 명신영 (2007).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실태 및 휴대폰 중독 정도에 따른 또래관계의 질,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67-86. 

  25. 정금자 (1999). 유아놀이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6. 정미경 (2009). 동.서양의 아동관에 따른 아동복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199-224. 

  27. 정혜민 (2010).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유치원 적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차무성 (2011). 태극권이 주의집중력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민아, 한유진 (2012).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7(1), 1-26. 

  30. 최민혜 (2012). 유아의 놀이유형이 사회적 기술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최진숙, 조수철(1990). 소아불안의 측정: RCM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신경정신의학, 29(3), 691-702. 

  32. 최혜영 (2004).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한유진 (2011).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5(3), 65-80. 

  34. 황옥경 (1990).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배척.소외아동의 행동상의 문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1(1), 72-86. 

  35. Cain, S. (2012). Quiet: The power of introverts in a world that can't stop talking, 콰이어트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김우열 옮김).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36. Ginott, H. G. (1975). Group psychotherapy with children. Journal of Projective Techniques, 26(1), 3-10. 

  37. Gumaer, J. (1984). Counseling and therapy for children. NY: Free press. 

  38. Hymel, S., Bowker, A., & Woody, E. (1993). Aggressive versus withdrawn unpopular Children; Variations in peer and self-perceptions in multiple domains, Child Development, 64(3), 879-896. 

  39. La Greca, A. M., & Stone, W. L. (1993).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1), 17-27. 

  40. Ladd, G. W. (2006). Peer rejection, aggressive or withdrawn behavior,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rom ages 5 to 12: An examination of four predictive models. Child Development, 77(4), 822-846. 

  41.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42. Landreth, G. L. (2002).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놀이치료: 치료관계의 기술(유 미숙 옮김). 서울: 학지사. 

  43. Mederious, D. C., Poter, B. J., & Welch, I. D. (1983). Children under stress. NJ: Prentice-Hall. 

  44. Rubin, K. H., & Mills, R. S. (1988). The many faces of social isolation in childhoo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916-924. 

  45.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Y: Academic press. 

  46. Sweeney, D. S. (1997). Counseling children through the world of play. Wheaton, IL: Tyndale Hous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