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당발효액의 식품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곰보배추(Salvia plebeia R.)를 대상으로 당발효액을 직접 조제 후 그 함유 성분을 밝히고, 발효에 따른 성분 변화 및 생리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함유 화합물들을 분자수준에서 밝히기 위해 곰보배추(신선중량 8.5 kg) 당발효액(4 L)을 해리성을 이용한 용매분획을 행하여 n-hexane, EtOAc, BuOH 및 H2O 획분을 얻었다. 얻어진 각 획분을 HPLC로 분석을 행한 결과, 대부분의 성분이 EtOAc층에 함유되어있음이 확인되어 EtOAc 획분을 대상으로 Diaion HP-20 ...
본 연구에서는 당발효액의 식품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곰보배추(Salvia plebeia R.)를 대상으로 당발효액을 직접 조제 후 그 함유 성분을 밝히고, 발효에 따른 성분 변화 및 생리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함유 화합물들을 분자수준에서 밝히기 위해 곰보배추(신선중량 8.5 kg) 당발효액(4 L)을 해리성을 이용한 용매분획을 행하여 n-hexane, EtOAc, BuOH 및 H2O 획분을 얻었다. 얻어진 각 획분을 HPLC로 분석을 행한 결과, 대부분의 성분이 EtOAc층에 함유되어있음이 확인되어 EtOAc 획분을 대상으로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행하여 최종적으로 19종의 항산화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NMR 및 MS 분석에 의해 단리 화합물들의 구조를 해석한 결과, levodopa methyl ester (1), 3,4-dihydroxybenzoic acid (2), (S)-8-hydroxy-4-hydroxy-phenylpropanoic acid (3), 4-hydroxybenzoic acid ethyl ester (4), cis-caffeic acid (5), trans-caffeic acid (6), esculetin (7), ethyl (S)-8-hydroxy-3,4-dihydroxy-phenylpropanoate (8), cis-rosmarinic acid (9), trans-rosmarinic acid (10), trans-rosmarinic acid methyl ester (11), 6-methoxy-7,8,3',5'-tetrahydroxyflavanone (12), nepetin (13), trans-caffeic acid ethyl ester (14), luteolin (15), cis-caffeic acid ethyl ester (16), 6-methoxynaringenin (17), 1α-acetoxy-2-oxo- eudesman-3,7(11)-dien-8β,12-olide (18), hispidulin (19)으로 동정하였다. 단리된 활성 화합물들 중 화합물 12는 신규 화합물로 밝혀졌으며, 화합물 1, 3, 4, 7, 8, 14 및 18은 곰보배추에서 처음으로 동정되었다. 신선 곰보배추(신선중량 15.4 g)를 MeOH (150 mL)로 추출 후 곰보배추 당발효액과 동일하게 용매분획을 행하여 각각의 EtOAc 획분을 대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HPLC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곰보배추와 곰보배추 당발효액의 EtOAc 획분에서 전혀 다른 양상의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곰보배추 당발효액 제조 시 첨가된 황설탕(3 g)을 용매분획 후 그 EtOAc 획분을 곰보배추와 곰보배추 당발효액의 EtOAc 획분과 동일한 조건에서 HPLC 분석을 행한 결과 겹치는 피크가 없는 것으로 보아 곰보배추와 곰보배추 당발효액의 피크 양상이 다르게 관찰되었던 것은 당발효과정 중에 성분변화가 초래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당 발효액의 발효에 따른 성분 변화 및 함유 유용성분의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한 의미있는 성과라 판단되며, 본 결과들이 당발효액의 유용성 여부와 생리활성평가에 관한 추후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당발효액의 식품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곰보배추(Salvia plebeia R.)를 대상으로 당발효액을 직접 조제 후 그 함유 성분을 밝히고, 발효에 따른 성분 변화 및 생리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함유 화합물들을 분자수준에서 밝히기 위해 곰보배추(신선중량 8.5 kg) 당발효액(4 L)을 해리성을 이용한 용매분획을 행하여 n-hexane, EtOAc, BuOH 및 H2O 획분을 얻었다. 얻어진 각 획분을 HPLC로 분석을 행한 결과, 대부분의 성분이 EtOAc층에 함유되어있음이 확인되어 EtOAc 획분을 대상으로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행하여 최종적으로 19종의 항산화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NMR 및 MS 분석에 의해 단리 화합물들의 구조를 해석한 결과, levodopa methyl ester (1), 3,4-dihydroxybenzoic acid (2), (S)-8-hydroxy-4-hydroxy-phenylpropanoic acid (3), 4-hydroxybenzoic acid ethyl ester (4), cis-caffeic acid (5), trans-caffeic acid (6), esculetin (7), ethyl (S)-8-hydroxy-3,4-dihydroxy-phenylpropanoate (8), cis-rosmarinic acid (9), trans-rosmarinic acid (10), trans-rosmarinic acid methyl ester (11), 6-methoxy-7,8,3',5'-tetrahydroxyflavanone (12), nepetin (13), trans-caffeic acid ethyl ester (14), luteolin (15), cis-caffeic acid ethyl ester (16), 6-methoxynaringenin (17), 1α-acetoxy-2-oxo- eudesman-3,7(11)-dien-8β,12-olide (18), hispidulin (19)으로 동정하였다. 단리된 활성 화합물들 중 화합물 12는 신규 화합물로 밝혀졌으며, 화합물 1, 3, 4, 7, 8, 14 및 18은 곰보배추에서 처음으로 동정되었다. 신선 곰보배추(신선중량 15.4 g)를 MeOH (150 mL)로 추출 후 곰보배추 당발효액과 동일하게 용매분획을 행하여 각각의 EtOAc 획분을 대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HPLC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곰보배추와 곰보배추 당발효액의 EtOAc 획분에서 전혀 다른 양상의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곰보배추 당발효액 제조 시 첨가된 황설탕(3 g)을 용매분획 후 그 EtOAc 획분을 곰보배추와 곰보배추 당발효액의 EtOAc 획분과 동일한 조건에서 HPLC 분석을 행한 결과 겹치는 피크가 없는 것으로 보아 곰보배추와 곰보배추 당발효액의 피크 양상이 다르게 관찰되었던 것은 당발효과정 중에 성분변화가 초래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당 발효액의 발효에 따른 성분 변화 및 함유 유용성분의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한 의미있는 성과라 판단되며, 본 결과들이 당발효액의 유용성 여부와 생리활성평가에 관한 추후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