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종의 배암차즈기에 대한 염증억제 활성 비교 및 활성성분 구명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ree Kinds of Salvia and Its Active Compound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4 no.5, 2016년, pp.401 - 407  

신한재 (KT&G 중앙연구원) ,  곽효민 (KT&G 중앙연구원) ,  장미 (KT&G 중앙연구원) ,  박시환 (KT&G 중앙연구원) ,  민혜정 (KT&G 중앙연구원) ,  이정민 (KT&G 중앙연구원) ,  이문용 (KT&G 중앙연구원) ,  김종한 (KGC 중앙연구원) ,  김성원 (KGC 중앙연구원) ,  한창균 (KGC 중앙연구원) ,  김승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동서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alvia has been widely cultivated for use in flavoring and folk medicine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the underlying active compounds of Salvia extract and its fractions. Methods and Results: The anti-in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9).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염증 질환에 유효한 천연물 자원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3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대상으로 호염기성 백혈병 세포 (RBL-2H3 cell)을 이용한 5-LO 억제 작용 실험을 통하여 염증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주요 활성 성분을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식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 ,2013). 천식은 그 원인에 따라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의 상피, 곰팡이 등의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증상이 나타나는 외인성 천식과 상기도 감염, 운동, 정서불안, 한랭 기후 및 습도의 변화 등이 증상을 유발 혹은 악화시키는 내인성 천식 그리고 약물 유발성 천식, 운동 유발성 천식 및 직업성 천식 등이 있다 (Beasley et al., 2015).
천식은 무엇인가? 천식 (asthma)이란 여러 자극에 대한 기도의 과민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천식은 알러지성이며, 만성기도염증과 기도 과민반응성이 특징이다(Minoguchi and Adachi, 1999; Shimizu et al.,2013).
배암차즈기의 주요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는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일년생 또는 이년생 직립초목으로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자생한다. 설견초, 청와초, 마마초, 과동청, 수양이 등으로도 불리며 성분으로는 flavonoids, homoplantaginin, rosmarinic acid, luteolin, hispidulin, eupafolin, eupafolin-7-glucoside 외에도 페놀성 물질, 정유성분, 사포닌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다 (Choi et al.,2015a; 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rnes PJ, Chung KF and Page CP. (1998). Inflammatory mediators of asthma: An update. Pharmacological Reviews. 50:515-596. 

  2. Beasley R, Semprini A and Mitchell EA. (2015). Risk factors for asthma: Is prevention possible? The Lancet. 386:1075-1085. 

  3. Choi JK, Oh HM, Park JH, Choi JH, Sa KH, Kang YM, Park PH, Shin TY, Rho MC and Kim SH. (2015a). Salvia plebeia extract inhibit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rheumatoid synovial fibroblasts and a murine model of arthritis. Phytomedicine. 22:415-422. 

  4. Choi SI, Kwak H, Kim JY, Choi JG and Lee JH. (2015b). Antiadipogenic effects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in 3T3-L1 preadipocyt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3:245-252. 

  5. Drazen JM, Israel E and O'Byrne PM. (1999). Treatment of asthma with drugs modifying the leukotriene pathwa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0:197-206. 

  6. Elias JA, Lee CG, Zheng T, Ma B, Homer RJ and Zhu Z. (2003). New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asthma.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1:291-297. 

  7. Goulet JL, Byrum RS, Key ML, Nguyen M, Wagoner VA and Koller BH. (2000). Genetic factors determine the contribution of leukotrienes to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The Journal of Immunology. 164:4899-4907. 

  8. Jung HJ, Song YS, Lim CJ and Park EH. (2009). Antiinflammatory, anti-angiogenic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an ethanol extract of Salvia plebeia R. Brow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26:355-360. 

  9. Liang Z, Xu Y, Wen X, Nie H, Hu T, Yang X, Chu X, Yang J, Deng X and He J. (2016). Rosmarinic acid attenuates airway inflammation and hyperresponsiveness in a murine model of asthma. Molecules. 21:769-774. 

  10. Lim JA, Yun BW and Baek SH.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183-188. 

  11. Maggi E. (1998). The TH1/TH2 paradigm in allergy. Immunotechnology. 3:233-244. 

  12. Minoguchi K and Adachi M. (1999). Pathophysiology of asthma. In Cherniack NS, Altose MD, Homma I(ed.).,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McGraw-Hill. New York. NY, USA. p.97-104. 

  13. Pawankar R. (2001). Mast cells as orchestrators of the allergic reaction: The IgE-IgE receptor mast cell network. Current Opinion in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3-6. 

  14. Ren DB, Qin YH, Yun YH, Lu HM, Chen XQ and Liang YZ. (2014). Separation of nine compounds from Salvia plebeia R. Br. using two-step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with different elution modes. Journal of Separation Science. 37: 2118-2125. 

  15. Shimizu H, Obase Y, Katoh S, Mouri K, Kobashi Y and Oka M. (2013). Critical role of interleukin-5 in the development of a mite antigen-induced chronic bronchial asthma model. Inflammation Research. 62:911-917. 

  16. Wills-Karp M, Luyimbazi J, Xu X, Schofield B, Neben TY, Karp CL and Donaldson DD. (1998). Interleukin-13: Central mediator of allergic asthma. Science. 282:2258-2261. 

  17. Wynn TA. (2015). Type 2 cytokines: Mechanisms and therapeutic strategies. Nature Reviews Immunology. 15:271-2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