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를 통해 유아교사의 성찰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모들에게는 교사에 대한 신뢰 및 이미지 구축에 의미를 두고, 유아교육 관계자들에게는 유아교사의 강점과 약점을 통해 유아교사의 요구 및 자질 덕목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들의 일반적 배경(연령, 교육기관, 자격증 소지, 최종 학력, 교육 경력, 결혼 유무)에 따른 자질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설문대상은 부산지역에 소재한 만3-5세 누리과정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4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409부를 최종적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측정도구는 개인적 자질(한수진, 2001)과 전문적 자질(황해익, 2003)에 대한 연구도구를 누리과정에 대한 설문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의 문항에 대한 방식은 ‘아주 부족함’의 1점에서부터 ‘아주 우수함’의 5점으로 반응하는 Likert식 5점 척도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는 개인적 자질의 하위 영역인 인성적 특성에 관한 10문항, 전문적 자질의 하위 영역 중 교직에 대한 태도 6문항, 교육기술 8문항, 전문적 지식 7문항, 일반적 배경 6문항을 포함하여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도구를 바탕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연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
논 문 요 약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
이 혜 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소 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를 통해 유아교사의 성찰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모들에게는 교사에 대한 신뢰 및 이미지 구축에 의미를 두고, 유아교육 관계자들에게는 유아교사의 강점과 약점을 통해 유아교사의 요구 및 자질 덕목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들의 일반적 배경(연령, 교육기관, 자격증 소지, 최종 학력, 교육 경력, 결혼 유무)에 따른 자질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설문대상은 부산지역에 소재한 만3-5세 누리과정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4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409부를 최종적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측정도구는 개인적 자질(한수진, 2001)과 전문적 자질(황해익, 2003)에 대한 연구도구를 누리과정에 대한 설문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의 문항에 대한 방식은 ‘아주 부족함’의 1점에서부터 ‘아주 우수함’의 5점으로 반응하는 Likert식 5점 척도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는 개인적 자질의 하위 영역인 인성적 특성에 관한 10문항, 전문적 자질의 하위 영역 중 교직에 대한 태도 6문항, 교육기술 8문항, 전문적 지식 7문항, 일반적 배경 6문항을 포함하여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도구를 바탕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연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과 직교회전방식의 Varimax법을 통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 구성된 요인들의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개인적 자질 실태와 전문적 자질 실태는 어떠한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인적 자질 실태와 전문적 자질 실태는 어떠한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하위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의 하위 영역 중 개인적 자질에서는 유아에 대한 사랑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실성, 업무관계, 원만한 인간관계의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전문적 자질의 하위 요인에서 전문적 지식, 교육기술, 교직에 대한 태도의 순으로 교육에 대한 태도가 다른 하위요인들 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의 하위 요인인 전문적 지식에서는 교육활동 융통성이 다른 사항들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기술에서는 누리과정 실천능역이 다른 사항들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에 대한 태도에서는 책임감이 다른 사항들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연령)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30대, 20대, 50대의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 전체는 30대, 20대, 40대의 집단이 50대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육기관)유형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국공립 유치원의 교사가 다른 모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 법인, 민간, 국공립 어린이집과 사립 유치원의 집단이 가정어린이집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자격증 소지)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유치원 정교사 1급의 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1, 2급과 유치원 정교사 2급의 집단이 보육교사 3급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 전체에 대해서는 유치원 정교사 1급의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1, 2급과 유치원 정교사 2급의 집단이 보육교사 3급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대학원 졸업의 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4년제 대학 졸업의 집단이 고등학교 졸업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 전체는 대학원 졸업의 집단이 가장 높고, 4년제 대학졸업, 전문대학 졸업, 고등학교 졸업의 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15년 이상, 15년 미만, 7년 미만의 집단이 2년 미만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 전체는 15년 미만, 10년 미만, 7년 미만, 5년 미만의 집단이 15년 이상, 2년 미만, 1년 미만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15년 이상의 집단이 1년
논 문 요 약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
이 혜 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소 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를 통해 유아교사의 성찰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모들에게는 교사에 대한 신뢰 및 이미지 구축에 의미를 두고, 유아교육 관계자들에게는 유아교사의 강점과 약점을 통해 유아교사의 요구 및 자질 덕목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들의 일반적 배경(연령, 교육기관, 자격증 소지, 최종 학력, 교육 경력, 결혼 유무)에 따른 자질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설문대상은 부산지역에 소재한 만3-5세 누리과정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4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409부를 최종적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측정도구는 개인적 자질(한수진, 2001)과 전문적 자질(황해익, 2003)에 대한 연구도구를 누리과정에 대한 설문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의 문항에 대한 방식은 ‘아주 부족함’의 1점에서부터 ‘아주 우수함’의 5점으로 반응하는 Likert식 5점 척도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는 개인적 자질의 하위 영역인 인성적 특성에 관한 10문항, 전문적 자질의 하위 영역 중 교직에 대한 태도 6문항, 교육기술 8문항, 전문적 지식 7문항, 일반적 배경 6문항을 포함하여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도구를 바탕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연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과 직교회전방식의 Varimax법을 통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 구성된 요인들의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개인적 자질 실태와 전문적 자질 실태는 어떠한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인적 자질 실태와 전문적 자질 실태는 어떠한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하위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및 전문적 자질에 관한 실태의 하위 영역 중 개인적 자질에서는 유아에 대한 사랑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실성, 업무관계, 원만한 인간관계의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전문적 자질의 하위 요인에서 전문적 지식, 교육기술, 교직에 대한 태도의 순으로 교육에 대한 태도가 다른 하위요인들 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의 하위 요인인 전문적 지식에서는 교육활동 융통성이 다른 사항들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기술에서는 누리과정 실천능역이 다른 사항들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에 대한 태도에서는 책임감이 다른 사항들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연령)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30대, 20대, 50대의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 전체는 30대, 20대, 40대의 집단이 50대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육기관)유형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국공립 유치원의 교사가 다른 모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 법인, 민간, 국공립 어린이집과 사립 유치원의 집단이 가정어린이집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자격증 소지)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유치원 정교사 1급의 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1, 2급과 유치원 정교사 2급의 집단이 보육교사 3급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 전체에 대해서는 유치원 정교사 1급의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1, 2급과 유치원 정교사 2급의 집단이 보육교사 3급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대학원 졸업의 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4년제 대학 졸업의 집단이 고등학교 졸업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 전체는 대학원 졸업의 집단이 가장 높고, 4년제 대학졸업, 전문대학 졸업, 고등학교 졸업의 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개인적 자질은 15년 이상, 15년 미만, 7년 미만의 집단이 2년 미만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적 자질 전체는 15년 미만, 10년 미만, 7년 미만, 5년 미만의 집단이 15년 이상, 2년 미만, 1년 미만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15년 이상의 집단이 1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