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언어발달 수준이 1년 이상 지체된 언어발달지체 유아에게 손짓기호 언어 중재가 구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구어는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 속에서의 구어로써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에 교사와 주양육자가 아동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휘를 조사하여 목표 어휘를 선정하였다. 손짓기호 언어중재는 목표어휘에 해당하는 손짓기호와 말을 모방 훈련한 뒤, 자연적인 놀이 상황에서 목표어휘를 표현해보면서 어휘 활용을 일반화하도록 하였다. 중재 후 가정에게 손짓기호 언어지도방법을 가정연계지도문과 수업동영상으로 제공하여, 유아가 다양한 환경에서 목표어휘를 활용하도록 유지시켰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손짓기호를 통한 언어중재가 아동의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중재는 주 2회,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손짓기호 언어중재는 두 단계, 손짓기호 및 구어 모방훈련 단계와 자연적 언어중재 단계로 이루어진다.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에서 아동이 자발적으로 발화하는 내용을 사건기록법으로 기록하여 두 아동의 시작발화의 횟수, 반응발화와 조음명료도의 표현율을 측정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관찰자 간 신뢰도와 중재충실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관찰자 간 신뢰도는 2명의 아동의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 부분에서 평균 90%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며, 중재충실도 또한 평균 94%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중재 후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언어발달 수준이 1년 이상 지체된 언어발달지체 유아에게 손짓기호 언어 중재가 구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구어는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 속에서의 구어로써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에 교사와 주양육자가 아동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휘를 조사하여 목표 어휘를 선정하였다. 손짓기호 언어중재는 목표어휘에 해당하는 손짓기호와 말을 모방 훈련한 뒤, 자연적인 놀이 상황에서 목표어휘를 표현해보면서 어휘 활용을 일반화하도록 하였다. 중재 후 가정에게 손짓기호 언어지도방법을 가정연계지도문과 수업동영상으로 제공하여, 유아가 다양한 환경에서 목표어휘를 활용하도록 유지시켰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손짓기호를 통한 언어중재가 아동의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중재는 주 2회,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손짓기호 언어중재는 두 단계, 손짓기호 및 구어 모방훈련 단계와 자연적 언어중재 단계로 이루어진다.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에서 아동이 자발적으로 발화하는 내용을 사건기록법으로 기록하여 두 아동의 시작발화의 횟수, 반응발화와 조음명료도의 표현율을 측정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관찰자 간 신뢰도와 중재충실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관찰자 간 신뢰도는 2명의 아동의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 부분에서 평균 90%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며, 중재충실도 또한 평균 94%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중재 후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 타당도 검사에서도 평균 94%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 2명의 아동 모두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중재를 통해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시작발화의 경우 아동 A는 20.8회 증가하였고, 아동 B는 28.8회 증가하였다. 반응발화의 경우 아동 A는 65.1% 증가하였고, 아동 B는 61.3% 증가하였다. 조음명료도의 경우 아동 A는 27.5% 증가하였고, 아동 B는 30.4%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짓기호 언어중재는 아동이 스스로 발화를 시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구어 표현 빈도가 낮은 아동에게 손짓기호가 보완적 기능으로 작용됨으로써 시작발화 빈도와 목소리 크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반응발화는 손짓기호를 통해 음운 단기기억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근감각을 이용한 손짓기호와 말이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청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부담이 줄어들면서 쉽게 어휘를 기억하도록 하였다. 셋째, 손 모양과 발음 위치를 함께 익힘으로써 조음명료도를 향상시켰다. 손짓기호에 따라 일관되게 음소를 반복적으로 적용하면서 정확한 음소로 변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넷째, 손 동작 모방 능력 수준이 높은 아동이 구어 표현 빈도 및 발화 길이가 더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다섯째, 손짓기호 단서를 보고 아동의 반향어가 감소되었다. 손짓기호에 따른 구어 표현을 아동이 예상하면서 반향어가 줄고, 상황에 맞는 구어를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섯째, ‘가정연계지도문’, 수업동영상 제공과 같은 방법으로 가정과의 연계를 통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일반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일곱째, 구어 표현이 익숙해진 어휘에 대하여 손짓기호를 점차 사용하지 않았다. 초반에는 손짓기호를 어려운 구어에 대한 보완적인 기능의 형태로 사용하다가 구어가 익숙해지면서 손짓기호 사용 빈도가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 중재가 손짓 모방 기술이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구어를 증진시킬 수 있음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손짓기호와 함께 구어를 사용하는 것은 손짓 모방 능력이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에게 긍정적인 구어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요어: 손짓기호, 언어중재, 언어발달지체, 구어
국문초록
본 연구는 언어발달 수준이 1년 이상 지체된 언어발달지체 유아에게 손짓기호 언어 중재가 구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구어는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 속에서의 구어로써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에 교사와 주양육자가 아동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휘를 조사하여 목표 어휘를 선정하였다. 손짓기호 언어중재는 목표어휘에 해당하는 손짓기호와 말을 모방 훈련한 뒤, 자연적인 놀이 상황에서 목표어휘를 표현해보면서 어휘 활용을 일반화하도록 하였다. 중재 후 가정에게 손짓기호 언어지도방법을 가정연계지도문과 수업동영상으로 제공하여, 유아가 다양한 환경에서 목표어휘를 활용하도록 유지시켰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손짓기호를 통한 언어중재가 아동의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중재는 주 2회,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손짓기호 언어중재는 두 단계, 손짓기호 및 구어 모방훈련 단계와 자연적 언어중재 단계로 이루어진다.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에서 아동이 자발적으로 발화하는 내용을 사건기록법으로 기록하여 두 아동의 시작발화의 횟수, 반응발화와 조음명료도의 표현율을 측정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관찰자 간 신뢰도와 중재충실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관찰자 간 신뢰도는 2명의 아동의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 부분에서 평균 90%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며, 중재충실도 또한 평균 94%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중재 후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 타당도 검사에서도 평균 94%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 2명의 아동 모두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중재를 통해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명료도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시작발화의 경우 아동 A는 20.8회 증가하였고, 아동 B는 28.8회 증가하였다. 반응발화의 경우 아동 A는 65.1% 증가하였고, 아동 B는 61.3% 증가하였다. 조음명료도의 경우 아동 A는 27.5% 증가하였고, 아동 B는 30.4%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짓기호 언어중재는 아동이 스스로 발화를 시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구어 표현 빈도가 낮은 아동에게 손짓기호가 보완적 기능으로 작용됨으로써 시작발화 빈도와 목소리 크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반응발화는 손짓기호를 통해 음운 단기기억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근감각을 이용한 손짓기호와 말이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청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부담이 줄어들면서 쉽게 어휘를 기억하도록 하였다. 셋째, 손 모양과 발음 위치를 함께 익힘으로써 조음명료도를 향상시켰다. 손짓기호에 따라 일관되게 음소를 반복적으로 적용하면서 정확한 음소로 변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넷째, 손 동작 모방 능력 수준이 높은 아동이 구어 표현 빈도 및 발화 길이가 더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다섯째, 손짓기호 단서를 보고 아동의 반향어가 감소되었다. 손짓기호에 따른 구어 표현을 아동이 예상하면서 반향어가 줄고, 상황에 맞는 구어를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섯째, ‘가정연계지도문’, 수업동영상 제공과 같은 방법으로 가정과의 연계를 통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일반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일곱째, 구어 표현이 익숙해진 어휘에 대하여 손짓기호를 점차 사용하지 않았다. 초반에는 손짓기호를 어려운 구어에 대한 보완적인 기능의 형태로 사용하다가 구어가 익숙해지면서 손짓기호 사용 빈도가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 중재가 손짓 모방 기술이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구어를 증진시킬 수 있음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손짓기호와 함께 구어를 사용하는 것은 손짓 모방 능력이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에게 긍정적인 구어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