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anguage Experience Approach(LEA)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어휘 수가 매우 적고 표현어휘력이 고착되어 있으며 수용어휘력이 부족하여 언어사용에 전반적인 어려움이 있는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아동의 어휘력을 향상시키는 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수용어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표현어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어휘력 향상을 위해 특별히 훈련 받은 적이 없고, 간단한 구어적 지시를 이해하고 수행이 가능하며, 다른 감각에 손상이 없는 병원에서 정신지체로 진단받은 3명의 학생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학생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경험하게 하고, 경험 책을 만들어 어휘력과 문장의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활동 수업이며, 2013년 9월부터 둘째 주부터 10월 셋째 주까지 한 회기를 80분으로 하여 주 1회씩 총 5회기(1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지도에 적용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에게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수용어휘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지도에 적용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에게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표현어휘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와 관찰을 통해 계속 되어야 할 연구과제와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소수의 연구 대상을 상대로 짧은 실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때문에 연구 결과도 다소 제한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연구 대상의 수, 기간, 장애 정도 및 연령을 확대시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다양한 언어교육 프로그램 중 어떤 영역이 대상 아동에게 더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 지기를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어휘력 향상을 살펴보고자 하였기에 말하기 영역과 듣기 영역으로 제한하였고, 따라서 읽기 및 쓰기 영역을 포함한 국어 전영역의 ...
본 연구는 어휘 수가 매우 적고 표현어휘력이 고착되어 있으며 수용어휘력이 부족하여 언어사용에 전반적인 어려움이 있는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아동의 어휘력을 향상시키는 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수용어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표현어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어휘력 향상을 위해 특별히 훈련 받은 적이 없고, 간단한 구어적 지시를 이해하고 수행이 가능하며, 다른 감각에 손상이 없는 병원에서 정신지체로 진단받은 3명의 학생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학생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경험하게 하고, 경험 책을 만들어 어휘력과 문장의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활동 수업이며, 2013년 9월부터 둘째 주부터 10월 셋째 주까지 한 회기를 80분으로 하여 주 1회씩 총 5회기(1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지도에 적용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에게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수용어휘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지도에 적용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에게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표현어휘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와 관찰을 통해 계속 되어야 할 연구과제와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소수의 연구 대상을 상대로 짧은 실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때문에 연구 결과도 다소 제한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연구 대상의 수, 기간, 장애 정도 및 연령을 확대시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다양한 언어교육 프로그램 중 어떤 영역이 대상 아동에게 더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 지기를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어휘력 향상을 살펴보고자 하였기에 말하기 영역과 듣기 영역으로 제한하였고, 따라서 읽기 및 쓰기 영역을 포함한 국어 전영역의 통합적 접근은 시도되지 못하였다. 이에 이후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영역까지도 다루어져 언어경험 중심 교수법이 지닌 효과를 기대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 향상만을 평가하였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어휘력 뿐만 아니라 문장 수준까지도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각 주제에 따른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공간적, 시간적 제한을 많이 받았는데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주말 프로그램 및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연구도 이루어 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어휘 수가 매우 적고 표현어휘력이 고착되어 있으며 수용어휘력이 부족하여 언어사용에 전반적인 어려움이 있는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아동의 어휘력을 향상시키는 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수용어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표현어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어휘력 향상을 위해 특별히 훈련 받은 적이 없고, 간단한 구어적 지시를 이해하고 수행이 가능하며, 다른 감각에 손상이 없는 병원에서 정신지체로 진단받은 3명의 학생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학생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경험하게 하고, 경험 책을 만들어 어휘력과 문장의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활동 수업이며, 2013년 9월부터 둘째 주부터 10월 셋째 주까지 한 회기를 80분으로 하여 주 1회씩 총 5회기(1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지도에 적용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에게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수용어휘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지도에 적용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에게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표현어휘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와 관찰을 통해 계속 되어야 할 연구과제와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소수의 연구 대상을 상대로 짧은 실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때문에 연구 결과도 다소 제한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연구 대상의 수, 기간, 장애 정도 및 연령을 확대시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다양한 언어교육 프로그램 중 어떤 영역이 대상 아동에게 더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 지기를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어휘력 향상을 살펴보고자 하였기에 말하기 영역과 듣기 영역으로 제한하였고, 따라서 읽기 및 쓰기 영역을 포함한 국어 전영역의 통합적 접근은 시도되지 못하였다. 이에 이후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영역까지도 다루어져 언어경험 중심 교수법이 지닌 효과를 기대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 향상만을 평가하였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어휘력 뿐만 아니라 문장 수준까지도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각 주제에 따른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공간적, 시간적 제한을 많이 받았는데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주말 프로그램 및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연구도 이루어 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lare the effect of Language Experience Approach(LEA)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ho have difficulties with language usages because of few number of vocabulary, a fixed expressive vocabulary, and a lack of receptive vocabul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lare the effect of Language Experience Approach(LEA)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ho have difficulties with language usages because of few number of vocabulary, a fixed expressive vocabulary, and a lack of receptive vocabular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impacts of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on a receptive vocabular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Second, what are the impacts of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on an expressive vocabular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For the objects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ho are diagnosed with mental retardation medically, they did not have any chance to be trained by specialized language training, but could follow the simple oral direction. Also, they did not have any other sensory disorders. This study used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by letting the students experience subjects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in various ways, at the same time, the activities based classes were held to improve vocabulary and sentence comprehension by making the Big Book. From second week of September to third week of October in 2013, one session arranged eighty minutes, once a week, total of five sessions(10 tim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anguage teaching by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affected to improve receptiv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ith little differences depends on child with intellectual disorders. Second, language teaching by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affected to improve expressiv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ith little differences depends on child with intellectual disorders. The results and observation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directions. First, because this study was based on small number of subjects during short period of time, results should be accepted as somewhat limited. Thus, research needs to be done by expanding the number of subjects, period, and degree of disability and age. Second, during this research, various languag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LEA were carried out, but the more details of programs need to be studied later on, because the study could not identify which area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vocabulary. Third, because this study basically tried to declare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nly speaking and listening were studied. Therefore, we need to declare the effects of all areas of languages by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part. Fourth, this study only evaluated vocabulary improvement, but sentence level also need to be studied later on. Fifth, during this study, there were spatial and time limits. In order to improve like this occasion, the weekend programs and parents involving programs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lare the effect of Language Experience Approach(LEA)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ho have difficulties with language usages because of few number of vocabulary, a fixed expressive vocabulary, and a lack of receptive vocabular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impacts of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on a receptive vocabular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Second, what are the impacts of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on an expressive vocabular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For the objects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ho are diagnosed with mental retardation medically, they did not have any chance to be trained by specialized language training, but could follow the simple oral direction. Also, they did not have any other sensory disorders. This study used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by letting the students experience subjects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in various ways, at the same time, the activities based classes were held to improve vocabulary and sentence comprehension by making the Big Book. From second week of September to third week of October in 2013, one session arranged eighty minutes, once a week, total of five sessions(10 tim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anguage teaching by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affected to improve receptiv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ith little differences depends on child with intellectual disorders. Second, language teaching by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affected to improve expressiv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ith little differences depends on child with intellectual disorders. The results and observation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directions. First, because this study was based on small number of subjects during short period of time, results should be accepted as somewhat limited. Thus, research needs to be done by expanding the number of subjects, period, and degree of disability and age. Second, during this research, various languag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LEA were carried out, but the more details of programs need to be studied later on, because the study could not identify which area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vocabulary. Third, because this study basically tried to declare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nly speaking and listening were studied. Therefore, we need to declare the effects of all areas of languages by language training program using LEA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part. Fourth, this study only evaluated vocabulary improvement, but sentence level also need to be studied later on. Fifth, during this study, there were spatial and time limits. In order to improve like this occasion, the weekend programs and parents involving programs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