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빠르게 발전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의 연계가 강조되는 융합이 중요시되고 있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는 창의적 사고력을 지니고, 과학기술 지식과 예술적 감성 및 인문학적 소양까지 아우르는 다빈치형 인간이라고 한다. 이러한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과학, 기술, 예술, 인문, 수학, 공학 등을 아우르는 창의적 사고력과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지니도록 교육에서도 분과학문적인 지식의 틀을 깨고 새로운 발상을 할 수 있는 ...
지식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빠르게 발전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의 연계가 강조되는 융합이 중요시되고 있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는 창의적 사고력을 지니고, 과학기술 지식과 예술적 감성 및 인문학적 소양까지 아우르는 다빈치형 인간이라고 한다. 이러한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과학, 기술, 예술, 인문, 수학, 공학 등을 아우르는 창의적 사고력과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지니도록 교육에서도 분과학문적인 지식의 틀을 깨고 새로운 발상을 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자기관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학생들의 지성과 감성을 균형있게 발달시키도록 다양한 차원에서 내용적 연계가 역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학교 현장의 융합 교육은 대체로 과학, 미술, 음악 등 일부 교과에서 한정적으로 실행되고 초등학생 대상의 연구가 절반 이상으로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융합 교육은 적은 편이다. 또한 융합 교육에 대한 내용적 연계 측면에서 학생의 특성과 수준, 교육현장의 특성 등을 고려하지 못하고 단순한 교과나 소재의 배열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창의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한 우수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학생의 특성과 교육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차원과 수준에서 융합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이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반영하여 재구성한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국어 교과와 전문 교과의 융합 수업 모형과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융합 수업이 학생들의 국어 수업 태도와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융합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선 융합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재구성과 국어과 융합수업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학습의 특성과 절차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직업기초능력의 개념을 밝히고, 교육과정 핵심역량을 살펴보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론적 논의에 이어 Ⅲ장에서는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국어과 융합 수업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경기도 이천시 소재 특성화 고등학교인 한국도예고등학교 1학년 전체 73명을 대상으로 교과 융합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후 국어 수업 태도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지는 연구자가 자체 개발하고 동료 국어 교사와 국어교육 전문 연구자의 검토와 예비 검사를 실시한 후 수정하여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융합 수업의 지도 모형과 지도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국어과 융합 수업을 실시한 연구 결과를 고찰하였다. 먼저 사전․사후 검사 자료를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과 융합 프로젝트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은 학생들의 국어 수업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은 직업기초능력의 하위 영역인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도 의사소통에 대한 관심과 흥미, 의사소통 습관 요인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은 직업기초능력의 하위 영역인 자기개발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개발 계획과 전략에 대한 인식과 자기개발 자신감 요인이 가장 높은 향상을 보였다. 넷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니 교과 융합 프로젝트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중에서도 국어 수업의 흥미와 참여 향상이 가장 높은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사후 반응을 살펴본바, 많은 학생들이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자신감이 향상되어 재참여 의사를 밝혔다. 특히 의사소통능력과 자기개발능력 등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반응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통제 집단 없이 실험 집단으로만 진행되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이 국어 수업 태도와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한다는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국어 교과와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 교과와의 융합 수업 사례를 통해 색다른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을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학교 급의 여러 교과 간에 교과 융합 프로젝트 수업 모형이 구안되고 다각적 연구와 실천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지식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빠르게 발전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의 연계가 강조되는 융합이 중요시되고 있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는 창의적 사고력을 지니고, 과학기술 지식과 예술적 감성 및 인문학적 소양까지 아우르는 다빈치형 인간이라고 한다. 이러한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과학, 기술, 예술, 인문, 수학, 공학 등을 아우르는 창의적 사고력과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지니도록 교육에서도 분과학문적인 지식의 틀을 깨고 새로운 발상을 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자기관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학생들의 지성과 감성을 균형있게 발달시키도록 다양한 차원에서 내용적 연계가 역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학교 현장의 융합 교육은 대체로 과학, 미술, 음악 등 일부 교과에서 한정적으로 실행되고 초등학생 대상의 연구가 절반 이상으로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융합 교육은 적은 편이다. 또한 융합 교육에 대한 내용적 연계 측면에서 학생의 특성과 수준, 교육현장의 특성 등을 고려하지 못하고 단순한 교과나 소재의 배열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창의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한 우수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학생의 특성과 교육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차원과 수준에서 융합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이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반영하여 재구성한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국어 교과와 전문 교과의 융합 수업 모형과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융합 수업이 학생들의 국어 수업 태도와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융합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선 융합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재구성과 국어과 융합수업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학습의 특성과 절차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직업기초능력의 개념을 밝히고, 교육과정 핵심역량을 살펴보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론적 논의에 이어 Ⅲ장에서는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국어과 융합 수업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경기도 이천시 소재 특성화 고등학교인 한국도예고등학교 1학년 전체 73명을 대상으로 교과 융합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후 국어 수업 태도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지는 연구자가 자체 개발하고 동료 국어 교사와 국어교육 전문 연구자의 검토와 예비 검사를 실시한 후 수정하여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융합 수업의 지도 모형과 지도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국어과 융합 수업을 실시한 연구 결과를 고찰하였다. 먼저 사전․사후 검사 자료를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과 융합 프로젝트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은 학생들의 국어 수업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은 직업기초능력의 하위 영역인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도 의사소통에 대한 관심과 흥미, 의사소통 습관 요인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은 직업기초능력의 하위 영역인 자기개발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개발 계획과 전략에 대한 인식과 자기개발 자신감 요인이 가장 높은 향상을 보였다. 넷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니 교과 융합 프로젝트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중에서도 국어 수업의 흥미와 참여 향상이 가장 높은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사후 반응을 살펴본바, 많은 학생들이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자신감이 향상되어 재참여 의사를 밝혔다. 특히 의사소통능력과 자기개발능력 등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반응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통제 집단 없이 실험 집단으로만 진행되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융합 수업이 국어 수업 태도와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한다는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국어 교과와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 교과와의 융합 수업 사례를 통해 색다른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을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학교 급의 여러 교과 간에 교과 융합 프로젝트 수업 모형이 구안되고 다각적 연구와 실천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