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시간제보육서비스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 및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로 나아가기 위한 공적보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본 사업에 대한 바람직한 서비스 개선과 정착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함께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혼합 연구방법으로,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 312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설문조사에서 드러나지 않는 구체적인 내용을 보완하고자 어머니 6명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는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설문조사는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11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이선아(2011)의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와 김은영(2015)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에 관한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11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은영(2015)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연구에 관한 설문지와 육아정책연구소(2014)의 시간제보육 이용 부모 조사 설문지, 김설아(2015)의 시간제보육서비스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이용실태와 인식도의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34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넷째, 어머니와의 심층면담 질문지는 양적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 문항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
본 연구는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시간제보육서비스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 및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로 나아가기 위한 공적보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본 사업에 대한 바람직한 서비스 개선과 정착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함께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혼합 연구방법으로,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 312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설문조사에서 드러나지 않는 구체적인 내용을 보완하고자 어머니 6명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는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설문조사는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11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이선아(2011)의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와 김은영(2015)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에 관한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11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은영(2015)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연구에 관한 설문지와 육아정책연구소(2014)의 시간제보육 이용 부모 조사 설문지, 김설아(2015)의 시간제보육서비스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이용실태와 인식도의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34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넷째, 어머니와의 심층면담 질문지는 양적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 문항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만족도 차이 및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독립 이표본 t-test, 단순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와의 심층면담은 녹음 한 후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들은 시간제보육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서비스제공기관과 교사에 대한 신뢰가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들은 서비스 선택 시 집에서의 접근성 거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위의 결과는 설문조사, 심층면담 모두 같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제공기관의 개소수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시간제보육서비스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시간제보육서비스의 인적환경에 대해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고, 예약신청 및 취소에 대해서는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이는 심층면담에서도 같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예약시스템의 번거로움에 따른 이용지원 서비스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그 중 어머니의 지원유형별 만족도에서는 기본형보다 맞벌이형의 이용시간 만족도가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와 달리 심층면담에서는 두 지원유형 모두 이용시간의 부족으로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향후 이용시간에 대한 긴급 바우처 제공 등 지원유형에 따른 상황적 이용사례를 통한 제도적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시간제보육서비스의 현 상황을 논의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향후 시간제보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시간제보육서비스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 및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로 나아가기 위한 공적보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본 사업에 대한 바람직한 서비스 개선과 정착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함께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혼합 연구방법으로,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 312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설문조사에서 드러나지 않는 구체적인 내용을 보완하고자 어머니 6명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는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설문조사는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11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이선아(2011)의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와 김은영(2015)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에 관한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11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은영(2015)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연구에 관한 설문지와 육아정책연구소(2014)의 시간제보육 이용 부모 조사 설문지, 김설아(2015)의 시간제보육서비스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이용실태와 인식도의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34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넷째, 어머니와의 심층면담 질문지는 양적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 문항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만족도 차이 및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독립 이표본 t-test, 단순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와의 심층면담은 녹음 한 후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제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들은 시간제보육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서비스제공기관과 교사에 대한 신뢰가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들은 서비스 선택 시 집에서의 접근성 거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위의 결과는 설문조사, 심층면담 모두 같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제공기관의 개소수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시간제보육서비스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시간제보육서비스의 인적환경에 대해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고, 예약신청 및 취소에 대해서는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이는 심층면담에서도 같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예약시스템의 번거로움에 따른 이용지원 서비스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그 중 어머니의 지원유형별 만족도에서는 기본형보다 맞벌이형의 이용시간 만족도가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와 달리 심층면담에서는 두 지원유형 모두 이용시간의 부족으로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향후 이용시간에 대한 긴급 바우처 제공 등 지원유형에 따른 상황적 이용사례를 통한 제도적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시간제보육서비스의 현 상황을 논의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향후 시간제보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mot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and to develop consumer-centered child care services. The current study used ...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mot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and to develop consumer-centered child care services. The current study used a combined method,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312 mothers, currently using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Furthermore, in order to supplement specific detail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mothers.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the survey with 11 questions was used. Also, the questionnaires from the studies of Lee (2011) and E. Kim (2015) were revised into 11 questions to examine mothers’ percep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In order to investigate mothers’ satisfac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the questionnaires from the studies of E. Kim (2015),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4), and S. Kim (2015) were modified into 34 questions and used.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questionnaires. In order to investigate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percep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Moreov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others’ satisfaction and its effect, one-way ANOVA, t-test,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Lastly, the in-depth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who use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perceived that the services were highly important, their trusts in child care centers and teachers were high, and perceived the distance and accessibility to child care services were important.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both in the questionnaires and the interviews, indicating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services. Furthermore, moth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ersonnels who provide child care services, but not satisfied with reservation and cancellation systems. These findings from the surveys were congruent with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those who use the child care services. Moreover,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s, the mothers from double-income household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hild care services than the mothers from regular households.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the mothers from both types of household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ystem by providing vouchers or alternative support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hours and specific cases. Thus,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by examining child care services both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by suggesting implica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mot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and to develop consumer-centered child care services. The current study used a combined method,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312 mothers, currently using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Furthermore, in order to supplement specific detail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mothers.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the survey with 11 questions was used. Also, the questionnaires from the studies of Lee (2011) and E. Kim (2015) were revised into 11 questions to examine mothers’ percep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In order to investigate mothers’ satisfac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the questionnaires from the studies of E. Kim (2015),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4), and S. Kim (2015) were modified into 34 questions and used.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questionnaires. In order to investigate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perception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Moreov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others’ satisfaction and its effect, one-way ANOVA, t-test,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Lastly, the in-depth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who use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perceived that the services were highly important, their trusts in child care centers and teachers were high, and perceived the distance and accessibility to child care services were important.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both in the questionnaires and the interviews, indicating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services. Furthermore, moth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ersonnels who provide child care services, but not satisfied with reservation and cancellation systems. These findings from the surveys were congruent with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those who use the child care services. Moreover,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s, the mothers from double-income household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hild care services than the mothers from regular households.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the mothers from both types of household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ystem by providing vouchers or alternative support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hours and specific cases. Thus,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by examining child care services both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by suggesting implica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t-time child care servi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