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 행동 성향을 줄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태만은 혼자서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집단에 속하여 과제를 수행할 때 노력을 덜 기울이는 현상이다. 이는 성인에게서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태만이 나타나는 시점은 조망수용능력이 발달하여 타인의 감정을 유추할 수 있게 되면서 부터이다. 자신의 태만으로 인해서 타인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사회적 태만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사회적 태만은 사회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친사회적으로 행동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정도에 따라서 사회적 태만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바람직한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친사회적으로 행동하고 사회적 태만을 나타내지 않으려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요소를 포함한 신체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을 지양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유도하였다. 사회성 요소를 포함한 신체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비구조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은 사회적 태만과 관련된 영향요인과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 다양한 상호작용, 협동, 배려, 뚜렷한 공동의 목표, ...
본 연구는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 행동 성향을 줄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태만은 혼자서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집단에 속하여 과제를 수행할 때 노력을 덜 기울이는 현상이다. 이는 성인에게서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태만이 나타나는 시점은 조망수용능력이 발달하여 타인의 감정을 유추할 수 있게 되면서 부터이다. 자신의 태만으로 인해서 타인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사회적 태만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사회적 태만은 사회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친사회적으로 행동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정도에 따라서 사회적 태만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바람직한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친사회적으로 행동하고 사회적 태만을 나타내지 않으려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요소를 포함한 신체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을 지양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유도하였다. 사회성 요소를 포함한 신체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비구조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은 사회적 태만과 관련된 영향요인과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 다양한 상호작용, 협동, 배려, 뚜렷한 공동의 목표, 사회적지지 경험, 가시적으로 사회적 태만 행동 파악, 잦은 친사회적 행동 유도와 같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A시에 위치한 B유치원의 만 4세 유아 60명(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27일부터 2016년 9월 5일까지 총 27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 적용 전에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실시하였고, 적용 후에 다시 한 번 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사회적 태만,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보았다. 자료는 SPSSWIN(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사회적 태만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사회적 태만이 감소한 반면, 비교집단의 유아는 사회적 태만이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모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태만 감소와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고민과, 학습자 위주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가지는 장점이 부각되어 유아의 선택을 존중하는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태만에도 관심을 가지고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 행동 성향을 줄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태만은 혼자서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집단에 속하여 과제를 수행할 때 노력을 덜 기울이는 현상이다. 이는 성인에게서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태만이 나타나는 시점은 조망수용능력이 발달하여 타인의 감정을 유추할 수 있게 되면서 부터이다. 자신의 태만으로 인해서 타인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사회적 태만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사회적 태만은 사회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친사회적으로 행동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정도에 따라서 사회적 태만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바람직한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친사회적으로 행동하고 사회적 태만을 나타내지 않으려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요소를 포함한 신체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을 지양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유도하였다. 사회성 요소를 포함한 신체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비구조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은 사회적 태만과 관련된 영향요인과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 다양한 상호작용, 협동, 배려, 뚜렷한 공동의 목표, 사회적지지 경험, 가시적으로 사회적 태만 행동 파악, 잦은 친사회적 행동 유도와 같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A시에 위치한 B유치원의 만 4세 유아 60명(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27일부터 2016년 9월 5일까지 총 27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 적용 전에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실시하였고, 적용 후에 다시 한 번 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사회적 태만,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보았다. 자료는 SPSS WIN(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사회적 태만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사회적 태만이 감소한 반면, 비교집단의 유아는 사회적 태만이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모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태만 감소와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고민과, 학습자 위주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가지는 장점이 부각되어 유아의 선택을 존중하는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태만에도 관심을 가지고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Social Loafing and to develop and apply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allows Children to increase prosocial behavior. Social Loafing is a phenomenon that belongs to a group and does not make much effort when carrying out tasks, rather than performing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Social Loafing and to develop and apply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allows Children to increase prosocial behavior. Social Loafing is a phenomenon that belongs to a group and does not make much effort when carrying out tasks, rather than performing the task alone. Social Loafing is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Social Loafing is an adult and a Children. Social Loafing happens when it becomes possible to analogize the feelings of others. I know that Social Loafing, others' efforts are necessary. However, Social Loafing will occur. Social Loafing is also closely related to sociality.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Loafing may vary depending on how much consideration is given to others. Promotion of Prosocial Behavior and removal of Social Loafing are absolutely necessary.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body program of the body including elements of sociality.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ried to delete Children's Social Loafing.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ried to promot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is a learner centered.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ffect was a total of 27 sessions from June 27, 2016 to September 5, 2016 for 60 year old 4-year-old Children (30 experimental groups, 30 comparative groups).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We conducted the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tests of Children before and saw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by conducting the exam again after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he data utilized independent specimen t test and member arrangement variance analysis (ANOVA) using SPSS WIN (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3.0 program. First, Children of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xperiment group decreased Social Loafing score. Social Loafing score increased from Children of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comparison group. Secondly, the Children of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xperiment group has increased Prosocial Behavior. Both of the sub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of this study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reduction of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classes will be actively made that respect Children 's choice. I hope that active studies of Children's Social Loafing will be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Social Loafing and to develop and apply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allows Children to increase prosocial behavior. Social Loafing is a phenomenon that belongs to a group and does not make much effort when carrying out tasks, rather than performing the task alone. Social Loafing is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Social Loafing is an adult and a Children. Social Loafing happens when it becomes possible to analogize the feelings of others. I know that Social Loafing, others' efforts are necessary. However, Social Loafing will occur. Social Loafing is also closely related to sociality.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Loafing may vary depending on how much consideration is given to others. Promotion of Prosocial Behavior and removal of Social Loafing are absolutely necessary.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body program of the body including elements of sociality.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ried to delete Children's Social Loafing.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ried to promot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is a learner centered.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ffect was a total of 27 sessions from June 27, 2016 to September 5, 2016 for 60 year old 4-year-old Children (30 experimental groups, 30 comparative groups).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We conducted the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tests of Children before and saw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by conducting the exam again after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he data utilized independent specimen t test and member arrangement variance analysis (ANOVA) using SPSS WIN (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3.0 program. First, Children of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xperiment group decreased Social Loafing score. Social Loafing score increased from Children of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comparison group. Secondly, the Children of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xperiment group has increased Prosocial Behavior. Both of the sub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of this study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reduction of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classes will be actively made that respect Children 's choice. I hope that active studies of Children's Social Loafing will be conduc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