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원문보기
본 연구는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J유치원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환경이 비슷한 만 4세의 유아 40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되는 Barnett(1991)이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 (Children's ...
본 연구는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J유치원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환경이 비슷한 만 4세의 유아 40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되는 Barnett(1991)이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 (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고 김미숙(2001)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경원(2005)의 ‘유아의 종합 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창의성의 주요 척도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4가지 요인을 측정하는 종합 창의성 검사 도구이다. 본 연구는 10주 동안 총 20회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은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비교집단은 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제공하여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적인 검증을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놀이성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놀이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놀이성의 하위 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서도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은 유아의 놀이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창의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창의성의 하위 영역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서도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하여 구성놀이를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구조적 놀잇감을 더 많이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J유치원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환경이 비슷한 만 4세의 유아 40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되는 Barnett(1991)이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 (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고 김미숙(2001)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경원(2005)의 ‘유아의 종합 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창의성의 주요 척도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4가지 요인을 측정하는 종합 창의성 검사 도구이다. 본 연구는 10주 동안 총 20회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은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비교집단은 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제공하여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적인 검증을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놀이성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놀이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놀이성의 하위 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서도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은 유아의 놀이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창의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창의성의 하위 영역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서도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하여 구성놀이를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구조적 놀잇감을 더 많이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 To achieve the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rawn.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 To achieve the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rawn.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four-year-old children in P kindergartens located in Ansan city, Gyeonggi Province. Among them, 20 young children were assign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20 young children were assigned in a control group. CPS (Children's Playfulness Scale) which has developed by Barnett(1991), translated by Yu Ea-yeol (1994) and revised by Kim Mi-sook (2001)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additio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Jeon Kyeong-Won(2005) was adopted to evaluate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20 times for 10 wee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layed by using the unstructured play materi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21.0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cluding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sense of humor.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layfulness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give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layfulness. Seco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including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affects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ity. The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diverse unstructured play materials in order to enhanc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 To achieve the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rawn.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four-year-old children in P kindergartens located in Ansan city, Gyeonggi Province. Among them, 20 young children were assign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20 young children were assigned in a control group. CPS (Children's Playfulness Scale) which has developed by Barnett(1991), translated by Yu Ea-yeol (1994) and revised by Kim Mi-sook (2001)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additio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Jeon Kyeong-Won(2005) was adopted to evaluate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20 times for 10 wee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layed by using the unstructured play materi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21.0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cluding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sense of humor.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layfulness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give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layfulness. Seco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including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tructive play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affects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ity. The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diverse unstructured play materials in order to enhanc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