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인구규모가 큰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와 함께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이들이 경험한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험으로 인해 기존의 노인세대와는 차별되고 세분화된 라이프스타일을 나타내면서, 뉴시니어(New Senior) 또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들은 건강과 안정된 경제력, 학력을 바탕으로 소득과 소비수준이 높으며 자녀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은퇴 이후 삶에서 취미여가생활에 대한 욕구가 높다. 노년기에 여가는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일 중심적으로 살아온 이들 세대에게 은퇴 이후 늘어난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 하는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인 고령자 단계로의 진입이 시작되는 시점인 만큼,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여가복지시설 공간설계의 기본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여가복지시설 중에서는 노인복지관의 만족도가 가장 높지만 향후 주 이용자들이 될 신노년층의 욕구에 맞는 노인복지관으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그룹별 특징을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노인 복지시설의 공간의 선호도 분석을 통해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공간을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서울에 거주하는 1955-1963년생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하는 노인복지관 공간 선호도에 대한 조사이다.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 대상의 개념과 특성을 정립하고 라이프스타일 측정항목과 노인복지관 공간에 대한 선호도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서울지역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을 5가지 군집으로 분류하고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특징과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군집은 성별, 소득, 직업, 거주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군집별로 노인복지관공간 선호도에 따른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군집 A는 사교적이고 경제·소비활동이 활발한 군집으로 이 군집은 평생교육지원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실내공간에서 기능적 편의와 안전에 다른 군집보다 우선 적용이 필요하다. 2) 군집 B는 보수적 가치관이 높은 사무직 남성 비율이 높은 군집으로, 시설과 프로그램, 강사의 전문성 개선을 가장 필요로 하고 공간적인 면에서 노인복지관이 가진 기본적인 기능에 보다 집중할 것이 요구된다. 3) 군집 C는 교육과 건강에 관심이 많은 고소득·고학력자 군집으로, 노인복지센터에 대한 필요도는 높지만 공간 선호도에서 군집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군집이다. 이들을 위해 비용을 높이더라도 전문적인 기관과 복합화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4) 군집 D는 취미활동에 관심이 높으나 독립적인 성향으로 노인복지관 필요도가 다른 군집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군집이다. 이 군집을 위해서는 노인복지관 인식에 대한 개선이 우선으로 필요하다고 보인다. 5) 군집 E는 여성·주부가 많은 군집으로 유행과 다른 세대와 교류에 관심이 많은 군집이다. 이 군집을 위해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예술활동을 위한 취미여가지원공간, 사회참여 지원 공간을 우선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노인복지관 실내 ...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인구규모가 큰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와 함께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이들이 경험한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험으로 인해 기존의 노인세대와는 차별되고 세분화된 라이프스타일을 나타내면서, 뉴시니어(New Senior) 또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들은 건강과 안정된 경제력, 학력을 바탕으로 소득과 소비수준이 높으며 자녀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은퇴 이후 삶에서 취미여가생활에 대한 욕구가 높다. 노년기에 여가는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일 중심적으로 살아온 이들 세대에게 은퇴 이후 늘어난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 하는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인 고령자 단계로의 진입이 시작되는 시점인 만큼,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여가복지시설 공간설계의 기본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여가복지시설 중에서는 노인복지관의 만족도가 가장 높지만 향후 주 이용자들이 될 신노년층의 욕구에 맞는 노인복지관으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그룹별 특징을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노인 복지시설의 공간의 선호도 분석을 통해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공간을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서울에 거주하는 1955-1963년생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하는 노인복지관 공간 선호도에 대한 조사이다.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 대상의 개념과 특성을 정립하고 라이프스타일 측정항목과 노인복지관 공간에 대한 선호도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서울지역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을 5가지 군집으로 분류하고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특징과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군집은 성별, 소득, 직업, 거주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군집별로 노인복지관공간 선호도에 따른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군집 A는 사교적이고 경제·소비활동이 활발한 군집으로 이 군집은 평생교육지원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실내공간에서 기능적 편의와 안전에 다른 군집보다 우선 적용이 필요하다. 2) 군집 B는 보수적 가치관이 높은 사무직 남성 비율이 높은 군집으로, 시설과 프로그램, 강사의 전문성 개선을 가장 필요로 하고 공간적인 면에서 노인복지관이 가진 기본적인 기능에 보다 집중할 것이 요구된다. 3) 군집 C는 교육과 건강에 관심이 많은 고소득·고학력자 군집으로, 노인복지센터에 대한 필요도는 높지만 공간 선호도에서 군집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군집이다. 이들을 위해 비용을 높이더라도 전문적인 기관과 복합화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4) 군집 D는 취미활동에 관심이 높으나 독립적인 성향으로 노인복지관 필요도가 다른 군집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군집이다. 이 군집을 위해서는 노인복지관 인식에 대한 개선이 우선으로 필요하다고 보인다. 5) 군집 E는 여성·주부가 많은 군집으로 유행과 다른 세대와 교류에 관심이 많은 군집이다. 이 군집을 위해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예술활동을 위한 취미여가지원공간, 사회참여 지원 공간을 우선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노인복지관 실내 공간 요소의 우선순위는 쾌적한 환경 > 기능적 편의 > 안전성 > 사회적 교류 >디자인 순으로 일부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나 공간 계획에 있어 쾌적한 환경에 대해 우선적으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 있어 의의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향후 노인복지관의 주 이용객이 될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노인복지관 공간계획의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서울시로 한정된다는 점에서 전체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인터넷 설문 조사로 인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계층의 선호도가 반영되지 않는다. 베이비부머의 노인복지관에 대한 공간 선호도에 있어 베이비부머 세대가 아직 노인복지관을 이용자가 많지 않으므로 추후 연구 결과에 따라 공간 선호도에 있어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과 노인복지관에 대한 공간과 프로그램에 대해 심도 있는 후속 연구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인구규모가 큰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와 함께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이들이 경험한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험으로 인해 기존의 노인세대와는 차별되고 세분화된 라이프스타일을 나타내면서, 뉴시니어(New Senior) 또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들은 건강과 안정된 경제력, 학력을 바탕으로 소득과 소비수준이 높으며 자녀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은퇴 이후 삶에서 취미여가생활에 대한 욕구가 높다. 노년기에 여가는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일 중심적으로 살아온 이들 세대에게 은퇴 이후 늘어난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 하는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인 고령자 단계로의 진입이 시작되는 시점인 만큼,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여가복지시설 공간설계의 기본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여가복지시설 중에서는 노인복지관의 만족도가 가장 높지만 향후 주 이용자들이 될 신노년층의 욕구에 맞는 노인복지관으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그룹별 특징을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노인 복지시설의 공간의 선호도 분석을 통해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공간을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서울에 거주하는 1955-1963년생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하는 노인복지관 공간 선호도에 대한 조사이다.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 대상의 개념과 특성을 정립하고 라이프스타일 측정항목과 노인복지관 공간에 대한 선호도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서울지역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을 5가지 군집으로 분류하고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특징과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군집은 성별, 소득, 직업, 거주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군집별로 노인복지관공간 선호도에 따른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군집 A는 사교적이고 경제·소비활동이 활발한 군집으로 이 군집은 평생교육지원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실내공간에서 기능적 편의와 안전에 다른 군집보다 우선 적용이 필요하다. 2) 군집 B는 보수적 가치관이 높은 사무직 남성 비율이 높은 군집으로, 시설과 프로그램, 강사의 전문성 개선을 가장 필요로 하고 공간적인 면에서 노인복지관이 가진 기본적인 기능에 보다 집중할 것이 요구된다. 3) 군집 C는 교육과 건강에 관심이 많은 고소득·고학력자 군집으로, 노인복지센터에 대한 필요도는 높지만 공간 선호도에서 군집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군집이다. 이들을 위해 비용을 높이더라도 전문적인 기관과 복합화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4) 군집 D는 취미활동에 관심이 높으나 독립적인 성향으로 노인복지관 필요도가 다른 군집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군집이다. 이 군집을 위해서는 노인복지관 인식에 대한 개선이 우선으로 필요하다고 보인다. 5) 군집 E는 여성·주부가 많은 군집으로 유행과 다른 세대와 교류에 관심이 많은 군집이다. 이 군집을 위해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예술활동을 위한 취미여가지원공간, 사회참여 지원 공간을 우선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노인복지관 실내 공간 요소의 우선순위는 쾌적한 환경 > 기능적 편의 > 안전성 > 사회적 교류 >디자인 순으로 일부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나 공간 계획에 있어 쾌적한 환경에 대해 우선적으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 있어 의의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향후 노인복지관의 주 이용객이 될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노인복지관 공간계획의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서울시로 한정된다는 점에서 전체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인터넷 설문 조사로 인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계층의 선호도가 반영되지 않는다. 베이비부머의 노인복지관에 대한 공간 선호도에 있어 베이비부머 세대가 아직 노인복지관을 이용자가 많지 않으므로 추후 연구 결과에 따라 공간 선호도에 있어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과 노인복지관에 대한 공간과 프로그램에 대해 심도 있는 후속 연구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opulation of Korea is aging rapidly along with aging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The experiences of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that the baby-boomers went through ar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the elderly generations, and they show specified lifestyles. They are called new seni...
The population of Korea is aging rapidly along with aging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The experiences of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that the baby-boomers went through ar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the elderly generations, and they show specified lifestyles. They are called new seniors or active seniors. Based on health, stable economic power and education, they have high income and consumption level, show independent tendency from their children economically, and have high desire for leisure life after retirement. Leisure life in old age has a grea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ife, so the issue about how they should spend the extended time after retirement is raised because most of them focused on work when they were young. It is time to research the basic direction of space design of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because the baby-boomer generation started to enter the aged stage. The satisfaction about senior welfare centers among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s high, bu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acilities into the ones that are suitable to the lifestyle of the baby-boomers who will be main users in the futu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by-boomers' life styles were comprehended and classified into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is, the space suitable for their lifestyles were suggested through space preference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 research range is the necessity and space and interior space element preferences of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baby-boomers residing in Seoul who were born in between 1955 and 1963. Regarding research metho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were established through precedent studies, lifestyle measurement items and a senior welfare center space preference research tool were developed, and then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life styles of baby-boomers living in Seoul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the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organized.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income, job and residence.
Second, the following is the application plan according to senior welfare center space preference of each group. 1) Group A has those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social, economic and consumption activities, and they have high preference about lifelong education support space. This group showed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in that they prefer functional convenience and safety in interior space elements, so these elements should be applied preferentially. 2) Group B has high ratio of male office workers with high conservative values. It seems that they need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in facilities, programs and instructors. In senior welfare center space, rather than adoption of new space, the existing space should be functioned properly. 3) Group C is composed of those with high income and high education levels who are interested in education and health. The need for senior welfare centers is high, but they do not show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preference of space. For the group,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complex facilities can be considered even if high cost is required. 4) Group D has the smallest number of subjects, who have interest in hobbies but show the tendency of independence. They show less need of senior welfare centers compared to other groups. For this group,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recognition about senior welfare centers. 5) Group E has many women and housewives, and they have interest in trend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generations. For this group, it is necessary to make leisure support space for artistic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support space available with low cost.
Third, the priority of senior welfare center interior space elements was pleasant environment followed by functional convenience, safety, social interchange and design. Except for some parts, the order of priority was similar, so pleasant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in space plan. The meaning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is space preference research according to life styles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who will be the main users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the future, and has a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space plan. However, the subjects were limited within those living in Seoul, so it is hard to generalize life styles of the whole baby-boomers, and the preference of those who can't use internet is not reflected because this study was done through internet survey.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baby-boomers who use senior welfare centers yet, so the space preferen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future research results.
The population of Korea is aging rapidly along with aging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The experiences of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that the baby-boomers went through ar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the elderly generations, and they show specified lifestyles. They are called new seniors or active seniors. Based on health, stable economic power and education, they have high income and consumption level, show independent tendency from their children economically, and have high desire for leisure life after retirement. Leisure life in old age has a grea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ife, so the issue about how they should spend the extended time after retirement is raised because most of them focused on work when they were young. It is time to research the basic direction of space design of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because the baby-boomer generation started to enter the aged stage. The satisfaction about senior welfare centers among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s high, bu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acilities into the ones that are suitable to the lifestyle of the baby-boomers who will be main users in the futu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by-boomers' life styles were comprehended and classified into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is, the space suitable for their lifestyles were suggested through space preference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 research range is the necessity and space and interior space element preferences of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baby-boomers residing in Seoul who were born in between 1955 and 1963. Regarding research metho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were established through precedent studies, lifestyle measurement items and a senior welfare center space preference research tool were developed, and then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life styles of baby-boomers living in Seoul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the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organized.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income, job and residence.
Second, the following is the application plan according to senior welfare center space preference of each group. 1) Group A has those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social, economic and consumption activities, and they have high preference about lifelong education support space. This group showed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in that they prefer functional convenience and safety in interior space elements, so these elements should be applied preferentially. 2) Group B has high ratio of male office workers with high conservative values. It seems that they need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in facilities, programs and instructors. In senior welfare center space, rather than adoption of new space, the existing space should be functioned properly. 3) Group C is composed of those with high income and high education levels who are interested in education and health. The need for senior welfare centers is high, but they do not show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preference of space. For the group,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complex facilities can be considered even if high cost is required. 4) Group D has the smallest number of subjects, who have interest in hobbies but show the tendency of independence. They show less need of senior welfare centers compared to other groups. For this group,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recognition about senior welfare centers. 5) Group E has many women and housewives, and they have interest in trend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generations. For this group, it is necessary to make leisure support space for artistic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support space available with low cost.
Third, the priority of senior welfare center interior space elements was pleasant environment followed by functional convenience, safety, social interchange and design. Except for some parts, the order of priority was similar, so pleasant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in space plan. The meaning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is space preference research according to life styles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who will be the main users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the future, and has a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space plan. However, the subjects were limited within those living in Seoul, so it is hard to generalize life styles of the whole baby-boomers, and the preference of those who can't use internet is not reflected because this study was done through internet survey.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baby-boomers who use senior welfare centers yet, so the space preferen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future research results.
Keyword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노인복지관 공간 선호도 여가복지시설 baby-boomer lifestyle senior welfare center space preference leisure welfare facility
학위논문 정보
저자
최은희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공간디자인전공
지도교수
임호균
발행연도
2017
총페이지
viii, 92 p.
키워드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노인복지관 공간 선호도 여가복지시설 baby-boomer lifestyle senior welfare center space preference leisure welfare fac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