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발목관절의 발등굽힘근 힘은 정상보행과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활동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앞정강근이 약화된 사람들은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에 의존하게 되고, 따라서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의 우세성은 지속적인 앞정강근의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긴엄지폄근, 긴발가락폄근 우세성을 가진 대상자들에게 발등굽힘을 하는 동안 능동적인 발허리발가락 관절 굽힘의 적용은 앞정강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의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등굽힘근이 약한 대상자들이 4주간의 발등굽힘근 강화운동 후,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을 적용한 군과 안한 군에서 근활성도, 근활성도 비율,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 발등굽힘 힘, 발목관절과 발의 기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발등굽힘근이 약한 20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무작위화를 거쳐, 실험군인 발등굽힘근 강화운동 동안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을 적용한(MTPF) 군과 적용하지 않은(MTPE) 대조군 군으로 나뉘어 4주간 주 5회의 Thera-Band를 이용한 자택 운동을 수행하였다. 선 검사와 4주 후 검사를 통해, ...
적절한 발목관절의 발등굽힘근 힘은 정상보행과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활동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앞정강근이 약화된 사람들은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에 의존하게 되고, 따라서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의 우세성은 지속적인 앞정강근의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긴엄지폄근, 긴발가락폄근 우세성을 가진 대상자들에게 발등굽힘을 하는 동안 능동적인 발허리발가락 관절 굽힘의 적용은 앞정강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의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등굽힘근이 약한 대상자들이 4주간의 발등굽힘근 강화운동 후,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을 적용한 군과 안한 군에서 근활성도, 근활성도 비율,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 발등굽힘 힘, 발목관절과 발의 기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발등굽힘근이 약한 20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무작위화를 거쳐, 실험군인 발등굽힘근 강화운동 동안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을 적용한(MTPF) 군과 적용하지 않은(MTPE) 대조군 군으로 나뉘어 4주간 주 5회의 Thera-Band를 이용한 자택 운동을 수행하였다. 선 검사와 4주 후 검사를 통해, 표면근전도 장비를 통한 근활성도 데이터, 능동/수동 관절가동범위, 발등굽힘 힘, 발과 발목 기능 척도(FAAM) 점수의 변화를 관찰했다. 이요인 혼합 분산분석을 통해 군, 선후검사 간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고 유의한 결과가 나올 경우 독립 t-검정과 짝비교 t-검정을 실시했다. 앞정강근의 근활성도와 앞정강근/긴엄지폄근의 근활성도 비율은 MTPE 군보다MTPF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4주 후 검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앞정강근/긴발가락폄근의 근활성도 비율에서는 군-선후검사 간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사후 검정 결과, 앞정강근/긴발가락폄근의 근활성도 비율은 4주 후 MTPF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4주 후 검사에서 MTPF 군은 MTPE 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발등굽힘 힘과 FAAM 점수는 MTPF 군에서만 4주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반면에 능동/수동 관절가동범위는 두 군 모두 4주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발등굽힘을 하는 동안 능동적인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의 적용이 선택적으로 앞정강근을 강화시킴으로써 발등굽힘근의 근육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발등굽힘근이 약한 대상자들에게 실행 가능한 적절한 중재방법임을 시사한다.
적절한 발목관절의 발등굽힘근 힘은 정상보행과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활동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앞정강근이 약화된 사람들은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에 의존하게 되고, 따라서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의 우세성은 지속적인 앞정강근의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긴엄지폄근, 긴발가락폄근 우세성을 가진 대상자들에게 발등굽힘을 하는 동안 능동적인 발허리발가락 관절 굽힘의 적용은 앞정강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긴엄지폄근과 긴발가락폄근의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등굽힘근이 약한 대상자들이 4주간의 발등굽힘근 강화운동 후,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을 적용한 군과 안한 군에서 근활성도, 근활성도 비율,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 발등굽힘 힘, 발목관절과 발의 기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발등굽힘근이 약한 20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무작위화를 거쳐, 실험군인 발등굽힘근 강화운동 동안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을 적용한(MTPF) 군과 적용하지 않은(MTPE) 대조군 군으로 나뉘어 4주간 주 5회의 Thera-Band를 이용한 자택 운동을 수행하였다. 선 검사와 4주 후 검사를 통해, 표면근전도 장비를 통한 근활성도 데이터, 능동/수동 관절가동범위, 발등굽힘 힘, 발과 발목 기능 척도(FAAM) 점수의 변화를 관찰했다. 이요인 혼합 분산분석을 통해 군, 선후검사 간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고 유의한 결과가 나올 경우 독립 t-검정과 짝비교 t-검정을 실시했다. 앞정강근의 근활성도와 앞정강근/긴엄지폄근의 근활성도 비율은 MTPE 군보다MTPF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4주 후 검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앞정강근/긴발가락폄근의 근활성도 비율에서는 군-선후검사 간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사후 검정 결과, 앞정강근/긴발가락폄근의 근활성도 비율은 4주 후 MTPF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4주 후 검사에서 MTPF 군은 MTPE 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발등굽힘 힘과 FAAM 점수는 MTPF 군에서만 4주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반면에 능동/수동 관절가동범위는 두 군 모두 4주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발등굽힘을 하는 동안 능동적인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의 적용이 선택적으로 앞정강근을 강화시킴으로써 발등굽힘근의 근육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발등굽힘근이 약한 대상자들에게 실행 가능한 적절한 중재방법임을 시사한다.
Muscle imbalance among the tibialis anterior (TA), extensor hallucis longus (EHL),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EDL) is an important biomarker of musculoskeletal impairment in the ankle-foot during locomotion. Previous biomechan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A muscle activity is compromised ...
Muscle imbalance among the tibialis anterior (TA), extensor hallucis longus (EHL),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EDL) is an important biomarker of musculoskeletal impairment in the ankle-foot during locomotion. Previous biomechan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A muscle activity is compromised by overactive synergistic EHL and EDL muscle activities, which eventually lead to muscle imbalance among the TA, EHL and EDL. Theoretically, the application of active metatarsophalangeal joint (MTPJ) flexion during ankle dorsiflexion (DF) is designed to selectively facilitate TA and de-activate the synergistically dominant EHL and EDL. To restore muscle balance, active ankle DF with MTPJ flexion has been proposed; yet, the effect of this technique has never been valida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orsiflexor muscle activity (TA, EHL, and EDL), activity ratio (TA/EHL and TA/EDL), active and passive range of motion (A/PROM) of DF, DF force, and function of the ankle and foot after 4-week ankle dorsiflexor strengthening with and without MTPJ flexion in individuals with dorsiflexor weakness. Twenty volunteers with ankle dorsiflexor weaknes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dorsiflexor strengthening group with active MTPJ flexion (MTPF) (N = 10) or the group without active MTPJ flexion but with MTPJ extension permitted (MTPE) (N = 10). Both groups performed the ankle dorsiflexor strengthening program using a Thera-Band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Surface electromyographic data, A/PROM, DF force, and function of the ankle and foot, quantified using the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 questionnaire,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post-intervention. Two-way mixed model of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TA activity and TA/EHL activity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TPF group than in the MTPE group; moreover,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from the pre-test to post-test (p < 0.05). The TA/EDL ratio indicated a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on. Results of post hoc testing showed that the TA/EDL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MTPF group from pre-test to post-test,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the MTPE group at post-test (p < 0.013). The DF force and FAAM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post-test than at pre-test only in the MTPF group (p < 0.013). A/PROM significantly increased at post-test compared to at pre-test in both groups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active MTPJ flexion in dorsiflexor strengthening effectively curtails dorsiflexor muscle imbalance by selectively strengthening the TA, and it is a viable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with dorsiflexor weakness.
Muscle imbalance among the tibialis anterior (TA), extensor hallucis longus (EHL),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EDL) is an important biomarker of musculoskeletal impairment in the ankle-foot during locomotion. Previous biomechan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A muscle activity is compromised by overactive synergistic EHL and EDL muscle activities, which eventually lead to muscle imbalance among the TA, EHL and EDL. Theoretically, the application of active metatarsophalangeal joint (MTPJ) flexion during ankle dorsiflexion (DF) is designed to selectively facilitate TA and de-activate the synergistically dominant EHL and EDL. To restore muscle balance, active ankle DF with MTPJ flexion has been proposed; yet, the effect of this technique has never been valida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orsiflexor muscle activity (TA, EHL, and EDL), activity ratio (TA/EHL and TA/EDL), active and passive range of motion (A/PROM) of DF, DF force, and function of the ankle and foot after 4-week ankle dorsiflexor strengthening with and without MTPJ flexion in individuals with dorsiflexor weakness. Twenty volunteers with ankle dorsiflexor weaknes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dorsiflexor strengthening group with active MTPJ flexion (MTPF) (N = 10) or the group without active MTPJ flexion but with MTPJ extension permitted (MTPE) (N = 10). Both groups performed the ankle dorsiflexor strengthening program using a Thera-Band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Surface electromyographic data, A/PROM, DF force, and function of the ankle and foot, quantified using the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 questionnaire,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post-intervention. Two-way mixed model of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TA activity and TA/EHL activity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TPF group than in the MTPE group; moreover,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from the pre-test to post-test (p < 0.05). The TA/EDL ratio indicated a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on. Results of post hoc testing showed that the TA/EDL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MTPF group from pre-test to post-test,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the MTPE group at post-test (p < 0.013). The DF force and FAAM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post-test than at pre-test only in the MTPF group (p < 0.013). A/PROM significantly increased at post-test compared to at pre-test in both groups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active MTPJ flexion in dorsiflexor strengthening effectively curtails dorsiflexor muscle imbalance by selectively strengthening the TA, and it is a viable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with dorsiflexor weakn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