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년부터 군내 사고예방을 목적으로 도입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는 지금까지 10년 이상 운영되면서 제도의 효율성과 군 상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들이 있어왔다. 특히 '14년 연천 후임병 폭행사건(윤일병 사건)과 같은 해 동부전선 최전방 GOP 관심병사 총기 난사 사건(임병장 사건)은 많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며 병영문화의 혁신을 가장 주요한 과제로 우리 군에 요구하게 되었다. 안전하고, 소통하는 병영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는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으며, 이러한 '14년을 기점으로 제도의 확대와 활성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의 활성화와 성공을 위해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아무리 좋은 연구도 실재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이들의 고충이 반영되지 못한다면 좋은 근거를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 연구들이 제도의 실효성과 운영적인 면에 치우쳤던 것들에 반해, 본 연구는 실재 군 상담 현장에서 병영생활전문상담관들이 처해있는 실질적인 직무환경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직무환경은 다시 총 8가지 항목으로, 1) 근무여건, 2) 복지, 3) 급여, 4) 직업안정성, 5) 직무교육, 6) ...
'05년부터 군내 사고예방을 목적으로 도입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는 지금까지 10년 이상 운영되면서 제도의 효율성과 군 상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들이 있어왔다. 특히 '14년 연천 후임병 폭행사건(윤일병 사건)과 같은 해 동부전선 최전방 GOP 관심병사 총기 난사 사건(임병장 사건)은 많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며 병영문화의 혁신을 가장 주요한 과제로 우리 군에 요구하게 되었다. 안전하고, 소통하는 병영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는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으며, 이러한 '14년을 기점으로 제도의 확대와 활성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의 활성화와 성공을 위해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아무리 좋은 연구도 실재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이들의 고충이 반영되지 못한다면 좋은 근거를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 연구들이 제도의 실효성과 운영적인 면에 치우쳤던 것들에 반해, 본 연구는 실재 군 상담 현장에서 병영생활전문상담관들이 처해있는 실질적인 직무환경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직무환경은 다시 총 8가지 항목으로, 1) 근무여건, 2) 복지, 3) 급여, 4) 직업안정성, 5) 직무교육, 6) 슈퍼비전, 7) 고충처리, 8) 업무지원으로 나누어 이들의 실질적인 직무환경 요소를 구체화를 시켰다. 이렇게 수립된 연구과제를 바탕으로 국군 10개 부대 10명의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을 대상으로 약 2개월간의 심층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여건과 복지환경, 급여에 있어서 병영생활전문상담관들은 민간상담관과 군무원들에 비해 열악한 직무환경에 처해있었으며 많은 운영상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담관의 직업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과반수가 넘는 인원이 전문상담관의 직업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고, 이러한 직업안정성 제고와 상담역량강화를 위한 직무교육과 슈퍼비전 제도 또한 개선점을 안고 있었다. 셋째,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을 위한 고충처리 시스템이 전무하였다. 제도의 운영에 관한 통합된 전담부서가 없어서 상담관들은 애로사항과 건의사항 발생 시 스스로 해결해야 되는 입장에 처해있었다. 넷째, 업무지원에 있어서 지휘관 및 참모들과의 관계는 대체로 원만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업무의 독립성과 자기계발 여건은 보장받고 있었다. 그러나 부족한 운영비 문제, 차량지원 문제, 식사 문제 등 업무지원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식별되었다.
이러한 실태분석을 통해 얻어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력확충과 민간기관과 연계한 상담서비스를 구축하고 부대별 상이한 상담실 운영과 구성방식을 통일해야 한다. 둘째, 상담관들에 대한 주거지원 및 월 단위 휴가사용을 의무화하고 군 복지시설 및 의료시설 이용여건을 보장해줘야 한다. 셋째, 급여에 있어서 호봉제를 도입하고 군인 및 군무원에 준하는 수당과 상여금을 지급해줘야 한다. 넷째, 군무원 신분으로 전환과 재계약 시스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불합리한 현 평가제도를 공정하고 객관적인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직무교육과 슈퍼비전 제도에 관한 전반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담관들의 상담역량강화를 목적으로 실시되는 현 직무교육과 슈퍼비전 제도는 효과성과 공정성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지금은 전무한 상담관들을 위한 고충처리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일곱째, 상담관들에 대한 업무지원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전군이 통합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전담부서가 신설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는 이상의 개선방안을 토대로 총 네 가지 방안의 실효성 있는 정책제언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의 성공과 발전이며, 이를 통한 우리 군의 전투력 발전이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우리 국방부와 업무당국자들은 이에 대한 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을 재고해봐야 할 것이다.
'05년부터 군내 사고예방을 목적으로 도입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는 지금까지 10년 이상 운영되면서 제도의 효율성과 군 상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들이 있어왔다. 특히 '14년 연천 후임병 폭행사건(윤일병 사건)과 같은 해 동부전선 최전방 GOP 관심병사 총기 난사 사건(임병장 사건)은 많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며 병영문화의 혁신을 가장 주요한 과제로 우리 군에 요구하게 되었다. 안전하고, 소통하는 병영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는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으며, 이러한 '14년을 기점으로 제도의 확대와 활성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의 활성화와 성공을 위해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아무리 좋은 연구도 실재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이들의 고충이 반영되지 못한다면 좋은 근거를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 연구들이 제도의 실효성과 운영적인 면에 치우쳤던 것들에 반해, 본 연구는 실재 군 상담 현장에서 병영생활전문상담관들이 처해있는 실질적인 직무환경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직무환경은 다시 총 8가지 항목으로, 1) 근무여건, 2) 복지, 3) 급여, 4) 직업안정성, 5) 직무교육, 6) 슈퍼비전, 7) 고충처리, 8) 업무지원으로 나누어 이들의 실질적인 직무환경 요소를 구체화를 시켰다. 이렇게 수립된 연구과제를 바탕으로 국군 10개 부대 10명의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을 대상으로 약 2개월간의 심층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여건과 복지환경, 급여에 있어서 병영생활전문상담관들은 민간상담관과 군무원들에 비해 열악한 직무환경에 처해있었으며 많은 운영상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담관의 직업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과반수가 넘는 인원이 전문상담관의 직업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고, 이러한 직업안정성 제고와 상담역량강화를 위한 직무교육과 슈퍼비전 제도 또한 개선점을 안고 있었다. 셋째,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을 위한 고충처리 시스템이 전무하였다. 제도의 운영에 관한 통합된 전담부서가 없어서 상담관들은 애로사항과 건의사항 발생 시 스스로 해결해야 되는 입장에 처해있었다. 넷째, 업무지원에 있어서 지휘관 및 참모들과의 관계는 대체로 원만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업무의 독립성과 자기계발 여건은 보장받고 있었다. 그러나 부족한 운영비 문제, 차량지원 문제, 식사 문제 등 업무지원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식별되었다.
이러한 실태분석을 통해 얻어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력확충과 민간기관과 연계한 상담서비스를 구축하고 부대별 상이한 상담실 운영과 구성방식을 통일해야 한다. 둘째, 상담관들에 대한 주거지원 및 월 단위 휴가사용을 의무화하고 군 복지시설 및 의료시설 이용여건을 보장해줘야 한다. 셋째, 급여에 있어서 호봉제를 도입하고 군인 및 군무원에 준하는 수당과 상여금을 지급해줘야 한다. 넷째, 군무원 신분으로 전환과 재계약 시스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불합리한 현 평가제도를 공정하고 객관적인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직무교육과 슈퍼비전 제도에 관한 전반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담관들의 상담역량강화를 목적으로 실시되는 현 직무교육과 슈퍼비전 제도는 효과성과 공정성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지금은 전무한 상담관들을 위한 고충처리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일곱째, 상담관들에 대한 업무지원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전군이 통합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전담부서가 신설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는 이상의 개선방안을 토대로 총 네 가지 방안의 실효성 있는 정책제언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의 성공과 발전이며, 이를 통한 우리 군의 전투력 발전이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우리 국방부와 업무당국자들은 이에 대한 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을 재고해봐야 할 것이다.
The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ccidents in the army since 2005, has been operated over 10 years so far and many efforts and researched were conducted to improve efficiency of system and quality of counseling. Especially, the assault acciden...
The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ccidents in the army since 2005, has been operated over 10 years so far and many efforts and researched were conducted to improve efficiency of system and quality of counseling. Especially, the assault accident in Yeoncheon(also known as ‘Private Yoon incident’) in 2014 and the gun fire at random accident by GOP soldier of interest in the front line of Eastern battle line(also known as ‘Sergeant Lim incident’) in same year caused manu social effects and requested the innovation of army life and culture as major task to the military. In constructing safe and communicating army life and culture, the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plays very important role and the military started to seek for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the system starting from 2014.
This research is to deduct the improvement plan for revitalization and success of this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Any good research cannot have good ground, if difficulties of the people who are working at the field are not reflected to the research. Therefore, former researches were biased to effectiveness and operational part of the system, this research conducted analysis on actual working environment of which actual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rmy life are encountering. And the job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8 items as follows and it reified the actual job environment factor; 1) working condition, 2) welfare, 3) salary, 4) occupational stability, 5) job training, 6) supervision 7) handling difficulty 8) supporting to work. Based on established research task, I conducted in-depth research for 2 months with the subjects as 10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rmy life in 10 troops of national military forces.
The result from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for working condition, welfare environment and salary,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rmy life were in poor working environment compared to private counselors or civilian officers in the military and many operational problems were found. Second, for the awareness on occupational stability by counselor, over 50 percent counselors felt the job is not stable, and the job training for improving occupational stability and counseling capability and supervision system had improvement points as well. Third, there is no system to handle difficulti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rmy life. As there is no integrated responsible department for operation of the system, the counselors should solve difficulties and recommendations by themselves. Fourth, in supporting to work, their relationship with commanders and staff officers was generally amicable and a certain independence of work and self-development was guaranteed. But, also many problems were found such as insufficient operation cost, supporting vehicle problem and meal problem.
The improvement plan gained through analysis on status is as follows. First, the manpower should be expanded and counseling service associated with civilian organizations should be set up and different counseling room operation and structure be each troops should be unified. Second, housing and using monthly leave for counselors should be supported and using military welfare facility and medical facility should be guaranteed. Third, for salary, salary step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extra pay and bonus in accordance with that of soldiers and civilian officer in the military should be paid. Fourth, the counselors should be converted as civilian officer in the military position and renewal of employment contract should be improved. And for this, the first thing to be conducted is to improve irrational current evaluation system into fair and objective way. Fifth, overall improvement on job training and supervision system should be performed. Current job training and supervis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counsel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efficiency and fairness. Sixth, handling difficulty system, which is not existing currently, for counselors should be made. Seventh, work support system for counselors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whole army integrated responsible department for army life professional counselor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4 realistic and effective policies based on above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succes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combat power through this. The officials of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hould reconsider policy implicit point and impli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above items.
The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ccidents in the army since 2005, has been operated over 10 years so far and many efforts and researched were conducted to improve efficiency of system and quality of counseling. Especially, the assault accident in Yeoncheon(also known as ‘Private Yoon incident’) in 2014 and the gun fire at random accident by GOP soldier of interest in the front line of Eastern battle line(also known as ‘Sergeant Lim incident’) in same year caused manu social effects and requested the innovation of army life and culture as major task to the military. In constructing safe and communicating army life and culture, the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plays very important role and the military started to seek for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the system starting from 2014.
This research is to deduct the improvement plan for revitalization and success of this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Any good research cannot have good ground, if difficulties of the people who are working at the field are not reflected to the research. Therefore, former researches were biased to effectiveness and operational part of the system, this research conducted analysis on actual working environment of which actual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rmy life are encountering. And the job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8 items as follows and it reified the actual job environment factor; 1) working condition, 2) welfare, 3) salary, 4) occupational stability, 5) job training, 6) supervision 7) handling difficulty 8) supporting to work. Based on established research task, I conducted in-depth research for 2 months with the subjects as 10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rmy life in 10 troops of national military forces.
The result from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for working condition, welfare environment and salary,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rmy life were in poor working environment compared to private counselors or civilian officers in the military and many operational problems were found. Second, for the awareness on occupational stability by counselor, over 50 percent counselors felt the job is not stable, and the job training for improving occupational stability and counseling capability and supervision system had improvement points as well. Third, there is no system to handle difficulti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for army life. As there is no integrated responsible department for operation of the system, the counselors should solve difficulties and recommendations by themselves. Fourth, in supporting to work, their relationship with commanders and staff officers was generally amicable and a certain independence of work and self-development was guaranteed. But, also many problems were found such as insufficient operation cost, supporting vehicle problem and meal problem.
The improvement plan gained through analysis on status is as follows. First, the manpower should be expanded and counseling service associated with civilian organizations should be set up and different counseling room operation and structure be each troops should be unified. Second, housing and using monthly leave for counselors should be supported and using military welfare facility and medical facility should be guaranteed. Third, for salary, salary step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extra pay and bonus in accordance with that of soldiers and civilian officer in the military should be paid. Fourth, the counselors should be converted as civilian officer in the military position and renewal of employment contract should be improved. And for this, the first thing to be conducted is to improve irrational current evaluation system into fair and objective way. Fifth, overall improvement on job training and supervision system should be performed. Current job training and supervis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counsel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efficiency and fairness. Sixth, handling difficulty system, which is not existing currently, for counselors should be made. Seventh, work support system for counselors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whole army integrated responsible department for army life professional counselor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4 realistic and effective policies based on above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succes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combat power through this. The officials of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hould reconsider policy implicit point and impli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above items.
Keyword
#병영생활전문상담관 군 상담관 제도 직무환경 군 상담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army counselor system working environment army counseling
학위논문 정보
저자
임승재
학위수여기관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정책학과 안보·북한정책전공
지도교수
송병록
발행연도
2017
총페이지
viii, 60 p.
키워드
병영생활전문상담관 군 상담관 제도 직무환경 군 상담 professional counselor for army life army counselor system working environment army counsel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