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35명을 대상으로 슬링 운동 시 진동수(0, 30, 50, 90Hz)에 따른 근활성도의 변화를 배곧은근(rectus abdominis), 배속빗근(internal oblique),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35명을 대상으로 슬링 운동 시 진동수(0, 30, 50, 90Hz)에 따른 근활성도의 변화를 배곧은근(rectus abdominis), 배속빗근(internal oblique), 척추세움근(erector spinae), 뭇갈래근(multifidus)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측정은 각각의 대상자에게 슬링운동의 방법 중 바로누운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린 채로 교각운동을 시행하였다. 이 때, 기계적인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장치(Redcord stimula)를 사용하여 진동 자극을 주었다. 그리고 네 번의 교각운동마다 0, 30, 50, 90Hz 진동수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이 운동 자세를 5초 동안 유지하게 하고, 각 진동수의 단계마다 위의 자세를 3번 반복하게 하였다. 각각의 단계마다 근 피로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3분의 휴식기를 가졌다. 검사 간의 %MVIC 평균 비교를 위하여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계적인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슬링운동 수행 시 배곧은근과 배속빗근, 척추세움근, 뭇갈래근의 근활성도는 진동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몸통근육에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50Hz를 적용하여 임상에서 몸통운동 수행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35명을 대상으로 슬링 운동 시 진동수(0, 30, 50, 90Hz)에 따른 근활성도의 변화를 배곧은근(rectus abdominis), 배속빗근(internal oblique), 척추세움근(erector spinae), 뭇갈래근(multifidus)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측정은 각각의 대상자에게 슬링운동의 방법 중 바로누운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린 채로 교각운동을 시행하였다. 이 때, 기계적인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장치(Redcord stimula)를 사용하여 진동 자극을 주었다. 그리고 네 번의 교각운동마다 0, 30, 50, 90Hz 진동수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이 운동 자세를 5초 동안 유지하게 하고, 각 진동수의 단계마다 위의 자세를 3번 반복하게 하였다. 각각의 단계마다 근 피로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3분의 휴식기를 가졌다. 검사 간의 %MVIC 평균 비교를 위하여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계적인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슬링운동 수행 시 배곧은근과 배속빗근, 척추세움근, 뭇갈래근의 근활성도는 진동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몸통근육에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50Hz를 적용하여 임상에서 몸통운동 수행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on vibration frequency on trunk muscle(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erector spinae, multifidus) activities of 35 healthy adults. The subjects performed the supine bridging with knee flexion of sling exercises . During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on vibration frequency on trunk muscle(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erector spinae, multifidus) activities of 35 healthy adults. The subjects performed the supine bridging with knee flexion of sling exercises . During the supine bridging, vibrations of 0, 30, 50 or 90Hz were applied to the sling using a mechanical vibration appratus attached to the lope.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exercise and hold it for 5s.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in a rondom manner. Each exercise was performed 3 times. In order to minimize muscle fatigue, a 3-minute break was taken after each exercise.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with electromyography. As a result, sling exercises with using a mechanical vibration appratus improved the trunk muscle(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erector spinae, multifidus) activities of healthy adults in accodance with Hz. In particular, 50Hz increases trunk muscles activity.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is protocol for effective trunk exercise rehabil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on vibration frequency on trunk muscle(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erector spinae, multifidus) activities of 35 healthy adults. The subjects performed the supine bridging with knee flexion of sling exercises . During the supine bridging, vibrations of 0, 30, 50 or 90Hz were applied to the sling using a mechanical vibration appratus attached to the lope.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exercise and hold it for 5s.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in a rondom manner. Each exercise was performed 3 times. In order to minimize muscle fatigue, a 3-minute break was taken after each exercise.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with electromyography. As a result, sling exercises with using a mechanical vibration appratus improved the trunk muscle(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erector spinae, multifidus) activities of healthy adults in accodance with Hz. In particular, 50Hz increases trunk muscles activity.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is protocol for effective trunk exercise rehabilit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