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30세 이상 60세 미만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슬링운동프로그램, 슬링과 플렉시바 운동프로그램, 슬링과 딘에어쿠션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였을 때 유연성, 균형능력, 체형, 통증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모든 대상의 통증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슬링운동프로그램만을 실시한 그룹보다 슬링과 플렉시바,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좀 더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둘째, 모든 대상의 앞뒤 균형능력, 좌우 균형능력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 슬링과 플렉시바 운동프로그램에서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셋째, 모든 대상의 유연성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슬링운동프로그램만을 실시한 그룹보다 슬링과 플렉시바,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좀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넷째, 모든 대상의 체형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견갑하부(W MOIR E)와 천골부(M ...
본 연구는 30세 이상 60세 미만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슬링운동프로그램, 슬링과 플렉시바 운동프로그램, 슬링과 딘에어쿠션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였을 때 유연성, 균형능력, 체형, 통증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모든 대상의 통증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슬링운동프로그램만을 실시한 그룹보다 슬링과 플렉시바,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좀 더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둘째, 모든 대상의 앞뒤 균형능력, 좌우 균형능력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 슬링과 플렉시바 운동프로그램에서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셋째, 모든 대상의 유연성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슬링운동프로그램만을 실시한 그룹보다 슬링과 플렉시바,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좀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넷째, 모든 대상의 체형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견갑하부(W MOIR E)와 천골부(M MOIRE)의 좌우 불균형을 나타내는 Y값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견갑하부(W MOIRE)의 경우 슬링운동만 실시한 그룹에서 가장 큰 감소를 보였으며, 천골부(M MOIRE)의 경우 슬링과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의 슬링운동프로그램, 슬링과 플렉시바 운동프로그램, 슬링과 딘에어쿠션 운동프로그램 모두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균형능력, 유연성, 체형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슬링운동만을 실시한 그룹보다 슬링과 플렉시바,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좀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만성요통환자에게 슬링운동을 지도할 경우 플렉시바 혹은 딘에어쿠션을 함께 사용한다면 슬링운동만을 실시한 경우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30세 이상 60세 미만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슬링운동프로그램, 슬링과 플렉시바 운동프로그램, 슬링과 딘에어쿠션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였을 때 유연성, 균형능력, 체형, 통증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모든 대상의 통증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슬링운동프로그램만을 실시한 그룹보다 슬링과 플렉시바,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좀 더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둘째, 모든 대상의 앞뒤 균형능력, 좌우 균형능력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 슬링과 플렉시바 운동프로그램에서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셋째, 모든 대상의 유연성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슬링운동프로그램만을 실시한 그룹보다 슬링과 플렉시바,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좀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넷째, 모든 대상의 체형은 12주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견갑하부(W MOIR E)와 천골부(M MOIRE)의 좌우 불균형을 나타내는 Y값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견갑하부(W MOIRE)의 경우 슬링운동만 실시한 그룹에서 가장 큰 감소를 보였으며, 천골부(M MOIRE)의 경우 슬링과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의 슬링운동프로그램, 슬링과 플렉시바 운동프로그램, 슬링과 딘에어쿠션 운동프로그램 모두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균형능력, 유연성, 체형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슬링운동만을 실시한 그룹보다 슬링과 플렉시바, 딘에어쿠션을 함께 이용한 그룹에서 좀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만성요통환자에게 슬링운동을 지도할 경우 플렉시바 혹은 딘에어쿠션을 함께 사용한다면 슬링운동만을 실시한 경우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