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애 최초의 보육과 교육 기관인 어린이집에서의 숲 체험 활동 현황 및 인식도를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어린이집 숲 체험 활동의 일반적인 현황과 기관 유형에 따른 숲 체험 활동의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며, 두 번째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과 배경변인(학력, 경력, 직위,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5개 구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교직원 266명을 대상으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현황 및 교직원의 인식에 대해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
본 연구는 생애 최초의 보육과 교육 기관인 어린이집에서의 숲 체험 활동 현황 및 인식도를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어린이집 숲 체험 활동의 일반적인 현황과 기관 유형에 따른 숲 체험 활동의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며, 두 번째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과 배경변인(학력, 경력, 직위,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5개 구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교직원 266명을 대상으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현황 및 교직원의 인식에 대해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SPSS)을 이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숲 체험 활동의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는, 숲 체험 활동 주관기관은 주로 기관 자체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공공기관에서 주최하는 숲 체험 활동에도 일부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숲 체험을 하는 주요 활동 장소는 어린이집 인근의 마을, 놀이터, 공원을 활용하는 경우와 국립공원 등 공공시설을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어린이집에서의 숲 체험 활동의 유형은 주로 생태적인 자연 환경의 다양한 모습들을 체험하는 자연 체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활동 횟수는 월 1-2회와 주 1-2회가 대부분이었으며, 숲 체험 활동 1회당 시간은 1시간 미만과, 1-2시간이 가장 많았다. 어린이집 교직원들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도 조사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직원은 숲 체험 활동의 개념을 자연과 더불어 하는 체험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관심도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원장이 교사보다, 그리고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높은 관심도와 필요성을 보였다. 숲 체험 활동을 실시할 때의 고려사항 중 교직원들은 활동 환경의 안전성을 가장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숲 체험 활동을 시작하는 적절한 연령에 대해서는 만 2세와 3세가 가장 높아 낮은 연령의 영유아를 대상으로도 숲 체험 활동이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 참여의 적절 횟수는 주 1-2회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여, 현재 어린이집에서 숲 체험 활동을 월 1-2회 수행한다는 결과보다 더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숲 체험 활동을 위한 적절한 시간은 대부분 1회 당 1-2시간 이내라고 응답하여, 숲 체험활동은 1-2시간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지도교사의 역할 및 태도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지도교사의 주된 역할이 영유아가 자연에 대한 탐구 정신과 자연보호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기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숲 체험 활동을 담당하게 될 적임자에 대해서는, 영유아에 대한 특성을 잘 이해하는 기반 하에서 숲 체험 지도·교육을 할 수 있는 유아숲지도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숲 체험 활동 지도교사가 체험활동을 진행할 경우, 어린이집 담당교사는 숲 체험 활동 내용을 사전에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담임교사,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자연환경해설사가 숲 체험 활동을 지도할 경우의 장점은 담임교사는 유아와의 친밀성을, 숲 해설가와 자연환경해설사는 숲에 대한 전반적 지식과 해설 경험을, 유아 숲 지도사는 유아 대상 숲 전문지식과 지도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 실행 및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에서는, 숲 체험 활동 진행시 가장 중점을 두는 사항은 프로그램의 안전성으로 나타났으며, 숲 체험으로 필요한 활동으로 자연체험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육적 기대효과는 다른 발달과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정서발달에 가장 도움이 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어린이집에서 숲 체험 활동 시행방법은 단원에 따라 여러 숲 체험 활동들과 연계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여 교육과정 내에 다양한 형태로 숲 체험 활동이 접목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어려움 및 향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에서는, 숲 체험 활동에 참여할 때의 어려움으로 환경미흡과 안전사고가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숲 체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선결 요건으로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높여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에 참여 시, 어린이집 교직원이 생각하는 부모가 우려하는 부분도 영유아의 안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향후 숲 체험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숲 체험 환경 및 프로그램의 안전성이 향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생애 최초의 보육과 교육 기관인 어린이집에서의 숲 체험 활동 현황 및 인식도를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어린이집 숲 체험 활동의 일반적인 현황과 기관 유형에 따른 숲 체험 활동의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며, 두 번째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과 배경변인(학력, 경력, 직위,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5개 구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교직원 266명을 대상으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현황 및 교직원의 인식에 대해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SPSS)을 이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숲 체험 활동의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는, 숲 체험 활동 주관기관은 주로 기관 자체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공공기관에서 주최하는 숲 체험 활동에도 일부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숲 체험을 하는 주요 활동 장소는 어린이집 인근의 마을, 놀이터, 공원을 활용하는 경우와 국립공원 등 공공시설을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어린이집에서의 숲 체험 활동의 유형은 주로 생태적인 자연 환경의 다양한 모습들을 체험하는 자연 체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활동 횟수는 월 1-2회와 주 1-2회가 대부분이었으며, 숲 체험 활동 1회당 시간은 1시간 미만과, 1-2시간이 가장 많았다. 어린이집 교직원들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도 조사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직원은 숲 체험 활동의 개념을 자연과 더불어 하는 체험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관심도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원장이 교사보다, 그리고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높은 관심도와 필요성을 보였다. 숲 체험 활동을 실시할 때의 고려사항 중 교직원들은 활동 환경의 안전성을 가장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숲 체험 활동을 시작하는 적절한 연령에 대해서는 만 2세와 3세가 가장 높아 낮은 연령의 영유아를 대상으로도 숲 체험 활동이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 참여의 적절 횟수는 주 1-2회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여, 현재 어린이집에서 숲 체험 활동을 월 1-2회 수행한다는 결과보다 더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숲 체험 활동을 위한 적절한 시간은 대부분 1회 당 1-2시간 이내라고 응답하여, 숲 체험활동은 1-2시간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지도교사의 역할 및 태도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지도교사의 주된 역할이 영유아가 자연에 대한 탐구 정신과 자연보호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기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숲 체험 활동을 담당하게 될 적임자에 대해서는, 영유아에 대한 특성을 잘 이해하는 기반 하에서 숲 체험 지도·교육을 할 수 있는 유아숲지도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숲 체험 활동 지도교사가 체험활동을 진행할 경우, 어린이집 담당교사는 숲 체험 활동 내용을 사전에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담임교사,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자연환경해설사가 숲 체험 활동을 지도할 경우의 장점은 담임교사는 유아와의 친밀성을, 숲 해설가와 자연환경해설사는 숲에 대한 전반적 지식과 해설 경험을, 유아 숲 지도사는 유아 대상 숲 전문지식과 지도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 실행 및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에서는, 숲 체험 활동 진행시 가장 중점을 두는 사항은 프로그램의 안전성으로 나타났으며, 숲 체험으로 필요한 활동으로 자연체험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육적 기대효과는 다른 발달과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정서발달에 가장 도움이 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어린이집에서 숲 체험 활동 시행방법은 단원에 따라 여러 숲 체험 활동들과 연계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여 교육과정 내에 다양한 형태로 숲 체험 활동이 접목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어려움 및 향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에서는, 숲 체험 활동에 참여할 때의 어려움으로 환경미흡과 안전사고가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숲 체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선결 요건으로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높여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숲 체험 활동에 참여 시, 어린이집 교직원이 생각하는 부모가 우려하는 부분도 영유아의 안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향후 숲 체험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숲 체험 환경 및 프로그램의 안전성이 향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status and perception of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preschool. The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status of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differ on preschool types (National/Public, Private, and Workplac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status and perception of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preschool. The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status of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differ on preschool types (National/Public, Private, and Workplace preschools)? 2) How does the perception of preschools' directors and teachers differ on their variables (education level, education career, position, and training program of child forest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66 directors and teachers working at preschool that was located in 5 districts in Daeje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eventually, the results were calculat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In the status of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most preschools conduct the child forest education program autonomously, and some preschools participate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organized by public institution. The major places for child forest activity are village, playground and local park adjacent to preschool and public place like National Park. The program of forest education in preschool mainly conducts nature experience, the frequency are 1-2 times per month and 1-2 times per week, and time per once are less than 1 hour and 1-2 hours. In the general perception on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y, directors and teachers in preschools realize that the concept is the experience activities with nature, the interest of forest education program is higher in the occasion of director and trained teachers, the major consideration for conducting the child forest program is a safety of environment, the proper ages are 2 and 3 years old, the adequate frequency is 1-2 times per week, and the adequate hour per once is 1-2 hours. From the perception of a responsible teacher on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directors and teachers recognize that the role of a responsible teacher is leading the interest for exploration and protection of nature, the qualified person is child forest teacher to be available for forest education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child, and preschool teachers should know the content before children take a forest experience program. The merit of homeroom teacher as a forest program teacher is a intimacy with children, forest and nature environment commentator has overall knowledge and broad experiences, and child forest teacher has both forest specific knowledge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children. In the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y program, the directors and teachers realize that the major consideration is a safety of program, the most required activity is nature experie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is emotional development, even though this program give a positive effect in various ways, and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in preschool is preferable to carry out with many different forest education programs in all educational stages. In the perception of barrier and strategy to vitaliz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preschool, directors and teachers are aware that the major difficulty is insecure of environment and safety accident, the prerequisite to conduct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s improving a variety of program, and major concern of parent is also a safety of child. Therefore, to enlarge the child forest experience program in preschools, it found out that the enhancement of the safety of environment and program has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status and perception of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preschool. The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status of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differ on preschool types (National/Public, Private, and Workplace preschools)? 2) How does the perception of preschools' directors and teachers differ on their variables (education level, education career, position, and training program of child forest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66 directors and teachers working at preschool that was located in 5 districts in Daeje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eventually, the results were calculat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In the status of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most preschools conduct the child forest education program autonomously, and some preschools participate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organized by public institution. The major places for child forest activity are village, playground and local park adjacent to preschool and public place like National Park. The program of forest education in preschool mainly conducts nature experience, the frequency are 1-2 times per month and 1-2 times per week, and time per once are less than 1 hour and 1-2 hours. In the general perception on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y, directors and teachers in preschools realize that the concept is the experience activities with nature, the interest of forest education program is higher in the occasion of director and trained teachers, the major consideration for conducting the child forest program is a safety of environment, the proper ages are 2 and 3 years old, the adequate frequency is 1-2 times per week, and the adequate hour per once is 1-2 hours. From the perception of a responsible teacher on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directors and teachers recognize that the role of a responsible teacher is leading the interest for exploration and protection of nature, the qualified person is child forest teacher to be available for forest education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child, and preschool teachers should know the content before children take a forest experience program. The merit of homeroom teacher as a forest program teacher is a intimacy with children, forest and nature environment commentator has overall knowledge and broad experiences, and child forest teacher has both forest specific knowledge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children. In the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y program, the directors and teachers realize that the major consideration is a safety of program, the most required activity is nature experie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is emotional development, even though this program give a positive effect in various ways, and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in preschool is preferable to carry out with many different forest education programs in all educational stages. In the perception of barrier and strategy to vitaliz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preschool, directors and teachers are aware that the major difficulty is insecure of environment and safety accident, the prerequisite to conduct chil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s improving a variety of program, and major concern of parent is also a safety of child. Therefore, to enlarge the child forest experience program in preschools, it found out that the enhancement of the safety of environment and program has to be requir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