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한국 제약산업에서 혁신 성과에 대한 R&D 집약도의 효과 : R&D 협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R&D intens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D collaboration원문보기
김대중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Major, Department of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국내박사)
혁신의 원천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혁신 연구의 핵심에 있었다. 전통적으로 발명가, 과학자 또는 디자이너와 같은 인재가 혁신 프로세스의 핵심으로 인식되었으나, 과학기술의 복잡성의 증가와 발전속도의 향상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혁신을 위한 공동 R & D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혁신 네트워크 연구의 급증을 가져 왔다. 본 연구는 한국 제약 산업의 R & D 협력의 소셜 네트워크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2006 년부터 2014 년까지 공동 배정 된 특허 및공동 논문발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신약 개발 건수로 측정 한 한국 제약 회사의 혁신 성과에 대한 ...
혁신의 원천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혁신 연구의 핵심에 있었다. 전통적으로 발명가, 과학자 또는 디자이너와 같은 인재가 혁신 프로세스의 핵심으로 인식되었으나, 과학기술의 복잡성의 증가와 발전속도의 향상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혁신을 위한 공동 R & D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혁신 네트워크 연구의 급증을 가져 왔다. 본 연구는 한국 제약 산업의 R & D 협력의 소셜 네트워크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2006 년부터 2014 년까지 공동 배정 된 특허 및공동 논문발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신약 개발 건수로 측정 한 한국 제약 회사의 혁신 성과에 대한 협업 네트워크 특성 및토폴로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에는 혁신의 원천에 대한 연구로 사용자, 공급자, 제휴, Open Innovation 전략 등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 사회연결방분석 방법을 통하여 집단의 구조와 구성원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또한 특허와 논문을 기술 혁신의 성과로 하여 기업의 경영활동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들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연결망분석은 주로 사회학 분야에서 발전되어온 분석방법으로서, 기업을 분석단위로 하여 기업의 혁신성과를 결과변수로 하는 직접적 분석의 사례는 많지 않고, 특허와 논문이 혁신성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실증 연구도 부족하다. 또한, 혁신의 원천으로서 개별기업의 R&D 공동 협력을 강조하는 연구는 있으나, 전체 연구 네트워크에서의 개별 기업의 위치의 중요성과 혁신성과와의 관련성을 중시하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의 방법을 혁신연구에 도입하는 방법론을 취한다.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하여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의 개별 기업의 위치를 나타내는 중요 변수로 중심성(centrality)를 파악하였다. 또한 독점 확보를 위한 특허의 중요성과 허가 목적에 필요한 논문 발표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는 제약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허와 논문을 기술적 연구성과의 결과변수로 파악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개별기업의 중심성, 특허, 논문의 변수들이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허가를 변수로 하는 기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약 산업에서 특허의 공동출원과 논문의 공동저작이 성공적인 R&D 협력의 성과임에 착안하여 기업의 연구개발노력과 특허출원, 논문 발표를 변수로 하는 기본연구모형의 확립하고,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개별기업의 중심성 지표 연구하였으며, 기본연구모형에 중심성 지표를 통합하여 개별기업의 네트워크 효과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Amos v.22 를 이용한 기본 연구모형의 개발하고, UCINET 6 를 이용한 중심성 지표 연구하였으며, 중심성 지표를 기본연구모형과 통합하여, Amos v.22 를 이용한 연구 모형의 확립하였다. 또한 NetDraw 2.158 을 이용한 공동특허 및 공동논문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연구 개발 강도는 기업의 특허 출원, 논물 발표 및 혁신 성과 (임상 시험 건수)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기업의 특허 출원과 논물 발표는 혁신성과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의 기업의 높은 중심성은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제약회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에서는 특성이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한 논문으로서, 제약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마련의 자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내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혁신 연구에 접목시킨 실증 논문으로 추후 연구자들의 혁신 연구 기법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특허 자료는 국내 특허로 제한된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미국, 유럽, PCT 등 국외 특허 현황까지 확대하여 연구할 경우 보다 확대된 설명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의 논문 발표 자료는 자료 획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해외 데이터베이스(SCOPUS, PUBMED)에 의존하여 국내에서 한글로 발표된 논문을 통한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역시 추후 적합한 국내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여 연구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혁신의 원천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혁신 연구의 핵심에 있었다. 전통적으로 발명가, 과학자 또는 디자이너와 같은 인재가 혁신 프로세스의 핵심으로 인식되었으나, 과학기술의 복잡성의 증가와 발전속도의 향상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혁신을 위한 공동 R & D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혁신 네트워크 연구의 급증을 가져 왔다. 본 연구는 한국 제약 산업의 R & D 협력의 소셜 네트워크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2006 년부터 2014 년까지 공동 배정 된 특허 및공동 논문발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신약 개발 건수로 측정 한 한국 제약 회사의 혁신 성과에 대한 협업 네트워크 특성 및토폴로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에는 혁신의 원천에 대한 연구로 사용자, 공급자, 제휴, Open Innovation 전략 등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 사회연결방분석 방법을 통하여 집단의 구조와 구성원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또한 특허와 논문을 기술 혁신의 성과로 하여 기업의 경영활동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들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연결망분석은 주로 사회학 분야에서 발전되어온 분석방법으로서, 기업을 분석단위로 하여 기업의 혁신성과를 결과변수로 하는 직접적 분석의 사례는 많지 않고, 특허와 논문이 혁신성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실증 연구도 부족하다. 또한, 혁신의 원천으로서 개별기업의 R&D 공동 협력을 강조하는 연구는 있으나, 전체 연구 네트워크에서의 개별 기업의 위치의 중요성과 혁신성과와의 관련성을 중시하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의 방법을 혁신연구에 도입하는 방법론을 취한다.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하여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의 개별 기업의 위치를 나타내는 중요 변수로 중심성(centrality)를 파악하였다. 또한 독점 확보를 위한 특허의 중요성과 허가 목적에 필요한 논문 발표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는 제약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허와 논문을 기술적 연구성과의 결과변수로 파악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개별기업의 중심성, 특허, 논문의 변수들이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허가를 변수로 하는 기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약 산업에서 특허의 공동출원과 논문의 공동저작이 성공적인 R&D 협력의 성과임에 착안하여 기업의 연구개발노력과 특허출원, 논문 발표를 변수로 하는 기본연구모형의 확립하고,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개별기업의 중심성 지표 연구하였으며, 기본연구모형에 중심성 지표를 통합하여 개별기업의 네트워크 효과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Amos v.22 를 이용한 기본 연구모형의 개발하고, UCINET 6 를 이용한 중심성 지표 연구하였으며, 중심성 지표를 기본연구모형과 통합하여, Amos v.22 를 이용한 연구 모형의 확립하였다. 또한 NetDraw 2.158 을 이용한 공동특허 및 공동논문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연구 개발 강도는 기업의 특허 출원, 논물 발표 및 혁신 성과 (임상 시험 건수)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기업의 특허 출원과 논물 발표는 혁신성과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의 기업의 높은 중심성은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제약회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에서는 특성이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한 논문으로서, 제약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마련의 자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내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혁신 연구에 접목시킨 실증 논문으로 추후 연구자들의 혁신 연구 기법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특허 자료는 국내 특허로 제한된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미국, 유럽, PCT 등 국외 특허 현황까지 확대하여 연구할 경우 보다 확대된 설명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의 논문 발표 자료는 자료 획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해외 데이터베이스(SCOPUS, PUBMED)에 의존하여 국내에서 한글로 발표된 논문을 통한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역시 추후 적합한 국내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여 연구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innovation networks compr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ollabora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As co-assigned patents and co-authored publications are common outcomes of successful R&D collaborations in pharmaceutical indu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innovation networks compr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ollabora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As co-assigned patents and co-authored publications are common outcomes of successful R&D collaborations in pharmaceutical industry, social network methodology is applied for analyzing innovation networks through patent and publication data and found that small set of highly innovative firms in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are actively involved in patenting and publishing, and that the activity of patenting and publishing is related with the innovation performance measured by new drug developmen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innovation networks compr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ollabora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As co-assigned patents and co-authored publications are common outcomes of successful R&D collaborations in pharmaceutical industry, social network methodology is applied for analyzing innovation networks through patent and publication data and found that small set of highly innovative firms in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are actively involved in patenting and publishing, and that the activity of patenting and publishing is related with the innovation performance measured by new drug development.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대중
학위수여기관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Major, Department of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