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다양한 재해재난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재민들의 대피생활이 장기화되는 경우 대피기능 이외에 이재민의 거주성을 고려한 임시주거시설 계획이 필요하다. 이러한 임시주거시설은 이재민의 신체적, 심리적 안정은 물론 재난복구의지를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국내의 관련 지침 및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의 관련 지침, 주요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이재민의 거주경험에 따른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과 요구사항 및 전문가의 현장 경험에 따른 임시주거시설 계획 시 고려사항을 파악하...
국내에서 다양한 재해재난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재민들의 대피생활이 장기화되는 경우 대피기능 이외에 이재민의 거주성을 고려한 임시주거시설 계획이 필요하다. 이러한 임시주거시설은 이재민의 신체적, 심리적 안정은 물론 재난복구의지를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국내의 관련 지침 및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의 관련 지침, 주요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이재민의 거주경험에 따른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과 요구사항 및 전문가의 현장 경험에 따른 임시주거시설 계획 시 고려사항을 파악하여 이재민의 거주성을 고려한 임시주거시설 계획지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1단계 문헌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안전성, 보건성, 편리성, 쾌적성 측면에서 이재민의 거주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40개의 임시주거시설 계획지침을 도출하였고, 2단계 이재민 면접조사를 통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 및 추가요구사항을 파악하여 1차 계획지침을 수정, 보완한 43개의 2차 계획지침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3단계 전문가 면접조사를 통해 중요도와 추가개선사항을 파악하여 2차 계획지침을 수정, 보완한 46개의 계획지침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최종 도출된 46개의 계획지침 중 13개의 계획지침은 이재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다른 지침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지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임시주거시설 계획지침을 재난구호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적, 제도적 측면의 적용점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적 측면에서 임시주거시설 계획 시 중요 항목으로 도출된 13개 계획지침을 우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재난상황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구호 시설과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제안과 개발이 필요하다. 13개 항목 이외의 계획지침 중 일부 항목은 공공시설에 이미 계획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계획지침을 체크리스트로 활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또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등 기존에 마련된 제도와 연계하여 임시주거시설 지정기준에 적합한 입지에 공공시설이 신축되는 경우에 설계단계부터 계획지침의 적용을 고려한다. 둘째, 제도적 측면을 살펴보면, 실제 재난 구호계획 수립 시 수일 내 대피기능 위주로 계획되는 응급대피소와 대피가 장기화될 경우 거주기능까지 포함하는 임시주거시설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별도의 계획지침 마련과 적용이 요구된다. 학교를 임시주거시설로 사용하는 경우, 교육활동 유지를 위해 이재민 사용제한 공간을 지정하고,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마저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하여, 다양한 시설 사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지자체의 재난구호 관련 관계자 등이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구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임시주거시설 관련 계획지침서를 개발하고, 임시주거시설 공간의 효율적 배치를 제시하는 공간구성지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주거시설 계획지침 도출을 위해 문헌연구, 이재민 면접조사, 전문가 면접조사의 3단계를 통해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인 수준에서 지침을 제안하는 것으로 끝내지 않고, 임시주거시설에서 거주하게 되는 이재민, 재난 현장에 관여하는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국내 여건에 적합한 현실성 있는 지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임시주거시설에서의 거주성 확보를 위한 계획지침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재난약자의 유형을 고려한 세부적인 계획지침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모든 계획지침을 동일한 수준에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을 파악하여 단계별로 현장에서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다양한 재해재난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재민들의 대피생활이 장기화되는 경우 대피기능 이외에 이재민의 거주성을 고려한 임시주거시설 계획이 필요하다. 이러한 임시주거시설은 이재민의 신체적, 심리적 안정은 물론 재난복구의지를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국내의 관련 지침 및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의 관련 지침, 주요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이재민의 거주경험에 따른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과 요구사항 및 전문가의 현장 경험에 따른 임시주거시설 계획 시 고려사항을 파악하여 이재민의 거주성을 고려한 임시주거시설 계획지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1단계 문헌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안전성, 보건성, 편리성, 쾌적성 측면에서 이재민의 거주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40개의 임시주거시설 계획지침을 도출하였고, 2단계 이재민 면접조사를 통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 및 추가요구사항을 파악하여 1차 계획지침을 수정, 보완한 43개의 2차 계획지침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3단계 전문가 면접조사를 통해 중요도와 추가개선사항을 파악하여 2차 계획지침을 수정, 보완한 46개의 계획지침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최종 도출된 46개의 계획지침 중 13개의 계획지침은 이재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다른 지침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지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임시주거시설 계획지침을 재난구호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적, 제도적 측면의 적용점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적 측면에서 임시주거시설 계획 시 중요 항목으로 도출된 13개 계획지침을 우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재난상황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구호 시설과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제안과 개발이 필요하다. 13개 항목 이외의 계획지침 중 일부 항목은 공공시설에 이미 계획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계획지침을 체크리스트로 활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또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등 기존에 마련된 제도와 연계하여 임시주거시설 지정기준에 적합한 입지에 공공시설이 신축되는 경우에 설계단계부터 계획지침의 적용을 고려한다. 둘째, 제도적 측면을 살펴보면, 실제 재난 구호계획 수립 시 수일 내 대피기능 위주로 계획되는 응급대피소와 대피가 장기화될 경우 거주기능까지 포함하는 임시주거시설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별도의 계획지침 마련과 적용이 요구된다. 학교를 임시주거시설로 사용하는 경우, 교육활동 유지를 위해 이재민 사용제한 공간을 지정하고,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마저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하여, 다양한 시설 사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지자체의 재난구호 관련 관계자 등이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구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임시주거시설 관련 계획지침서를 개발하고, 임시주거시설 공간의 효율적 배치를 제시하는 공간구성지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주거시설 계획지침 도출을 위해 문헌연구, 이재민 면접조사, 전문가 면접조사의 3단계를 통해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인 수준에서 지침을 제안하는 것으로 끝내지 않고, 임시주거시설에서 거주하게 되는 이재민, 재난 현장에 관여하는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국내 여건에 적합한 현실성 있는 지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임시주거시설에서의 거주성 확보를 위한 계획지침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재난약자의 유형을 고려한 세부적인 계획지침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모든 계획지침을 동일한 수준에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을 파악하여 단계별로 현장에서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lanning guide of the temporary shelter considering the habitability of disaster victims through the document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regarding the problems and needs of the temporary shelters according to the disaster victims’ and experts’ experience in the fi...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lanning guide of the temporary shelter considering the habitability of disaster victims through the document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regarding the problems and needs of the temporary shelters according to the disaster victims’ and experts’ experience in the field.
A document research was used to analyze and develop the 40 items of temporary shelter’s planning guide based on the habitability of disaster victims in terms of safety, health, convenience, and comfort. An in-depth interview was used to develop the 43 items of planning guide after identifying problems and additional requirements of the temporary shelter through the second stage. Finally, 46 items of planning guidelines,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second planning guide through the third stage experts’ interviews, were suggested. 13 items of 46 planning guidelines that were finally developed based on the opinions of disaster victims and experts, and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guidelines compared to other guidelin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pplication point of the planning and institutional aspects was suggested as a conclusion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planning guide of the temporary shelter,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on such results, at disaster relief site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ferentially apply 13 planning guidelines that are derived as the important items when planning the temporary shelter. In addition, various suggestions and developments are needed for relief facilities and spaces that can be quickly installed at low cost in various disaster situations. Since some items of the planning guide other than 13 items have been already plann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school, the planning guide of this study needs to be considered as a checklist. In addition, in the case that public facilities are newly constructed at a location suitable for the designating standard of the temporary shelter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prepared systems such as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the application of the planning guide is to be considered from the designing stage. Second, in the institutional aspect, division is to be made by emergency shelters, which are planned mainly for the function of evacuation within a few days when establishing the actual disaster relief plan and by the temporary shelter including dwelling function in the case that the evacuation is extended, and a separat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it. In the case of using the school as a temporary shelter, a space for use of disaster victims is to be specified in order to mainta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 preparation for the situation that is not able to use public facilities such as the school, a review of the use of various facilities is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s disaster relief personnel to be able to quickly and systematically establish a relief pla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lanning guide book related to the temporary shelter, and a spatial composition guide that suggests the efficient placement of the temporary shelter.
This study is the way that it used the differentiated research methods through 3 stages of document research, interview with disaster victims, and expert interview survey as the ways for deriving the planning guide. In accordance with this, it is meaningful that, in addition to the suggestion of the guideline at the theoretical level through reviewing documents, the realistic guide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disaster victims who are to dwell in the temporary shelter, and the experts involved in the disaster sites.
In future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planning guide for securing the habitability in the temporary shelter, it is necessary to do the detailed planning guide related research considering the type of the various related persons and the weak disaster victims.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limit to apply all planning guidelines at the same level, it is necessary to do the related research that makes the items with high priority promoted step-by-step on the sit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lanning guide of the temporary shelter considering the habitability of disaster victims through the document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regarding the problems and needs of the temporary shelters according to the disaster victims’ and experts’ experience in the field.
A document research was used to analyze and develop the 40 items of temporary shelter’s planning guide based on the habitability of disaster victims in terms of safety, health, convenience, and comfort. An in-depth interview was used to develop the 43 items of planning guide after identifying problems and additional requirements of the temporary shelter through the second stage. Finally, 46 items of planning guidelines,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second planning guide through the third stage experts’ interviews, were suggested. 13 items of 46 planning guidelines that were finally developed based on the opinions of disaster victims and experts, and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guidelines compared to other guidelin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pplication point of the planning and institutional aspects was suggested as a conclusion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planning guide of the temporary shelter,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on such results, at disaster relief site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ferentially apply 13 planning guidelines that are derived as the important items when planning the temporary shelter. In addition, various suggestions and developments are needed for relief facilities and spaces that can be quickly installed at low cost in various disaster situations. Since some items of the planning guide other than 13 items have been already plann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school, the planning guide of this study needs to be considered as a checklist. In addition, in the case that public facilities are newly constructed at a location suitable for the designating standard of the temporary shelter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prepared systems such as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the application of the planning guide is to be considered from the designing stage. Second, in the institutional aspect, division is to be made by emergency shelters, which are planned mainly for the function of evacuation within a few days when establishing the actual disaster relief plan and by the temporary shelter including dwelling function in the case that the evacuation is extended, and a separat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it. In the case of using the school as a temporary shelter, a space for use of disaster victims is to be specified in order to mainta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 preparation for the situation that is not able to use public facilities such as the school, a review of the use of various facilities is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s disaster relief personnel to be able to quickly and systematically establish a relief pla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lanning guide book related to the temporary shelter, and a spatial composition guide that suggests the efficient placement of the temporary shelter.
This study is the way that it used the differentiated research methods through 3 stages of document research, interview with disaster victims, and expert interview survey as the ways for deriving the planning guide. In accordance with this, it is meaningful that, in addition to the suggestion of the guideline at the theoretical level through reviewing documents, the realistic guide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disaster victims who are to dwell in the temporary shelter, and the experts involved in the disaster sites.
In future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planning guide for securing the habitability in the temporary shelter, it is necessary to do the detailed planning guide related research considering the type of the various related persons and the weak disaster victims.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limit to apply all planning guidelines at the same level, it is necessary to do the related research that makes the items with high priority promoted step-by-step on the site.
Keyword
#재난재해 이재민 거주성 임시주거시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