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중등학교에서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인지된 상호작용, 몰입도를 중심으로 Effects of digital-based instructions with tablet PCs on middle school students' : self-directed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interaction and flow원문보기
디지털 기기 보급의 확산으로 일선 학교에서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교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업 환경은 기존의 교사중심의 전달식 수업의 획일성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적용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교수학습매체를 활용한 학습 환경 제공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디지털 기기를 수업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개발 및 제안되었으나,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등 수업 혁신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단일 매체의 효과성 검증에 한정되었다. 이는 디지털 기기가 가진 수업 교구로서의 가능성을 일부에 국한하여 평가한 측면이 없지 않다. 또한, 학교의 교육 혁신을 지원하는 데에 있어 물질적 지원 및 신규 매체의 사용법을 교사에게 연수해줌에 한정되어 교사의 인식변화와 학습자의 학습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업과는 괴리된 지원을 진행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태블릿 PC를 기반으로 한 교사연수 및 수업개발로부터 디지털 활용 수업 전반의 환경 및 처치에 따른 학습의 효과성에 관심을 갖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과 전통적 방식의 수업은 학습 효과(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인지된 상호작용, 몰입도)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둘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활동과 학생의 학습경험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대구 소재 중학교 1학년 4개 반 6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29명은 통제집단, 31명은 실험집단으로 대상자 100%는 연구학교로 선정된 학교환경에 따라 태블릿 PC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 중 실험집단의 경우 4개 교과목(영어, 과학, 사회, 기술·가정) 수업 시간에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디지털 활용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전통적 수업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함께 질적 ...
디지털 기기 보급의 확산으로 일선 학교에서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교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업 환경은 기존의 교사중심의 전달식 수업의 획일성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적용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교수학습매체를 활용한 학습 환경 제공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디지털 기기를 수업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개발 및 제안되었으나,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등 수업 혁신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단일 매체의 효과성 검증에 한정되었다. 이는 디지털 기기가 가진 수업 교구로서의 가능성을 일부에 국한하여 평가한 측면이 없지 않다. 또한, 학교의 교육 혁신을 지원하는 데에 있어 물질적 지원 및 신규 매체의 사용법을 교사에게 연수해줌에 한정되어 교사의 인식변화와 학습자의 학습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업과는 괴리된 지원을 진행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태블릿 PC를 기반으로 한 교사연수 및 수업개발로부터 디지털 활용 수업 전반의 환경 및 처치에 따른 학습의 효과성에 관심을 갖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과 전통적 방식의 수업은 학습 효과(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인지된 상호작용, 몰입도)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둘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활동과 학생의 학습경험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대구 소재 중학교 1학년 4개 반 6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29명은 통제집단, 31명은 실험집단으로 대상자 100%는 연구학교로 선정된 학교환경에 따라 태블릿 PC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 중 실험집단의 경우 4개 교과목(영어, 과학, 사회, 기술·가정) 수업 시간에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디지털 활용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전통적 수업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함께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우선, 양적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실험 전과 후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차이검증을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사례연구를 위하여 수업관찰 및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은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만족도, 몰입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경험의 확대가 나타났고,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고 태블릿 PC의 장점을 극대화 시켰을 때 디지털 활용 수업이 가능하게 되며,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의 장점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사들은 디지털 활용 수업의 교수-설계 부분에서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수업의 효과성이나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디지털 활용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방법보다 좀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단원과 학습 내용에는 활용하려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과 전통적 수업의 학습 효과성을 다각적으로 측정하여 비교해봄으로써 교사들에게 수업 설계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향후의 학습 환경에 공고한 이론적·경험적 기반을 제공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디지털 기기 보급의 확산으로 일선 학교에서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교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업 환경은 기존의 교사중심의 전달식 수업의 획일성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적용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교수학습매체를 활용한 학습 환경 제공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디지털 기기를 수업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개발 및 제안되었으나,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등 수업 혁신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단일 매체의 효과성 검증에 한정되었다. 이는 디지털 기기가 가진 수업 교구로서의 가능성을 일부에 국한하여 평가한 측면이 없지 않다. 또한, 학교의 교육 혁신을 지원하는 데에 있어 물질적 지원 및 신규 매체의 사용법을 교사에게 연수해줌에 한정되어 교사의 인식변화와 학습자의 학습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업과는 괴리된 지원을 진행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태블릿 PC를 기반으로 한 교사연수 및 수업개발로부터 디지털 활용 수업 전반의 환경 및 처치에 따른 학습의 효과성에 관심을 갖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과 전통적 방식의 수업은 학습 효과(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인지된 상호작용, 몰입도)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둘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활동과 학생의 학습경험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대구 소재 중학교 1학년 4개 반 6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29명은 통제집단, 31명은 실험집단으로 대상자 100%는 연구학교로 선정된 학교환경에 따라 태블릿 PC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 중 실험집단의 경우 4개 교과목(영어, 과학, 사회, 기술·가정) 수업 시간에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디지털 활용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전통적 수업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함께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우선, 양적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실험 전과 후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차이검증을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사례연구를 위하여 수업관찰 및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은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만족도, 몰입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경험의 확대가 나타났고,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고 태블릿 PC의 장점을 극대화 시켰을 때 디지털 활용 수업이 가능하게 되며,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의 장점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사들은 디지털 활용 수업의 교수-설계 부분에서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수업의 효과성이나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디지털 활용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방법보다 좀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단원과 학습 내용에는 활용하려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태블릿 PC기반 디지털 활용 수업과 전통적 수업의 학습 효과성을 다각적으로 측정하여 비교해봄으로써 교사들에게 수업 설계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향후의 학습 환경에 공고한 이론적·경험적 기반을 제공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With the widespread usage of digital devices, tablet PCs and smartphones have got to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instructional tools. Digital devices for education contributes to overcoming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and enables to explore new ways to teach and learn : Learners could...
With the widespread usage of digital devices, tablet PCs and smartphones have got to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instructional tools. Digital devices for education contributes to overcoming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and enables to explore new ways to teach and learn : Learners could benefit from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using various instructional media. By the way, previous research on Smart Education has generally focused on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single media usability for education. Therefore, the full potential of digital devices as teaching tools has rarely explored. Also, there has been difficulty in evaluating how the learner’s classroom experience, since previous studies were mainly interested in providing new material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s for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was tried to understand overall experiences in digital-based education. Specific research theme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digital-based instruction and traditional instruc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learning effects (self-directed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interaction and flow) in a quantitative way. Second, teaching activities and learning experiences in the digital-based instruction with tablet PCs were analyzed in a qualitative wa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a remote area in Daegu, Korea. This school had four first grade classes which consisted of 60 students in total. There were 31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9 students. All the students had personal tablet PC since the school was one of the digital education model school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articipants learned with digital –based instructions in four subjects (English, science, social study, technology home economic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struction by means of traditional directive teaching with the same subjects. This study conducted quasi-mixed methods when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 results have been gathered.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gital-based instruction with tablet P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atisfaction and flow i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qualitativ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were expanded in digital-based instruction with tablet PCs and digital use classes became possible when the teacher maximized the advantage of tablet PC with expertise, and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advantage of digital device use instruction. Teachers had a lot of burden in the teaching-design part of digital-based instruction, but they gradually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 Digital-based education.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to show the future directions of digital educa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provided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similar future education cases.
With the widespread usage of digital devices, tablet PCs and smartphones have got to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instructional tools. Digital devices for education contributes to overcoming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and enables to explore new ways to teach and learn : Learners could benefit from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using various instructional media. By the way, previous research on Smart Education has generally focused on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single media usability for education. Therefore, the full potential of digital devices as teaching tools has rarely explored. Also, there has been difficulty in evaluating how the learner’s classroom experience, since previous studies were mainly interested in providing new material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s for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was tried to understand overall experiences in digital-based education. Specific research theme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digital-based instruction and traditional instruc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learning effects (self-directed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interaction and flow) in a quantitative way. Second, teaching activities and learning experiences in the digital-based instruction with tablet PCs were analyzed in a qualitative wa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a remote area in Daegu, Korea. This school had four first grade classes which consisted of 60 students in total. There were 31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9 students. All the students had personal tablet PC since the school was one of the digital education model school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articipants learned with digital –based instructions in four subjects (English, science, social study, technology home economic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struction by means of traditional directive teaching with the same subjects. This study conducted quasi-mixed methods when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 results have been gathered.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gital-based instruction with tablet P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atisfaction and flow i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qualitativ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were expanded in digital-based instruction with tablet PCs and digital use classes became possible when the teacher maximized the advantage of tablet PC with expertise, and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advantage of digital device use instruction. Teachers had a lot of burden in the teaching-design part of digital-based instruction, but they gradually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 Digital-based education.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to show the future directions of digital educa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provided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similar future education cas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