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이 청년구직자의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ployment Ability Program For Young Job Seekers on Job Stress and Job-seeking efficacy.원문보기
본 연구는 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을 청년구직자(만 15세~ 29세)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B대학교를 졸업하였거나 졸업예정인 청년구직자들 중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유선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4일, 3시간씩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별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을 위해 사전점수들을 공변인으로 한 후 사후점수들에 대해 ...
본 연구는 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을 청년구직자(만 15세~ 29세)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B대학교를 졸업하였거나 졸업예정인 청년구직자들 중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유선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4일, 3시간씩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별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을 위해 사전점수들을 공변인으로 한 후 사후점수들에 대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척도의 하위요인들에서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사전점수들을 공변인으로 한 후 사후점수들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분석의 양적 연구결과를 보완하고자 참가자의 경험보고서를 바탕으로 집단원의 효과를 분석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취업역량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보다 취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취업역량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보다 구직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이 청년구직자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구직효능감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청년구직자가 취업준비 상황에서 느끼며 겪는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구직활동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성공적인 취업으로 이어나가는데 큰 힘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을 청년구직자(만 15세~ 29세)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B대학교를 졸업하였거나 졸업예정인 청년구직자들 중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유선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4일, 3시간씩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별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을 위해 사전점수들을 공변인으로 한 후 사후점수들에 대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척도의 하위요인들에서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사전점수들을 공변인으로 한 후 사후점수들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분석의 양적 연구결과를 보완하고자 참가자의 경험보고서를 바탕으로 집단원의 효과를 분석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취업역량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보다 취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취업역량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보다 구직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청년취업역량프로그램이 청년구직자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구직효능감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청년구직자가 취업준비 상황에서 느끼며 겪는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구직활동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성공적인 취업으로 이어나가는데 큰 힘이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loyment ability program for young job seekers on job stress and job-seeking efficacy. The program was made up of 24 young job seekers who scheduled to graduate or have graduated. The young job seekers were assigned into an experi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loyment ability program for young job seekers on job stress and job-seeking efficacy. The program was made up of 24 young job seekers who scheduled to graduate or have graduated. The young job seekers were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2 people in each group. The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24 hours for 4 day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job stress and job-seeking efficacy test were carried out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PSS/WIN22.0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was applied to the data process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cores of the job stress test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the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ores of the job-seeking efficacy test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job stress and improving job-seeking efficacy in the young job seekers. Those changes can be of assistance to overcom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job-search activitie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is one of effective programs to boost the confidence of job seekers and to encourage them to make integrated preparations for their future employment. Finally,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 for research were discuss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loyment ability program for young job seekers on job stress and job-seeking efficacy. The program was made up of 24 young job seekers who scheduled to graduate or have graduated. The young job seekers were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2 people in each group. The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24 hours for 4 day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job stress and job-seeking efficacy test were carried out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PSS/WIN22.0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was applied to the data process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cores of the job stress test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the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ores of the job-seeking efficacy test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job stress and improving job-seeking efficacy in the young job seekers. Those changes can be of assistance to overcom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job-search activitie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is one of effective programs to boost the confidence of job seekers and to encourage them to make integrated preparations for their future employment. Finally,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 for research were discus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