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Braun-Blanquet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2014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군락의 종조성 및 생활형을 분석한 후 한국에 조성된 목초지의 식물사회학적 특징과 군락의 종조성 및 목초지 식물상, 생활형, 생육형을 분석하여 목초지 식생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졌다. 연구 대상지역은 강원도 오대산국립공원 목초지,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 목초지, 지리산국립공원 바래봉 목초지로서 오대산 목초지의 일부나 지리산국립공원 바래봉 목초지는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조사지역별 대상지 및 목초지 사용여부에 따라 식물상, 생활형, 생육형 및 군락 구성종의 차이가 있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사용목초지와 미사용 목초지로서 목초지 관리여부와 ...
본 연구는 Braun-Blanquet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2014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군락의 종조성 및 생활형을 분석한 후 한국에 조성된 목초지의 식물사회학적 특징과 군락의 종조성 및 목초지 식물상, 생활형, 생육형을 분석하여 목초지 식생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졌다. 연구 대상지역은 강원도 오대산국립공원 목초지,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 목초지, 지리산국립공원 바래봉 목초지로서 오대산 목초지의 일부나 지리산국립공원 바래봉 목초지는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조사지역별 대상지 및 목초지 사용여부에 따라 식물상, 생활형, 생육형 및 군락 구성종의 차이가 있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사용목초지와 미사용 목초지로서 목초지 관리여부와 토양개량제의 사용에 따른 토양의 특성 변화로 보인다. 오대산국립공원내 목초지 중 미사용 목초지는 출현종이 많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천이 및 초지환경의 변화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이들 초지환경의 변화는 가축방목, 토양개량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초지내 식생 구성종들의 경쟁관계가 식생의 종구성의 계속적인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귀화식물의 지수는 사용 목초지의 4.20%보다 미사용 목초지가 약간 높은 5.94%로 조사되었는바, 이것은 큰조아재비 등 목초지 종들의 인위적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다른종의 침입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 목초지는 오대산국립공원 목초지보다 고도가 낮고, 주변에 도로, 경작지 등으로 인하여 종 침입이 비교적 용이하고, 목초지 가장자리에서 주로 발견되는 천이선구종 등의 생육환경이 고도가 높고 식물의 생육환경이 열악한 오대산국립공원보다 양호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종이 조사되었다. 지리산 바래봉 미사용 목초지는 144종이 조사되어 오대산 미사용 목초지의 174종보다는 분포종이 적었으나 오대산 사용 목초지와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 목초지보다는 약 2배정도 분포종이 많았다. 이것은 바래봉 목초지가 목초로 사용되지 않아 침입종이 많은 결과이나 오대산 미사용 목초지에 비해 적은 종이 조사된 것은 목초지 면적과 산의 정상 및 능선에 집중적으로 목초지가 형성되어 목초지 천이가 매우 느리게 진행된 결과로 보인다. 연구대상 5개 지역의 휴면형을 보면 반지중식물(H)이 전지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것은 목초지의 초지가 다년생 개량목초의 재배지이기 때문이며, 목초지 내에서의 종구성은 다년생인 목초지와의 경쟁, 목초지 토양의 적응 등 목초지 식생환경에 적응이 용이한 종들 역시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이다. 1년생식물(Th, Th(w))의 분포비율이 높은 것은 다년생 개량목초의 재배에 이용되는 토지의 목도, 침입도로, 축사 및 부대시설을 초지가 천이선구종 및 1년생식물의 정착 및 생육에 유리한 조건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목초지 규모가 가장 크고 다양한 목초지 식생유형이 나타나는 오대산국립공원 목초지는 큰조아재비와 오리새 목초 비율이 60~85%이며, 침입종에 의하여 자연군락이 형성된 목초지는 붉은병꽃나무, 참조팝나무, 쑥, 애기수영, 은방울꽃, 새 등이며 목초와 혼생하는 비율을 포함하면 약 40% 이상의 분포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귀화식물인 애기수영과 쑥 등은 비교적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면서 전지역에 고루 분포하며, 소리쟁이, 뱀고사리, 신갈나무 등은 비교적 출현빈도가 높다. 은방울꽃, 김의털, 여로, 큰까치수영, 미역줄나무, 국수나무는 기존 식생지역과 목초지의 경계부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침입종 중 애기수영, 쑥, 여로, 은방울꽃, 큰까치수영, 둥굴레, 앉은부채, 소리쟁이, 산딸기 등은 알랠로패시 효과에 따른 용이한 침입조건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신갈나무는 주변 산림식생의 우점종이 신갈나무로 신갈나무의 종자번식 결과로 보인다. 연구대상지역의 목초지 식생은 목초지의 인위적 관리, 구성종 간의 경쟁, 목초지 내 천이 등 수많은 목초지 식생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군락 유형이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초지 그 자체가 천이과정 중 생물적 준극상(biotic preclimax)의 경우가 있다 해도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식생 총조성 비율의 계속적인 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유형의 군락 및 식생이 계속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Braun-Blanquet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2014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군락의 종조성 및 생활형을 분석한 후 한국에 조성된 목초지의 식물사회학적 특징과 군락의 종조성 및 목초지 식물상, 생활형, 생육형을 분석하여 목초지 식생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졌다. 연구 대상지역은 강원도 오대산국립공원 목초지,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 목초지, 지리산국립공원 바래봉 목초지로서 오대산 목초지의 일부나 지리산국립공원 바래봉 목초지는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조사지역별 대상지 및 목초지 사용여부에 따라 식물상, 생활형, 생육형 및 군락 구성종의 차이가 있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사용목초지와 미사용 목초지로서 목초지 관리여부와 토양개량제의 사용에 따른 토양의 특성 변화로 보인다. 오대산국립공원내 목초지 중 미사용 목초지는 출현종이 많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천이 및 초지환경의 변화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이들 초지환경의 변화는 가축방목, 토양개량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초지내 식생 구성종들의 경쟁관계가 식생의 종구성의 계속적인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귀화식물의 지수는 사용 목초지의 4.20%보다 미사용 목초지가 약간 높은 5.94%로 조사되었는바, 이것은 큰조아재비 등 목초지 종들의 인위적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다른종의 침입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 목초지는 오대산국립공원 목초지보다 고도가 낮고, 주변에 도로, 경작지 등으로 인하여 종 침입이 비교적 용이하고, 목초지 가장자리에서 주로 발견되는 천이선구종 등의 생육환경이 고도가 높고 식물의 생육환경이 열악한 오대산국립공원보다 양호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종이 조사되었다. 지리산 바래봉 미사용 목초지는 144종이 조사되어 오대산 미사용 목초지의 174종보다는 분포종이 적었으나 오대산 사용 목초지와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 목초지보다는 약 2배정도 분포종이 많았다. 이것은 바래봉 목초지가 목초로 사용되지 않아 침입종이 많은 결과이나 오대산 미사용 목초지에 비해 적은 종이 조사된 것은 목초지 면적과 산의 정상 및 능선에 집중적으로 목초지가 형성되어 목초지 천이가 매우 느리게 진행된 결과로 보인다. 연구대상 5개 지역의 휴면형을 보면 반지중식물(H)이 전지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것은 목초지의 초지가 다년생 개량목초의 재배지이기 때문이며, 목초지 내에서의 종구성은 다년생인 목초지와의 경쟁, 목초지 토양의 적응 등 목초지 식생환경에 적응이 용이한 종들 역시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이다. 1년생식물(Th, Th(w))의 분포비율이 높은 것은 다년생 개량목초의 재배에 이용되는 토지의 목도, 침입도로, 축사 및 부대시설을 초지가 천이선구종 및 1년생식물의 정착 및 생육에 유리한 조건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목초지 규모가 가장 크고 다양한 목초지 식생유형이 나타나는 오대산국립공원 목초지는 큰조아재비와 오리새 목초 비율이 60~85%이며, 침입종에 의하여 자연군락이 형성된 목초지는 붉은병꽃나무, 참조팝나무, 쑥, 애기수영, 은방울꽃, 새 등이며 목초와 혼생하는 비율을 포함하면 약 40% 이상의 분포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귀화식물인 애기수영과 쑥 등은 비교적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면서 전지역에 고루 분포하며, 소리쟁이, 뱀고사리, 신갈나무 등은 비교적 출현빈도가 높다. 은방울꽃, 김의털, 여로, 큰까치수영, 미역줄나무, 국수나무는 기존 식생지역과 목초지의 경계부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침입종 중 애기수영, 쑥, 여로, 은방울꽃, 큰까치수영, 둥굴레, 앉은부채, 소리쟁이, 산딸기 등은 알랠로패시 효과에 따른 용이한 침입조건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신갈나무는 주변 산림식생의 우점종이 신갈나무로 신갈나무의 종자번식 결과로 보인다. 연구대상지역의 목초지 식생은 목초지의 인위적 관리, 구성종 간의 경쟁, 목초지 내 천이 등 수많은 목초지 식생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군락 유형이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초지 그 자체가 천이과정 중 생물적 준극상(biotic preclimax)의 경우가 있다 해도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식생 총조성 비율의 계속적인 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유형의 군락 및 식생이 계속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