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일반적 변인(연령, 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일반적 변인(연령, 성)에 따른 주의집중력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수준에 따른 과몰입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4.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주의집중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2개의 유치원과 2개의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158명과 유아의 어머니 158명, 유아의 담임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윤태정(2015)이 개발한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 척도’와 홍성훈(2013)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 주의집중력 척도’, 곽소영(1998)에 의해 제작된 ‘유아용 주의집중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유아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일반적 변인(연령, 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일반적 변인(연령, 성)에 따른 주의집중력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수준에 따른 과몰입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4.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주의집중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2개의 유치원과 2개의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158명과 유아의 어머니 158명, 유아의 담임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윤태정(2015)이 개발한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 척도’와 홍성훈(2013)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 주의집중력 척도’, 곽소영(1998)에 의해 제작된 ‘유아용 주의집중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아의 개인적 변인(연령, 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수준에 따른 과몰입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및 스마트폰 과몰입 증상은 연령이나 성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주의집중력에 대해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안정성(충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전체 정서적 주의집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적 주의집중력에 대해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보다 선택적 주의집중력과 지속적 주의집중력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수준에 따른 과몰입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모두 일반 사용환경군보다 잠재적 위험 사용환경군과 고위험 사용환경군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주의집중력과의 관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일반적 변인(연령, 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일반적 변인(연령, 성)에 따른 주의집중력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수준에 따른 과몰입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4.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주의집중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2개의 유치원과 2개의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158명과 유아의 어머니 158명, 유아의 담임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윤태정(2015)이 개발한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 척도’와 홍성훈(2013)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 주의집중력 척도’, 곽소영(1998)에 의해 제작된 ‘유아용 주의집중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아의 개인적 변인(연령, 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수준에 따른 과몰입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주의집중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및 스마트폰 과몰입 증상은 연령이나 성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주의집중력에 대해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안정성(충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전체 정서적 주의집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적 주의집중력에 대해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보다 선택적 주의집중력과 지속적 주의집중력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 수준에 따른 과몰입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모두 일반 사용환경군보다 잠재적 위험 사용환경군과 고위험 사용환경군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주의집중력과의 관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difference in attentiveness based on the general variables in early childho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158 children and their 158 mothers, and 7 teachers in 2 kindergar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difference in attentiveness based on the general variables in early childho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158 children and their 158 mothers, and 7 teachers in 2 kindergartens and 2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 do, 'Evaluation criteria for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developed by Yoon Taejeong (2015), ' Attentiveness scales for teachers' by Hong Seonghoon (2013), and 'Attentiveness test for children' by Kwak Soyoung (1998) have been used as research tools. T-test for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degree of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difference in attentiveness based on the general variables (age and sex) in early childhood using SPSS 23.0 program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mer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in early childhood. In addition, Scheffe was conducted as a follow-up test. Finally,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attentiveness in early childhoo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the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atten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and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depending on their age or sex. Second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depending on children's age or sex in the light of affective attentiveness showed that stability of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Third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depending on children's age or sex in the light of academic attentiveness showed that 5-year-old children were higher than their 4-year-oldcounterparts in terms of selective attentiveness and continuous attentivenes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sex. Fourth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mer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in early childhood showed that the groups in the environment in which smartphone was used up to the level of potential risk or high risk were higher than the general users in terms of development disorders, excessive pursuit, and obsessive use. Fifth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attentiveness in early childhoo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difference in attentiveness based on the general variables in early childho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158 children and their 158 mothers, and 7 teachers in 2 kindergartens and 2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 do, 'Evaluation criteria for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developed by Yoon Taejeong (2015), ' Attentiveness scales for teachers' by Hong Seonghoon (2013), and 'Attentiveness test for children' by Kwak Soyoung (1998) have been used as research tools. T-test for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degree of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difference in attentiveness based on the general variables (age and sex) in early childhood using SPSS 23.0 program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mer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in early childhood. In addition, Scheffe was conducted as a follow-up test. Finally,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attentiveness in early childhoo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the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atten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and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depending on their age or sex. Second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depending on children's age or sex in the light of affective attentiveness showed that stability of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Third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depending on children's age or sex in the light of academic attentiveness showed that 5-year-old children were higher than their 4-year-oldcounterparts in terms of selective attentiveness and continuous attentivenes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sex. Fourth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mer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in early childhood showed that the groups in the environment in which smartphone was used up to the level of potential risk or high risk were higher than the general users in terms of development disorders, excessive pursuit, and obsessive use. Fifth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and the attentiveness in early childhoo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