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추후 어린이집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유형 및 교사의 배경변인별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유형 및 교사의 배경변인별 영유아 인성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3. 영유아 인성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어린이집유형 및 배경변인별 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대전에 소재한 다른 유형의(국공립, 직장,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각 70명씩 280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송인숙(2015), 임이랑(2014), 김효순(2016), 강덕환(2014)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문항에 따라 평균과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추후 어린이집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유형 및 교사의 배경변인별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유형 및 교사의 배경변인별 영유아 인성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3. 영유아 인성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어린이집유형 및 배경변인별 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대전에 소재한 다른 유형의(국공립, 직장,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각 70명씩 280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송인숙(2015), 임이랑(2014), 김효순(2016), 강덕환(2014)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문항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서의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린이집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들에게 인성교육은 ‘기본생활습관 습득’의 개념이라고 응답하였고 효, 애국, 예절 등의 전통덕목을 현대 인성교육의 개념 중 가장 적은 비중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영유아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로는 어린이집유형, 담당학급, 연령, 학력, 경력에 관계없이 ‘지나친 이기주의’때문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 ‘가치관의 혼란’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적었다. 영유아 인성교육의 주체는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은 가정이 되여야 한다고 대답한 반면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가정, 어린이집, 지역사회, 국가 모두가 되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인성교육의 시작 시기는 유형별, 배경변인별로 보면 모든 교사들은 영아기에 인성교육을 시작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국공립, 직장, 민간어린이집 교사들은 영유아 인성교육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연계하여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은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영유아 인성교육에 포함해야 할 덕목 중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는 ‘배려’ 라고 답한 교사가 많았다. 인성교육의 목적으로는 ‘또래관계 및 사회성향상’이라고 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어린이집에서의 인성교육의 실태를 보면 각 기관에서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5점 척도에서 평균 2.06으로 다소 낮게 실행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형별로는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가장 낮게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영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원장의 강조와 실시가 중요한 실행동기와 방법이고, 누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인성교육의 교수방법으로는 순위별로 기본생활습관, 그림책, 그리고 대화를 통해서 실시된다고 응답하였으며 덕목별로는 배려, 존중, 협력 순으로 실행하고 있었고 ‘책임’ 덕목을 가장 적게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관찰과 학부모 면담으로 인성교육을 평가하고 있었고 인성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운 점은 ‘부모의 무관심’이라고 답 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인성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어린이집 교사들의 요구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의 내용에 ‘가정연계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가장 많이 답하였고 그 다음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많았다. 하지만 40대 이상의 어린이집교사들은 ‘교사인성개발 프로그램’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어린이집교사들은 사회적으로 ‘지속적 학부모면담’을 지원해 주길 원했으며 국가에서 ‘가정 연계를 위한 부모교육’을 지원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기관에서 개선해 주어야 할 사항으로는 ‘인성교육용 교재교구의 배치’를 원하고 있었다.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해 교사 연수 시 모든 유형의 어린이집교사들이 ‘구체적 수업방법제공’을 가장 필요로 하고 ‘전문강사의 강의’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답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영유아 인성교육을 기본생활습관의 습득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인성교육의 목적을 또래 관계나 사회성 향상으로 보고 기본생활 습관 지도나 그림책읽기, 대화를 통해 배려나 존중 등의 덕목을 실현하려 하고 있었다. 그리고 모든 유형의 어린이집의교사들이 영유아 인성교육에 있어서 가정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부모의 무관심이 개선되어야 하며 가정연계, 부모면담, 부모 교육 등의 가정과의 협력을 통하여 인성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효과적인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해 전문 강사에 의한 강의와 교재교구, 구체적 수업방법을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의 효과적인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가정으로부터 인성교육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고 국가적, 사회적 관심으로부터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구체적 인성 프로그램으로 매체의 개발 및 보급, 수업방법 및 자료제공으로 어린이집교사들이 소속된 기관유형과 배경변인에 관계없이 인성교육 전문가로서 영유아 인성교육을 실천하여 우리나라 영유아들이 미래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추후 어린이집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유형 및 교사의 배경변인별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유형 및 교사의 배경변인별 영유아 인성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3. 영유아 인성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어린이집유형 및 배경변인별 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대전에 소재한 다른 유형의(국공립, 직장,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각 70명씩 280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송인숙(2015), 임이랑(2014), 김효순(2016), 강덕환(2014)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문항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서의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린이집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들에게 인성교육은 ‘기본생활습관 습득’의 개념이라고 응답하였고 효, 애국, 예절 등의 전통덕목을 현대 인성교육의 개념 중 가장 적은 비중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영유아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로는 어린이집유형, 담당학급, 연령, 학력, 경력에 관계없이 ‘지나친 이기주의’때문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 ‘가치관의 혼란’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적었다. 영유아 인성교육의 주체는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은 가정이 되여야 한다고 대답한 반면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가정, 어린이집, 지역사회, 국가 모두가 되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인성교육의 시작 시기는 유형별, 배경변인별로 보면 모든 교사들은 영아기에 인성교육을 시작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국공립, 직장, 민간어린이집 교사들은 영유아 인성교육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연계하여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은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영유아 인성교육에 포함해야 할 덕목 중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는 ‘배려’ 라고 답한 교사가 많았다. 인성교육의 목적으로는 ‘또래관계 및 사회성향상’이라고 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어린이집에서의 인성교육의 실태를 보면 각 기관에서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5점 척도에서 평균 2.06으로 다소 낮게 실행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형별로는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가장 낮게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영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원장의 강조와 실시가 중요한 실행동기와 방법이고, 누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인성교육의 교수방법으로는 순위별로 기본생활습관, 그림책, 그리고 대화를 통해서 실시된다고 응답하였으며 덕목별로는 배려, 존중, 협력 순으로 실행하고 있었고 ‘책임’ 덕목을 가장 적게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관찰과 학부모 면담으로 인성교육을 평가하고 있었고 인성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운 점은 ‘부모의 무관심’이라고 답 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인성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어린이집 교사들의 요구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의 내용에 ‘가정연계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가장 많이 답하였고 그 다음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많았다. 하지만 40대 이상의 어린이집교사들은 ‘교사인성개발 프로그램’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어린이집교사들은 사회적으로 ‘지속적 학부모면담’을 지원해 주길 원했으며 국가에서 ‘가정 연계를 위한 부모교육’을 지원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기관에서 개선해 주어야 할 사항으로는 ‘인성교육용 교재교구의 배치’를 원하고 있었다.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해 교사 연수 시 모든 유형의 어린이집교사들이 ‘구체적 수업방법제공’을 가장 필요로 하고 ‘전문강사의 강의’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답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영유아 인성교육을 기본생활습관의 습득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인성교육의 목적을 또래 관계나 사회성 향상으로 보고 기본생활 습관 지도나 그림책읽기, 대화를 통해 배려나 존중 등의 덕목을 실현하려 하고 있었다. 그리고 모든 유형의 어린이집의교사들이 영유아 인성교육에 있어서 가정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부모의 무관심이 개선되어야 하며 가정연계, 부모면담, 부모 교육 등의 가정과의 협력을 통하여 인성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효과적인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해 전문 강사에 의한 강의와 교재교구, 구체적 수업방법을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의 효과적인 영유아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가정으로부터 인성교육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고 국가적, 사회적 관심으로부터 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구체적 인성 프로그램으로 매체의 개발 및 보급, 수업방법 및 자료제공으로 어린이집교사들이 소속된 기관유형과 배경변인에 관계없이 인성교육 전문가로서 영유아 인성교육을 실천하여 우리나라 영유아들이 미래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