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02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 유형, 결혼여부, 연령대, 경력, 담당 연령, 직책, 최종학력, 자격증취득경로 총 8문항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재선(2011)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인성 자기 평가도구를 신소희(2019)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Bloom(1986)의 교사 직무만족 측정도구(ECJS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Survey)에서 직무만족도 구성요소만을 송유진(1993)이 번역한 도구를 기본으로 이경애(2010)와 김시연(2014)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넷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진숙(2009)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루일과존중’, ‘아동의 최선의 이익’으로 구성된 도구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 이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보육의 실행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관계를 실시하였다.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기분석(...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02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 유형, 결혼여부, 연령대, 경력, 담당 연령, 직책, 최종학력, 자격증취득경로 총 8문항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재선(2011)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인성 자기 평가도구를 신소희(2019)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Bloom(1986)의 교사 직무만족 측정도구(ECJS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Survey)에서 직무만족도 구성요소만을 송유진(1993)이 번역한 도구를 기본으로 이경애(2010)와 김시연(2014)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넷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진숙(2009)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루일과존중’, ‘아동의 최선의 이익’으로 구성된 도구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 이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보육의 실행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관계를 실시하였다.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은 부분적으로 평균 이상 높은 수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및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직무만족도보다 보육교사의 인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해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만족도보다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궁극적으로는 보육교사의 인성에 대한 중요성과 이해가 확장되어 보육교사의 인성을 향상·유지할 수 있는 국가차원에서의 교육 강화 등의 노력이 전개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02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 유형, 결혼여부, 연령대, 경력, 담당 연령, 직책, 최종학력, 자격증취득경로 총 8문항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재선(2011)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인성 자기 평가도구를 신소희(2019)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Bloom(1986)의 교사 직무만족 측정도구(ECJS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Survey)에서 직무만족도 구성요소만을 송유진(1993)이 번역한 도구를 기본으로 이경애(2010)와 김시연(2014)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넷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진숙(2009)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루일과존중’, ‘아동의 최선의 이익’으로 구성된 도구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 이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보육의 실행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관계를 실시하였다.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은 부분적으로 평균 이상 높은 수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 및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직무만족도보다 보육교사의 인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해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만족도보다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만족도,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실행수준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궁극적으로는 보육교사의 인성에 대한 중요성과 이해가 확장되어 보육교사의 인성을 향상·유지할 수 있는 국가차원에서의 교육 강화 등의 노력이 전개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at child-care centers, and then look into the relativ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at child-care centers, and then look into the relativ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Study subjects were 30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following questionnaire survey tools: First, in order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this study used 8 questions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marital status, age, career, children’s age, posi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the channel of qualification,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m was conducted. Second, in order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the personality self-assessment tool, developed by Jeon Jae-seon (2011) and modified by Shin So-hui (2019), was used. Third, in order to test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part of ‘job satisfaction’ of ECJS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developed by Bloom (1986), translated by Song Yu-jin (1993), and modified by Lee Gyeong-ae (2010) and Kim Si-yeon (2014). Fourth, in order to look into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this study used the tool developed by Kim Jin-suk (2009)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daily schedules’ and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As study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general tendency of implementation level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finally, in order to look into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implementation level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presented the fac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are partially higher than average scor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showed the fact that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had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But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the both variables on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was higher tha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eems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thus verifying the fac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are very important variables that having effect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It is hoped that this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of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infant rights. Ultimately, the importance and understanding of child care teachers will be expanded to help strengthen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at child-care centers, and then look into the relativ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Study subjects were 30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following questionnaire survey tools: First, in order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this study used 8 questions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marital status, age, career, children’s age, posi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the channel of qualification,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m was conducted. Second, in order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the personality self-assessment tool, developed by Jeon Jae-seon (2011) and modified by Shin So-hui (2019), was used. Third, in order to test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part of ‘job satisfaction’ of ECJS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developed by Bloom (1986), translated by Song Yu-jin (1993), and modified by Lee Gyeong-ae (2010) and Kim Si-yeon (2014). Fourth, in order to look into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this study used the tool developed by Kim Jin-suk (2009)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daily schedules’ and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As study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general tendency of implementation level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finally, in order to look into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implementation level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presented the fac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are partially higher than average scor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showed the fact that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had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But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the both variables on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was higher tha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eems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thus verifying the fac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are very important variables that having effect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hild-care. It is hoped that this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of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infant rights. Ultimately, the importance and understanding of child care teachers will be expanded to help strengthen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