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담임교사에 대한 신뢰가 학급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급경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학생이 담임교사를 신뢰하는 수준은 어떠한가? 나.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급조직효과성은 어떠한가? 다.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는 학급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독립변인인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는 능력·개방성·일관성·성실성·돌봄·친밀감 6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학급조직효과성은 응집성·적응성·학업적 목표지향성의 3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배경변인은 교사의 성별과 교직경력, 보직여부 그리고 학생의 성별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공립 초등학교 8곳을 무선표집하여 5학년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결과 도출을 위해 기술 통계와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담임교사에 대한 신뢰가 학급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급경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학생이 담임교사를 신뢰하는 수준은 어떠한가? 나.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급조직효과성은 어떠한가? 다.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는 학급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독립변인인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는 능력·개방성·일관성·성실성·돌봄·친밀감 6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학급조직효과성은 응집성·적응성·학업적 목표지향성의 3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배경변인은 교사의 성별과 교직경력, 보직여부 그리고 학생의 성별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공립 초등학교 8곳을 무선표집하여 5학년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결과 도출을 위해 기술 통계와 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으며,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와 학급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고, 신뢰가 학급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은 자신의 담임교사에 대하여 높은 수준으로 신뢰하고 있었으며, 담임교사가 여자일 때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담임교사 성별에 따른 신뢰의 차이는 담임교사의 지도 방식에 따른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측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조직효과성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담임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경력이 6년 이상 16년 미만일 때 가장 높았다. 관련 선행연구들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 시기에 교사들이 전문성 향상을 위해 가장 노력한다는 교직 생애 관련 연구들이 있어 학급조직효과성이 높게 나타나는 까닭을 설명하였다. 셋째, 배경변인을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 하위 요인 중 개방성과 돌봄이 학급조직효과성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응집성에는 개방성, 일관성, 성실성, 돌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적응성에는 개방성, 일관성, 돌봄이, 학업적 목표지향성에는 일관성, 돌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가 높을수록 학급조직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보다 나은 학급을 만들기 위해 학생들이 자신을 신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학교 및 행정기관, 교사 양성기관에서는 교사들이 신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교사의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수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교직경력에 따른 학급조직 효과성의 차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학급 구성원 간 신뢰 중 학생의 교사 신뢰만 측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신뢰의 상호성을 고려하여 교사의 학생 신뢰, 학생 간 신뢰 등 다른 방향에서 학급 구성원 간 신뢰를 측정하여 자료를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능력, 개방성, 일관성 등의 신뢰성을 신뢰의 개념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신뢰성이 신뢰의 개념인지 신뢰를 형성시키는 선행요인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 후속 연구에서는 기존의 신뢰성 측정도구와는 다른 새로운 측정 방법을 고안하면 좋겠다. 셋째, 연구 설계 측면에서, 신뢰가 시간의 흐름 및 경험의 축적에 따라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시차를 두고 측정하는 종단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연구 방법 측면에서 사례연구, 심층면접, 실험연구 등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신뢰를 이해하는 관점을 다양화하고 신뢰의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담임교사에 대한 신뢰가 학급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급경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학생이 담임교사를 신뢰하는 수준은 어떠한가? 나.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급조직효과성은 어떠한가? 다.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는 학급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독립변인인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는 능력·개방성·일관성·성실성·돌봄·친밀감 6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학급조직효과성은 응집성·적응성·학업적 목표지향성의 3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배경변인은 교사의 성별과 교직경력, 보직여부 그리고 학생의 성별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공립 초등학교 8곳을 무선표집하여 5학년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결과 도출을 위해 기술 통계와 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으며,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와 학급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고, 신뢰가 학급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은 자신의 담임교사에 대하여 높은 수준으로 신뢰하고 있었으며, 담임교사가 여자일 때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담임교사 성별에 따른 신뢰의 차이는 담임교사의 지도 방식에 따른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측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조직효과성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담임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경력이 6년 이상 16년 미만일 때 가장 높았다. 관련 선행연구들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 시기에 교사들이 전문성 향상을 위해 가장 노력한다는 교직 생애 관련 연구들이 있어 학급조직효과성이 높게 나타나는 까닭을 설명하였다. 셋째, 배경변인을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 하위 요인 중 개방성과 돌봄이 학급조직효과성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응집성에는 개방성, 일관성, 성실성, 돌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적응성에는 개방성, 일관성, 돌봄이, 학업적 목표지향성에는 일관성, 돌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담임교사 신뢰가 높을수록 학급조직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보다 나은 학급을 만들기 위해 학생들이 자신을 신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학교 및 행정기관, 교사 양성기관에서는 교사들이 신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교사의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수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교직경력에 따른 학급조직 효과성의 차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학급 구성원 간 신뢰 중 학생의 교사 신뢰만 측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신뢰의 상호성을 고려하여 교사의 학생 신뢰, 학생 간 신뢰 등 다른 방향에서 학급 구성원 간 신뢰를 측정하여 자료를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능력, 개방성, 일관성 등의 신뢰성을 신뢰의 개념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신뢰성이 신뢰의 개념인지 신뢰를 형성시키는 선행요인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 후속 연구에서는 기존의 신뢰성 측정도구와는 다른 새로운 측정 방법을 고안하면 좋겠다. 셋째, 연구 설계 측면에서, 신뢰가 시간의 흐름 및 경험의 축적에 따라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시차를 두고 측정하는 종단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연구 방법 측면에서 사례연구, 심층면접, 실험연구 등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신뢰를 이해하는 관점을 다양화하고 신뢰의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