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기질 및 실행기능과 어머니 정서 표현성의 영향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기질 및 실행기능과 어머니 정서 표현성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인천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204명과 그들의 어머니 204명으로 어머니용 질문지를 배부한 후, 유아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유아용 인터뷰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머니용 질문지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기질 및 실행기능과 어머니 정서 표현성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인천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204명과 그들의 어머니 204명으로 어머니용 질문지를 배부한 후, 유아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유아용 인터뷰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머니용 질문지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각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의 기질,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살펴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기질의 하위 영역 중 부정적 정서와 외향성의 점수는 중간 수준이며 의도적 통제는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행기능의 하위 변인인 억제와 작업 기억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 중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은 보통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업 기억은 보통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정서표현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중간 수준보다 높았으나 부정적 정서표현은 중간 수준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즉,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으로 살펴 본 결과,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의 평균은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가장 높았고 개인정서 조절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 순이었다. 둘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에 비해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의 하위요인이 사회적 능력 전체 그리고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과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질의 하위요인 중 의도적 통제만이 사회적 능력의 모든 하위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통제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능력의 하위 요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사회적 능력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 표현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사회적 능력 중 개인정서 조절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은 대인관계 형성능력과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의 기질 및 실행기능,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사회적 능력 전체와 사회적 능력의 하위 영역(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생물학적이며 유전적인 실행기능과 기질, 그리고 외적변인인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의 모든 변인을 통해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실행기능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능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억제와 작업 기억, 의도적 통제 순이었다.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은 억제와 작업 기억, 정서 표현성의 긍정적 정서표현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형성능력에는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 그리고 기질의 의도적 통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 중 억제만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실행기능과 기질,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실행기능 중 억제는 사회적 능력 전반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능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모색과 이를 통한 개별적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기질 및 실행기능과 어머니 정서 표현성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인천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204명과 그들의 어머니 204명으로 어머니용 질문지를 배부한 후, 유아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유아용 인터뷰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머니용 질문지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각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의 기질,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살펴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기질의 하위 영역 중 부정적 정서와 외향성의 점수는 중간 수준이며 의도적 통제는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행기능의 하위 변인인 억제와 작업 기억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 중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은 보통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업 기억은 보통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정서표현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중간 수준보다 높았으나 부정적 정서표현은 중간 수준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즉,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으로 살펴 본 결과,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의 평균은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가장 높았고 개인정서 조절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 순이었다. 둘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에 비해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의 하위요인이 사회적 능력 전체 그리고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과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질의 하위요인 중 의도적 통제만이 사회적 능력의 모든 하위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통제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능력의 하위 요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사회적 능력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 표현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사회적 능력 중 개인정서 조절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은 대인관계 형성능력과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의 기질 및 실행기능,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사회적 능력 전체와 사회적 능력의 하위 영역(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생물학적이며 유전적인 실행기능과 기질, 그리고 외적변인인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의 모든 변인을 통해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실행기능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능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억제와 작업 기억, 의도적 통제 순이었다.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은 억제와 작업 기억, 정서 표현성의 긍정적 정서표현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형성능력에는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 그리고 기질의 의도적 통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 중 억제만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실행기능과 기질,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실행기능 중 억제는 사회적 능력 전반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능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모색과 이를 통한 개별적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기질 및 실행기능과 어머니 정서 표현성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인천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204명과 그들의 어머니 204명으로 어머니용 질문지를 배부한 후, 유아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유아용 인터뷰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머니용 질문지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각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의 기질,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살펴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기질의 하위 영역 중 부정적 정서와 외향성의 점수는 중간 수준이며 의도적 통제는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행기능의 하위 변인인 억제와 작업 기억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 중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은 보통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업 기억은 보통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정서표현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중간 수준보다 높았으나 부정적 정서표현은 중간 수준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즉,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으로 살펴 본 결과,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의 평균은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가장 높았고 개인정서 조절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 순이었다. 둘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에 비해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의 하위요인이 사회적 능력 전체 그리고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과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질의 하위요인 중 의도적 통제만이 사회적 능력의 모든 하위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통제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능력의 하위 요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사회적 능력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 표현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사회적 능력 중 개인정서 조절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은 대인관계 형성능력과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의 기질 및 실행기능,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사회적 능력 전체와 사회적 능력의 하위 영역(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생물학적이며 유전적인 실행기능과 기질, 그리고 외적변인인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의 모든 변인을 통해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실행기능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능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억제와 작업 기억, 의도적 통제 순이었다.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은 억제와 작업 기억, 정서 표현성의 긍정적 정서표현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형성능력에는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 그리고 기질의 의도적 통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 중 억제만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실행기능과 기질,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실행기능 중 억제는 사회적 능력 전반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능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모색과 이를 통한 개별적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기질 및 실행기능과 어머니 정서 표현성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인천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204명과 그들의 어머니 204명으로 어머니용 질문지를 배부한 후, 유아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유아용 인터뷰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머니용 질문지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각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의 기질,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살펴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기질의 하위 영역 중 부정적 정서와 외향성의 점수는 중간 수준이며 의도적 통제는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행기능의 하위 변인인 억제와 작업 기억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 중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은 보통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업 기억은 보통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정서표현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중간 수준보다 높았으나 부정적 정서표현은 중간 수준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 즉,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으로 살펴 본 결과,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변인의 평균은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가장 높았고 개인정서 조절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 순이었다. 둘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에 비해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의 하위요인이 사회적 능력 전체 그리고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과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질의 하위요인 중 의도적 통제만이 사회적 능력의 모든 하위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통제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능력의 하위 요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사회적 능력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 표현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은 사회적 능력 중 개인정서 조절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은 대인관계 형성능력과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의 기질 및 실행기능,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사회적 능력 전체와 사회적 능력의 하위 영역(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생물학적이며 유전적인 실행기능과 기질, 그리고 외적변인인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의 모든 변인을 통해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실행기능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능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억제와 작업 기억, 의도적 통제 순이었다.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은 억제와 작업 기억, 정서 표현성의 긍정적 정서표현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형성능력에는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 그리고 기질의 의도적 통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 중 억제만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실행기능과 기질,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실행기능 중 억제는 사회적 능력 전반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능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모색과 이를 통한 개별적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nhancement of infant social competence, by inspecting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social skills of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04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nhancement of infant social competence, by inspecting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social skills of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04 infants of 4 to 5-year-old, who a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d their 204 mothers. The interviews targeting infants were conducted after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mothers. The interview for infants is composed of questions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e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the questionnaire for mothers is composed of questions to inspect the temperament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questions of each measurement tool,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mother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emotion of sub-domain of the temperament and extroversion scores are at a medium level, and intentional control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In addition, repression, which is the sub-variant of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and the repression of cognitive flexibility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However, working memory wa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Meanwhil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s was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bu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lower than the medium level. Finally, by inspecting the results of the sub-variants of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in other words,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average of sub-variants of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m was the highest, and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llowed. Secondly, by inspecting the results to se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infant according to age, 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age of infants. The 5-year-old infant especially showed a higher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 4-year-old infant. Thirdly, by the analysis results of correlation to investigate whether the sub-factor of independent variables has a relevance to all social abilities and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only the intentional control of sub-factors of temperament showed a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nd all sub-factors of intentional control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lso, th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howed a correla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sub-factor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 of social competenc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adapt to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urthly, the influence on all social competence and sub-domain of social competence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are affected by biological and genetic executive functions and temperament, and all the variable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is the external variable.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executive function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predic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pecifically, the affecting variables on all social competence were in the order of repression, working memory and intentional control. The sub-variant, which provided a static effect on the control ability of the personal emotions of infants, was in the order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of repression, working memor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Furthermore, it showed that the intentional control of repress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temperament all had an influence on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nwhile, only the repression of the sub-domain of the executive function had an influence on the ability of infants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xecutive function, temperament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specially that the repression of executive functions,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cross social competence.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seeking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to promote social competence and the operation of individual programs through i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nhancement of infant social competence, by inspecting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social skills of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04 infants of 4 to 5-year-old, who a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d their 204 mothers. The interviews targeting infants were conducted after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mothers. The interview for infants is composed of questions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e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the questionnaire for mothers is composed of questions to inspect the temperament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questions of each measurement tool,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mother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emotion of sub-domain of the temperament and extroversion scores are at a medium level, and intentional control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In addition, repression, which is the sub-variant of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and the repression of cognitive flexibility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However, working memory wa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Meanwhil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s was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bu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lower than the medium level. Finally, by inspecting the results of the sub-variants of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in other words,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average of sub-variants of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m was the highest, and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llowed. Secondly, by inspecting the results to se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infant according to age, 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age of infants. The 5-year-old infant especially showed a higher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 4-year-old infant. Thirdly, by the analysis results of correlation to investigate whether the sub-factor of independent variables has a relevance to all social abilities and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only the intentional control of sub-factors of temperament showed a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nd all sub-factors of intentional control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lso, th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howed a correla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sub-factor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 of social competenc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adapt to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urthly, the influence on all social competence and sub-domain of social competence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are affected by biological and genetic executive functions and temperament, and all the variable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is the external variable.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executive function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predic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pecifically, the affecting variables on all social competence were in the order of repression, working memory and intentional control. The sub-variant, which provided a static effect on the control ability of the personal emotions of infants, was in the order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of repression, working memor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Furthermore, it showed that the intentional control of repress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temperament all had an influence on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nwhile, only the repression of the sub-domain of the executive function had an influence on the ability of infants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xecutive function, temperament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specially that the repression of executive functions,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cross social competence.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seeking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to promote social competence and the operation of individual programs through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nhancement of infant social competence, by inspecting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social skills of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04 infants of 4 to 5-year-old, who a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d their 204 mothers. The interviews targeting infants were conducted after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mothers. The interview for infants is composed of questions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e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the questionnaire for mothers is composed of questions to inspect the temperament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questions of each measurement tool,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mother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emotion of sub-domain of the temperament and extroversion scores are at a medium level, and intentional control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In addition, repression, which is the sub-variant of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and the repression of cognitive flexibility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However, working memory wa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Meanwhil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s was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bu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lower than the medium level. Finally, by inspecting the results of the sub-variants of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in other words,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average of sub-variants of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m was the highest, and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llowed. Secondly, by inspecting the results to se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infant according to age, 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age of infants. The 5-year-old infant especially showed a higher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 4-year-old infant. Thirdly, by the analysis results of correlation to investigate whether the sub-factor of independent variables has a relevance to all social abilities and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only the intentional control of sub-factors of temperament showed a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nd all sub-factors of intentional control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lso, th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howed a correla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sub-factor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 of social competenc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adapt to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urthly, the influence on all social competence and sub-domain of social competence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are affected by biological and genetic executive functions and temperament, and all the variable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is the external variable.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executive function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predic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pecifically, the affecting variables on all social competence were in the order of repression, working memory and intentional control. The sub-variant, which provided a static effect on the control ability of the personal emotions of infants, was in the order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of repression, working memor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Furthermore, it showed that the intentional control of repress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temperament all had an influence on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nwhile, only the repression of the sub-domain of the executive function had an influence on the ability of infants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xecutive function, temperament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specially that the repression of executive functions,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cross social competence.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seeking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to promote social competence and the operation of individual programs through i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nhancement of infant social competence, by inspecting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social skills of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04 infants of 4 to 5-year-old, who a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d their 204 mothers. The interviews targeting infants were conducted after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mothers. The interview for infants is composed of questions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e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the questionnaire for mothers is composed of questions to inspect the temperament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questions of each measurement tool,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mother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emotion of sub-domain of the temperament and extroversion scores are at a medium level, and intentional control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In addition, repression, which is the sub-variant of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and the repression of cognitive flexibility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However, working memory wa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Meanwhil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s was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bu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lower than the medium level. Finally, by inspecting the results of the sub-variants of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in other words,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average of sub-variants of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was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m was the highest, and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llowed. Secondly, by inspecting the results to se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infant according to age, 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age of infants. The 5-year-old infant especially showed a higher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 4-year-old infant. Thirdly, by the analysis results of correlation to investigate whether the sub-factor of independent variables has a relevance to all social abilities and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only the intentional control of sub-factors of temperament showed a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nd all sub-factors of intentional control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lso, th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howed a correla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sub-factor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 of social competenc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adapt to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urthly, the influence on all social competence and sub-domain of social competence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f infants,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are affected by biological and genetic executive functions and temperament, and all the variable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is the external variable.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executive function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predic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Specifically, the affecting variables on all social competence were in the order of repression, working memory and intentional control. The sub-variant, which provided a static effect on the control ability of the personal emotions of infants, was in the order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of repression, working memor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Furthermore, it showed that the intentional control of repress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temperament all had an influence on the forming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nwhile, only the repression of the sub-domain of the executive function had an influence on the ability of infants to adapt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xecutive function, temperament a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specially that the repression of executive functions,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cross social competence.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seeking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to promote social competence and the operation of individual programs through i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