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폴리텍대학의 교수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나아가 교원의 직무수행 경험으로부터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우선, 폴리텍대학의 교수역량 모델 개발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교수역량을 비교 분석하고, 폴리텍대학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교수역량 잠정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델파이 조사를 위한 잠정안을 확정하였다. 델파이 전문가로 내부 교원 21명과 외부전문가 7명 등 총 28명을 구성하였고, 반구조화된 조사지를 활용하여 ...
본 연구는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폴리텍대학의 교수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나아가 교원의 직무수행 경험으로부터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우선, 폴리텍대학의 교수역량 모델 개발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교수역량을 비교 분석하고, 폴리텍대학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교수역량 잠정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델파이 조사를 위한 잠정안을 확정하였다. 델파이 전문가로 내부 교원 21명과 외부전문가 7명 등 총 28명을 구성하였고, 반구조화된 조사지를 활용하여 델파이 방법으로 3회에 걸쳐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다음으로, 폴리텍대학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을 통해 개방 코딩, 범주 형성, 주제 발견의 3단계 절차에 의거 분석되었다. 연구 수행으로부터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폴리텍대학의 교수역량으로 기본역량, 교육과정 개발, 수업계획 및 준비, 수업실행, 학습자평가, 학사·취업·장비관리, 팀워크 및 교류협력 등 총 7개의 역량과 28개의 역량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폴리텍대학은 현장중심 교육훈련, 다양한 교육훈련 대상, 실습중심의 교육과정, 교직원의 성과평가 실시 등의 특징으로 인해 이들 역량 요소가 교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폴리텍대학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으로는 산업현장에서 시작하고 지속적 관계 맺기, 학생들과 공감하고 적극 지원하기, 사명감을 갖고 자기개발 하기 등 세 가지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교수수행 특성에 대한 질적 자료 분석 과정에서 교수수행의 장애 요인도 발견되었다. 즉, 장애요인인 과도한 업무 부담과 경직된 조직 문화는 수업준비 및 실행, 학생 생활지도 및 취업지도 등의 핵심적인 직무 수행과 대외적인 활동을 통한 현장중심의 교육훈련 및 전문성 강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의 분석된 자료를 재구성하여 비교우위의 교수역량을 확인하였다. 폴리텍대학의 비교우위 교수역량으로는 사명감, 의사소통, 자기개발, 교수설계, 교수-학습자료 개발, 교과 전문성, 실기지도, 수업관리, 생활지도, 취업지도, 대외교류, 산학협력 등 12개의 역량 요소로 나타났다. 폴리텍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경험과정에서 강점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들 교수역량은 직업교육훈련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켜야할 비교우위의 교수역량으로 볼 수 있다. 교수역량이 직업교육훈련의 질적 성과를 제고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임을 인식하고, 교수역량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나아가 교수수행 특성으로부터 발견된 비교우위의 교수역량이 폴리텍대학의 강점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교원의 지속적인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교수역량 모델은 교원의 지속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역량개발 로드맵(road-map)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우위의 교수역량은 교원의 신규 임용과정에서 역량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폴리텍대학의 교수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나아가 교원의 직무수행 경험으로부터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우선, 폴리텍대학의 교수역량 모델 개발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교수역량을 비교 분석하고, 폴리텍대학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교수역량 잠정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델파이 조사를 위한 잠정안을 확정하였다. 델파이 전문가로 내부 교원 21명과 외부전문가 7명 등 총 28명을 구성하였고, 반구조화된 조사지를 활용하여 델파이 방법으로 3회에 걸쳐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다음으로, 폴리텍대학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을 통해 개방 코딩, 범주 형성, 주제 발견의 3단계 절차에 의거 분석되었다. 연구 수행으로부터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폴리텍대학의 교수역량으로 기본역량, 교육과정 개발, 수업계획 및 준비, 수업실행, 학습자평가, 학사·취업·장비관리, 팀워크 및 교류협력 등 총 7개의 역량과 28개의 역량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폴리텍대학은 현장중심 교육훈련, 다양한 교육훈련 대상, 실습중심의 교육과정, 교직원의 성과평가 실시 등의 특징으로 인해 이들 역량 요소가 교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폴리텍대학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으로는 산업현장에서 시작하고 지속적 관계 맺기, 학생들과 공감하고 적극 지원하기, 사명감을 갖고 자기개발 하기 등 세 가지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교수수행 특성에 대한 질적 자료 분석 과정에서 교수수행의 장애 요인도 발견되었다. 즉, 장애요인인 과도한 업무 부담과 경직된 조직 문화는 수업준비 및 실행, 학생 생활지도 및 취업지도 등의 핵심적인 직무 수행과 대외적인 활동을 통한 현장중심의 교육훈련 및 전문성 강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의 교수수행 특성의 분석된 자료를 재구성하여 비교우위의 교수역량을 확인하였다. 폴리텍대학의 비교우위 교수역량으로는 사명감, 의사소통, 자기개발, 교수설계, 교수-학습자료 개발, 교과 전문성, 실기지도, 수업관리, 생활지도, 취업지도, 대외교류, 산학협력 등 12개의 역량 요소로 나타났다. 폴리텍대학 교원의 직무수행 경험과정에서 강점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들 교수역량은 직업교육훈련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켜야할 비교우위의 교수역량으로 볼 수 있다. 교수역량이 직업교육훈련의 질적 성과를 제고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임을 인식하고, 교수역량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나아가 교수수행 특성으로부터 발견된 비교우위의 교수역량이 폴리텍대학의 강점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교원의 지속적인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교수역량 모델은 교원의 지속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역량개발 로드맵(road-map)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우위의 교수역량은 교원의 신규 임용과정에서 역량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