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다. 삶 속에서 미술을 이해하고 즐기기 위해서는 미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인간이 발달 단계를 거쳐 성장하듯이, 미술 또한 단계별로 다양한 학습경험을 통해 형성된다(Gardner, 1990). 현재 초등학교 미술교육은 2015개정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체험, 표현, 감상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각 학년별 배워야할 미술의 목적과 내용, 방법 등 다르게 이루어진다. 특히, 초등학생 시기의 미술 경험은 성인의 미술에 대한 전반적 인식 형성 및 진로에 영향을 준다는 Gardner(1990)의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학교교육이 정해진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사, 교수법 등 몇 가지의 변인들의 상호작용이라면(최하나, 2016: 39), ‘교육만족도’는 학생들이 학교교육에 참여하면서 느끼는 관심 및 긍정적인 감정태도를 의미한다.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주로 학습의 환경, 시설 및 장비, 교재와 재료, 교사의 지식, 설명, 시범, 수업 분위기, 교사 및 주변사람들과의 관계 형성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학생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습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물리적 교육환경, 심리적 교육환경, 교사의 전문성, 교구재의 전문성, ...
미술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다. 삶 속에서 미술을 이해하고 즐기기 위해서는 미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인간이 발달 단계를 거쳐 성장하듯이, 미술 또한 단계별로 다양한 학습경험을 통해 형성된다(Gardner, 1990). 현재 초등학교 미술교육은 2015개정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체험, 표현, 감상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각 학년별 배워야할 미술의 목적과 내용, 방법 등 다르게 이루어진다. 특히, 초등학생 시기의 미술 경험은 성인의 미술에 대한 전반적 인식 형성 및 진로에 영향을 준다는 Gardner(1990)의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학교교육이 정해진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사, 교수법 등 몇 가지의 변인들의 상호작용이라면(최하나, 2016: 39), ‘교육만족도’는 학생들이 학교교육에 참여하면서 느끼는 관심 및 긍정적인 감정태도를 의미한다.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주로 학습의 환경, 시설 및 장비, 교재와 재료, 교사의 지식, 설명, 시범, 수업 분위기, 교사 및 주변사람들과의 관계 형성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학생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습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물리적 교육환경, 심리적 교육환경, 교사의 전문성, 교구재의 전문성, 콘텐츠의 다양화, 자기주도적 태도, 학교와 미술관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들이 초등미술교육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학교와 미술관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학교에서 배우는 미술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초등미술교육 만족도 향상을 위한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뿐만 아니라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와 미술관의 연계적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초등미술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환경적 요인에서 교사의 관심과 수업의 분위기를 의미하는 심리적 교육환경이 초등미술교육 만족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적 요인에서 교사의 지식과 적절한 시범과 설명을 의미하는 교사의 전문성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타 교과와의 융합 수업을 의미하는 콘텐츠의 다양화가 초등미술교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적 요인과 연계적 요인에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교사의 도움 없이 스스로 재료를 선택하고 미술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자기주도적 참여태도와 미술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의미하는 학교와 미술관의 연계교육이 초등미술교육 만족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교육의 중심이 되는 미술교육연구를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미술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다. 삶 속에서 미술을 이해하고 즐기기 위해서는 미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인간이 발달 단계를 거쳐 성장하듯이, 미술 또한 단계별로 다양한 학습경험을 통해 형성된다(Gardner, 1990). 현재 초등학교 미술교육은 2015개정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체험, 표현, 감상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각 학년별 배워야할 미술의 목적과 내용, 방법 등 다르게 이루어진다. 특히, 초등학생 시기의 미술 경험은 성인의 미술에 대한 전반적 인식 형성 및 진로에 영향을 준다는 Gardner(1990)의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학교교육이 정해진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사, 교수법 등 몇 가지의 변인들의 상호작용이라면(최하나, 2016: 39), ‘교육만족도’는 학생들이 학교교육에 참여하면서 느끼는 관심 및 긍정적인 감정태도를 의미한다.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주로 학습의 환경, 시설 및 장비, 교재와 재료, 교사의 지식, 설명, 시범, 수업 분위기, 교사 및 주변사람들과의 관계 형성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학생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습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물리적 교육환경, 심리적 교육환경, 교사의 전문성, 교구재의 전문성, 콘텐츠의 다양화, 자기주도적 태도, 학교와 미술관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들이 초등미술교육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학교와 미술관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학교에서 배우는 미술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초등미술교육 만족도 향상을 위한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뿐만 아니라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와 미술관의 연계적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초등미술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환경적 요인에서 교사의 관심과 수업의 분위기를 의미하는 심리적 교육환경이 초등미술교육 만족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적 요인에서 교사의 지식과 적절한 시범과 설명을 의미하는 교사의 전문성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타 교과와의 융합 수업을 의미하는 콘텐츠의 다양화가 초등미술교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적 요인과 연계적 요인에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교사의 도움 없이 스스로 재료를 선택하고 미술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자기주도적 참여태도와 미술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의미하는 학교와 미술관의 연계교육이 초등미술교육 만족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교육의 중심이 되는 미술교육연구를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rt brings joy to people in life. People need to equip themselves with basic knowledge and experiences art in order to understand and enjoy it in life. Just like human beings grow through a series of developmental stages, art is created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in stages (Gardner, 1990)....
Art brings joy to people in life. People need to equip themselves with basic knowledge and experiences art in order to understand and enjoy it in life. Just like human beings grow through a series of developmental stages, art is created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in stages (Gardner, 1990). Currently, elementary art education is divided into three domain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Students learn different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of art in each grade from elementary through middle to high school. There is a special need to notice Gardner's (1990) argument that art experiences during elementary school have an impact on an adult’s overall perception and career regarding art. If school education involves interactions among several variables including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to fulfill set goals of education (Choi Ha-na, 2016: 39), educational satisfac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students' interest and positive emotional attitude as they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There are many different factors to determine the satisfaction of art education in school, but the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education is main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learning environment, facilities and equipment, teaching aids and materials, the teacher’s knowledge,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the atmosphere of a lesson,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and people around them.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were actual learners, regard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ducational environment,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instruments and materials,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 self-directed attitude, and the connected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galleries and analyzed their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investigator first examined the art education provided in school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evious studies about schools and galleries and identified systematically the influential factors for higher satisfact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 An investigation into art education at galleries as well as education in school was followed by an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 connecting schools and galleries and their influence o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sychological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was an environmental factor to represent the teachers’ interest and the atmosphere of a less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Of the educational factors,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which represents the teachers’ knowledge and proper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 which represents the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and convergent lessons with other subject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elementary art education. Of the participatory and connecting factors, the self-directed participation attitude, which represents setting a goal for oneself and not soliciting help from teachers in choosing materials and doing artistic activities, and the connected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galleries, which represents a positive perception of galler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Finally,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ort of art education research in which students are the center of education.
Art brings joy to people in life. People need to equip themselves with basic knowledge and experiences art in order to understand and enjoy it in life. Just like human beings grow through a series of developmental stages, art is created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in stages (Gardner, 1990). Currently, elementary art education is divided into three domain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Students learn different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of art in each grade from elementary through middle to high school. There is a special need to notice Gardner's (1990) argument that art experiences during elementary school have an impact on an adult’s overall perception and career regarding art. If school education involves interactions among several variables including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to fulfill set goals of education (Choi Ha-na, 2016: 39), educational satisfac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students' interest and positive emotional attitude as they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There are many different factors to determine the satisfaction of art education in school, but the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education is main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learning environment, facilities and equipment, teaching aids and materials, the teacher’s knowledge,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the atmosphere of a lesson,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and people around them.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were actual learners, regard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ducational environment,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instruments and materials,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 self-directed attitude, and the connected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galleries and analyzed their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investigator first examined the art education provided in school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evious studies about schools and galleries and identified systematically the influential factors for higher satisfact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 An investigation into art education at galleries as well as education in school was followed by an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 connecting schools and galleries and their influence o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sychological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was an environmental factor to represent the teachers’ interest and the atmosphere of a less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Of the educational factors,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which represents the teachers’ knowledge and proper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 which represents the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and convergent lessons with other subject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elementary art education. Of the participatory and connecting factors, the self-directed participation attitude, which represents setting a goal for oneself and not soliciting help from teachers in choosing materials and doing artistic activities, and the connected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galleries, which represents a positive perception of galler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Finally,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ort of art education research in which students are the center of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