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원문보기
본 연구는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포항시에 소재하고 있는 P초등학교 초등돌봄교실 이용 아동 14명을 선정하여 각 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60분씩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2회기의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포항시에 소재하고 있는 P초등학교 초등돌봄교실 이용 아동 14명을 선정하여 각 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60분씩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2회기의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양적 분석은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 ranks test)으로 확인하였고 질적 분석은 실험집단의 K-HTP(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KSD(동적 학교 생활화) 사전․사후 변화 정도를 통해 시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분석 결과 실험집단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전체 사후점수는 사전점수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전체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도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과제난이도 선호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전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친구적응, 교사적응, 수업적응, 환경적응은 모두 유의미하였다. 둘째, 질적분석 결과 실험집단 초등돌봄교실 아동 7명의 K-HTP, KSD 사전 · 사후 변화 정도를 보면 사후 검사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K-HTP 검사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에 자아효능감이 향상되었고, KSD 검사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에 학교생활적응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관점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과 학부모의 필요성 인식과 수요조사를 프로그램 수립 전에 실시하여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만족도 조사도 실시하여 추후 프로그램 선정에 반영하여야 한다. 셋째, 가정과 학교를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히 강점관점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가정과 학교에서도 쉽게 접근하도록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정책적 제언으로 강점관점에 기반한 다양한 초등돌봄교실 아동 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운영과 예산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규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돌봄전담사의 처우개선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내실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유의미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므로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의 보급을 통해 초등돌봄교실 현장에서 유용성을 확인하고 추후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포항시에 소재하고 있는 P초등학교 초등돌봄교실 이용 아동 14명을 선정하여 각 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60분씩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2회기의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양적 분석은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 ranks test)으로 확인하였고 질적 분석은 실험집단의 K-HTP(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KSD(동적 학교 생활화) 사전․사후 변화 정도를 통해 시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분석 결과 실험집단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전체 사후점수는 사전점수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전체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도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과제난이도 선호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전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친구적응, 교사적응, 수업적응, 환경적응은 모두 유의미하였다. 둘째, 질적분석 결과 실험집단 초등돌봄교실 아동 7명의 K-HTP, KSD 사전 · 사후 변화 정도를 보면 사후 검사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K-HTP 검사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에 자아효능감이 향상되었고, KSD 검사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에 학교생활적응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관점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과 학부모의 필요성 인식과 수요조사를 프로그램 수립 전에 실시하여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만족도 조사도 실시하여 추후 프로그램 선정에 반영하여야 한다. 셋째, 가정과 학교를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히 강점관점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가정과 학교에서도 쉽게 접근하도록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정책적 제언으로 강점관점에 기반한 다양한 초등돌봄교실 아동 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운영과 예산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규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돌봄전담사의 처우개선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내실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유의미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므로 강점관점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의 보급을 통해 초등돌봄교실 현장에서 유용성을 확인하고 추후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purpose, 14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of P elementary school in Pohang city were selected and each 7 children divided into ex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purpose, 14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of P elementary school in Pohang city were selected and each 7 children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overall 12times with pretest and post-test twice a week 60minutes each time while the controlled group didn’t implement th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Quantitative analysis used Wilcoxon’s signed ranks 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used experimental group’s extent of score change in K-HTP (Kinetic House-Tree-Person) and KSD (Kinetic School Draw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quantitative analysis, the total post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as increased from pretest to posttest. The entire self-efficacy made significant results. The sub 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 however, another sub factor, task difficulty preference didn’t. The whole school adjustment and its sub factor friend adjustment, teacher adjustment, class adjustment, and environment adjustment got prominent results. Secon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in terms of scale through pre-posttest, 7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made positive changes in their post-test of K-HTP and KSD compared to their pretest. K-HTP test revealed that their self-efficacy was increased from pretest to posttest, and KSD test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nhanced. With these results of study, proposal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needs to introduce variable program based on strengths perspective. Second, there needs to survey demand of children and school parents before organizing programs and survey satisfaction after conducting programs to reflect its results on the next program selection. Third, there needs to develop a program combined home and schools, and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on programs, especially based on strengths perspective. Fourth, there needs to define precise guidelines on program operation and budget to develop variable programs for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based on strengths perspective. Fifth, there needs to improve treatment to care givers and enhance their expertise for program operation. As was shown abov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had beneficial effects on increase in children’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refore, by distributing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firm its value in the elementary child care class, at the site, and continue further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purpose, 14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of P elementary school in Pohang city were selected and each 7 children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overall 12times with pretest and post-test twice a week 60minutes each time while the controlled group didn’t implement th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Quantitative analysis used Wilcoxon’s signed ranks 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used experimental group’s extent of score change in K-HTP (Kinetic House-Tree-Person) and KSD (Kinetic School Draw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quantitative analysis, the total post score of experimental group’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as increased from pretest to posttest. The entire self-efficacy made significant results. The sub 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 however, another sub factor, task difficulty preference didn’t. The whole school adjustment and its sub factor friend adjustment, teacher adjustment, class adjustment, and environment adjustment got prominent results. Secon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in terms of scale through pre-posttest, 7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made positive changes in their post-test of K-HTP and KSD compared to their pretest. K-HTP test revealed that their self-efficacy was increased from pretest to posttest, and KSD test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nhanced. With these results of study, proposal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needs to introduce variable program based on strengths perspective. Second, there needs to survey demand of children and school parents before organizing programs and survey satisfaction after conducting programs to reflect its results on the next program selection. Third, there needs to develop a program combined home and schools, and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on programs, especially based on strengths perspective. Fourth, there needs to define precise guidelines on program operation and budget to develop variable programs for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based on strengths perspective. Fifth, there needs to improve treatment to care givers and enhance their expertise for program operation. As was shown above,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had beneficial effects on increase in children’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refore, by distributing strengths perspective group work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firm its value in the elementary child care class, at the site, and continue further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