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SP(Isolated soybean protein)와 WP(Whey protein) 배합비를 달리한 고단백 쿠키의 품질특성과 소비자 기호 원문보기


박혜린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단백 식이는 다이어트를 위한 처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고단백 다이어트를 위한 고단백 식품에 대한 관심도 매우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단백질을 강화한 다양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으며, 특히 단백질 강화제로는 분리대두단백(ISP, Isolated Soy Protein)과 유청 단백질이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두 단백질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포만감의 시간이 늘어나며 아미노산 조합이 풍부해지는 등 다양한 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쿠키는 과자 중에서도 건과자에 속하며 수분 함량이 5% 이하로 낮아 미생물에 의한 변패가 적어 저장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이러한 건강지향적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은 기능성이 첨가되고 영양성분이 강화된 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로 이어져 기존의 쿠키 제품들에서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고 영양소가 강화된 새로운 쿠키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단백질을 강화시킨 고단백 쿠키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백질 함량을 크게 높이되 단백질 배합비를 분리대두단백과 유청단백으로 달리한 고단백 쿠키를 개발하고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비율은 분리대두 단백질: 유청단백질을 100%:0%, 75%:25%, 50%:50%, 25%:75%, 0%:100%로 달리하여 ISP/WP100, ISP/WP75, ISP/WP50, ISP/WP25, ISP/WP0, 총 5종의 쿠키 시료를 제조하였고, 이화학적 분석 및 소비자 평가와 단백질 쿠키의 요구도 및 섭취 실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은 반죽의 밀도 및 pH 측정, 완성된 쿠키의 일반성분 분석, 퍼짐성 측정 지수 측정, 색도와 경도를 측정하였다.
제조된 쿠키의 품질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쿠키 반죽의 밀도는 분리대두단백 분말의 함량이 높고 유청단백 분말의 함량이 낮을수록 밀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p <0.001). 밀도가 가장 높은 ISP/WP100은 가장 잘 부스러져 반죽 시 어려움을 겪었으며 구워진 후에도 타 시료에 비해 부스러짐이 심한 것에 반해, ISP/WP0은 반죽이 용이하였으나 구워진 후에는 딱딱한 식감을 보였다. 반죽의 pH는 유청단백 분말의 사용 비율이 증가하고 분리대두단백 분말의 사용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은 pH을 가지는 경향을 보였다(p <0.001). 이는 부재료에 따라 pH가 변하는데, 분리대두단백 분말의 pH가 유청단백 분말의 pH보다 높게 측정된 결과에 의한 것이라고 분석되었다.
쿠키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첨가하는 단백질 비율에 따라 단백질 분말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가 나타났다. 조단백질은ISP/WP100이 27.68%로 가장 높았고, ISP/WP0이 25.72%로 가장 낮아 분리대두단백 분말의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조단백질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조회분은ISP/WP100이 1.89%로 가장 높았고 ISP/WP0이 1.36%로 가장 낮아 분리대두단백 분말의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조회분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함량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p>0.05) ISP/WP100이 9.13%로 가장 높았고 ISP/WP0이 8.47%로 가장 낮았으며 단백질 가루에서 ISP함량이 높아질수록 수분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지방은ISP/WP100이 21.33%, ISP/WP0이 23.20%로 유청단백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조지방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룹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 >0.05). 이러한 결과는 쿠키 제조 시 사용된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tein is a macro nutrient and it is known that regular intake of small amounts of protein increases the holding amount of interior body. These properties have resulted in a variety of protein-enriched products. In particular, isolated soy protein (ISP) and whey protein are commercially available a...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박혜린
학위수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식품영양학과
지도교수 조미숙
발행연도 2018
총페이지 xii, 94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717824&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