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청단백 함유 체중조절용 식사대체제를 이용한 4주 다이어트 프로그램이 과체중 및 비만 여성의 체중, 체지방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y Protein-rich Meal Substitute in 4-Week Diet Trial on Body Weight, Body Fat, and Body Composition of Overweight or Obese Femal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6 no.1, 2016년, pp.25 - 33  

석매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  장이림 (중앙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  최영빈 (중앙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  정기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  김건우 (리셋헬스케어) ,  박용우 (리셋포유) ,  이복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ey protein-rich meal substitute added with vitamins, minerals, and lactobacillus powder probiotics on weight loss, body fat, and body composition in 24 female volunteers for 4 weeks. Whey protein-rich meal substitute was consumed with low-f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C대학교의 여대생 및 교직원 24명을 대상으로 유청단백 함유 체중조절용 식사대체제를 4주간 섭취하였을 때 연구대상자의 체중, 체지방 및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또한, 유청단백질을 활용한 다이어트 시에는 포만감이 증가하고, 단백질 섭취증가로 인한 식이에 의한 열발생이 증가함으로 인해 긍정적인 체조성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ensaid A et al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청단백 함유 고단백질 식사대체제를 일상적인 식사패턴을 유지하고 있는 일반인(free-living subjects) 24명을 대상으로 4주간 급여한 후 체중, 체지방 및 체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청단백질이란? 유청단백질(whey protein)은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유단백질의 일종으로서 우유단백질의 약 20%를 차지하며, 우유에서 치즈를 만든 후에 남는 부산물이다. 가공방법에 따라 유청분리단백, 농축유청단백, 가수분해유청단백 등이 있으며, 이중 유청분리단백(whey protein isolates)은 단백질 순도가 가장 높고, 체내 흡수가 빠르며, 근육에 많이 분포한 측쇄아미노산 (branched chain amino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Kimball SR & Jefferson LS 2001).
유청단백질은 가공방법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유청단백질(whey protein)은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유단백질의 일종으로서 우유단백질의 약 20%를 차지하며, 우유에서 치즈를 만든 후에 남는 부산물이다. 가공방법에 따라 유청분리단백, 농축유청단백, 가수분해유청단백 등이 있으며, 이중 유청분리단백(whey protein isolates)은 단백질 순도가 가장 높고, 체내 흡수가 빠르며, 근육에 많이 분포한 측쇄아미노산 (branched chain amino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Kimball SR & Jefferson LS 2001). 최근의 연구보고에 따르면, 유청단백질이 체중감량에 효과적이며, 체지방율은 감소시키면서 제지방조직은 유지 혹은 증가시킨다는 것이다(Miller PE et al 2014).
비만은 어떤 질병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러나 비만은 신체 이미지에 대한 사회적 편견 및 차별에 의한 심리적, 정신적 고통을 야기함은 물론 정상 체중인에 비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이 동반될 위험이 2배 이상 높기 때문에 20∼30대의 높은 비만증가율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Lee BH & Cho KD 2005). 이밖에도 비만은 지방 간에 의한 간염 및 간질환, 심혈관질환, 대사증후군, 암을 비롯하여 수면무호흡증, 관절질환, 담낭질환 및 위식도역류증 등의 발병에도 영향을 미친다(Billington CJ et al 2000). 따라서 비만은 성인병 예방 및 건강유지를 위해서 반드시 관리되어야 하는 중요한 질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nsaid A, Tome D, Gietzen D, Even P, Morens C, Gausseres N, Fromentin G (2002) Protein is more potent than carbohydrate for reducing appetite in rats. Physiol Behav 75: 577-582. 

  2. Billingtone CJ, Epstein LH, Goodwin NJ, Hill JO, Pi-Sunyer FX, Rolls BJ, Wing RR (2000) Overweight, obesity and health risk. Arch Intern Med 160: 898-904. 

  3. Cheong SH, Kwon W, Chang K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7: 293-303. 

  4. Choi JG, Shin MK, Seo ES (2004) A study on self-evaluated obesity and food habits by residence type of college students in Ik-San area.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3: 97-100. 

  5. Hall WL, Millward DJ, Long SJ, Morgan LM (2003) Casein and whey exert different effects on plasma amino acid profiles, gastrointestinal hormone secretion and appetite. Br J Nutr 89: 239-248. 

  6. Kim CS, Kang SY, Nam JS, Cho MH, Park J, Park JS, Lim SK (2004)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BMI, percentage of body fat and mood state for women with obesity. J Korean Soc Study of Obes 13: 132-140. 

  7. Kim KN, Park SH, Hong SY, Yun HJ, Kim YK, Song YK, Lim HH, Lee YJ (2003) Effects of Saengsig with 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on body composition changes in obese patients. J Korean Oriental Med 24: 9-28. 

  8. Kim WY, Cho MS, Jang YA, Won HS, Lee HS, Yang EJ (2010) Clinical Nutrition. Shinkwang Publishing, Seoul. p 172. 

  9. Kimball SR, Jefferson LS (2001) Regulation of protein synthesis by branched-chain amino acids.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4: 39-43. 

  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s(2010-58). 

  1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6, 2007, 2008) The Production of Output of Food and Food Additives. 

  12. Lee BH, Cho KD (2005) Effects of herb and fiber-rich dietary supplement on body weight, body fat, blood lipid fractions and bowel habits in collegi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44-651. 

  13. Lee JH, Ku BJ (2014) The management of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J Korean Diabetes 15: 24-29. 

  14. Marshall K (2004) Therapeutic applications of whey protein. Altern Med Rev 9: 136-156. 

  15. Miller PE, Alexander DD, Perez V (2014) Effects of whey protein and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Am Coll Nutr 33: 163-175.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17. Moon SW, Park SC, Jin SY, Lee SK, Song YS (2002) The clinical study about body composition changes of the patients treated by fasting therapy for weight reduction. J Orien Rehabil Med 12: 61-73. 

  18. Park JW, Park HM, Ha NS (2004) A study on the obesity and weight control method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3: 5-13. 

  19. Park SM, Han D, Kim DW, Ly SY (2004) The effects of low calorie meal and weight control preparation on the reduction of body weight and visceral fat in obese fema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92-1500. 

  20. Wardle J, Haase AM, Steptoe A (2006)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 J Obes 30: 644-651.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Obesity and overweight. http://www.who.int/medicentre/factsheets/fs311/en/. Accessed on Dec. 17. 2015. 

  22. Yang HJ, Lee SW (2003) Emulsifying properties of whey protein hydrolysates. Korean J Food Sci 23: 63-69. 

  23. Yang JS (2005) Effects of rapid weight loss on resting heart rate, prediction of body composition, grip strength and power.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7: 151-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