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 및 지리 교수효능감의 전반적인 경향과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지리교과교육학지식과 지리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떠한가? 1-1. 유아 교사의 전반적인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떠한가? 1-2.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교사의 개인적 배경(교육정도, 교직경력, 자격증, 지리 관련 과목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1. 유아 교사의 전반적인 지리 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2.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개인적 배경(교육정도, 교직경력, 자격증, 지리 관련 과목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과 지리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26개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나연(2016)이 McCray와 Chen(2012)의 유치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인터뷰(Preschools Mathematics ...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 및 지리 교수효능감의 전반적인 경향과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지리교과교육학지식과 지리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떠한가? 1-1. 유아 교사의 전반적인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떠한가? 1-2.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교사의 개인적 배경(교육정도, 교직경력, 자격증, 지리 관련 과목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1. 유아 교사의 전반적인 지리 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2.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개인적 배경(교육정도, 교직경력, 자격증, 지리 관련 과목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과 지리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26개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나연(2016)이 McCray와 Chen(2012)의 유치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인터뷰(Preschools Mathematics PCK interview: PM-PCK Interview)를 번안한 질문지를 지리 교과에 적용하고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조형숙(1997)이 Riggs와 Enochs(1990)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용 과학교수에 대한 교수효능감의 신념척도(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우리나라 유아교육 상황에 맞게 번안한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 최대값과 최소값을 산출하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 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교사마다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른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교육정도, 자격증, 지리 과목 수강 여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전문대 졸업 이하 교사보다 대학원 재학 이상 교사가 높고,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을 가진 교사가 보육교사 자격증만 가지고 있는 교사보다 높으며 지리 과목을 수강한 교사는 수강하지 않은 교사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사의 개인 변인 중 하나인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지리 영역과 사례의 내용에 따라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을 적용하고 활용하는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유형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보다 결과에 대한 기대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른 지리 교수효능감은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지리 과목 수강 여부에 따라 지리 교수효능감의 하위유형인 결과에 대한 기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지리 과목을 수강한 교사는 자신의 지리 교수에 따라 학습자의 결과가 긍정적일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셋째,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과 지리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리 교수효능감의 하위유형 중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전체적인 지리 교수효능감 간에서도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다른 하위유형인 결과에 대한 기대와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이 높을수록 지리를 가르치는 자신의 교수능력에 대한 믿음이 커지며 이것이 전체적인 지리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지리 교수효능감이 긍정적일수록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 및 지리 교수효능감의 전반적인 경향과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지리교과교육학지식과 지리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떠한가? 1-1. 유아 교사의 전반적인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떠한가? 1-2.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교사의 개인적 배경(교육정도, 교직경력, 자격증, 지리 관련 과목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1. 유아 교사의 전반적인 지리 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2.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개인적 배경(교육정도, 교직경력, 자격증, 지리 관련 과목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과 지리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26개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나연(2016)이 McCray와 Chen(2012)의 유치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인터뷰(Preschools Mathematics PCK interview: PM-PCK Interview)를 번안한 질문지를 지리 교과에 적용하고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조형숙(1997)이 Riggs와 Enochs(1990)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용 과학교수에 대한 교수효능감의 신념척도(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우리나라 유아교육 상황에 맞게 번안한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 최대값과 최소값을 산출하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 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교사마다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른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교육정도, 자격증, 지리 과목 수강 여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전문대 졸업 이하 교사보다 대학원 재학 이상 교사가 높고,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을 가진 교사가 보육교사 자격증만 가지고 있는 교사보다 높으며 지리 과목을 수강한 교사는 수강하지 않은 교사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사의 개인 변인 중 하나인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지리 영역과 사례의 내용에 따라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을 적용하고 활용하는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유형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보다 결과에 대한 기대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른 지리 교수효능감은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지리 과목 수강 여부에 따라 지리 교수효능감의 하위유형인 결과에 대한 기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아 교사의 지리 교수효능감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지리 과목을 수강한 교사는 자신의 지리 교수에 따라 학습자의 결과가 긍정적일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셋째,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과 지리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리 교수효능감의 하위유형 중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전체적인 지리 교수효능감 간에서도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다른 하위유형인 결과에 대한 기대와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유아 교사의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이 높을수록 지리를 가르치는 자신의 교수능력에 대한 믿음이 커지며 이것이 전체적인 지리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지리 교수효능감이 긍정적일수록 지리교과교육학지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overall aspec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geography teaching efficacy i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difference among teachers attributable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edagogical 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overall aspec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geography teaching efficacy i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difference among teachers attributable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nd geography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1-1. What is overall asp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ttributable to eac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certifications, the number of geography courses she/he has taken)? 2. What is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eography teaching efficacy? 2-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eography teaching efficacy?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geography teaching efficac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ttributable to eac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certifications, the number of geography courses she/he has taken?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nd the geography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tudying 21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26 differen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For investigating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tools were produced based on the modified ‘Preschools Mathematics PCK Interview: PM-PCK Interview’ that used in Kim(2016). To investigate geography teaching efficacy, a modified version of tools used by Cho(1997) in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as adapted and used. The total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were examin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and frequency and percentages, and then by performing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case of result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Scheffé posterior test was conducted after performing one-way ANOVA to figure out which groups generated the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ly show lo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nd show significant discrepancies among individual teachers with teachers’ individual differences, geography content strands, and type of teaching scenarios. Also, Key variables including educational background, certifications, and the number of geography courses she/he has taken had meaningful effects 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level. Therefore, knowledge levels increase along with advance in teachers’ degree, especially higher for the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 than with college level or less. Moreover, kindergarten teacher certification and enrollment in geography courses tend to increase knowledge level. Teaching experiences, howeve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overall teaching efficacy in geography was not high. Also, geography teaching outcome expectancy showed higher level than personal geography teaching efficacy. Among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geography courses she/he has taken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In other words,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tend to think more positively, and teachers who have taken geography courses are found to have positive geography teaching outcome expectancy. La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geography teaching efficacy,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sonal geography teaching efficacy and overall efficacy in teaching geography. Thus, teachers with higher level of pedagogical knowledge in geography show higher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geography, and vice vers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overall aspec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geography teaching efficacy i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difference among teachers attributable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nd geography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1-1. What is overall asp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ttributable to eac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certifications, the number of geography courses she/he has taken)? 2. What is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eography teaching efficacy? 2-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eography teaching efficacy?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geography teaching efficac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ttributable to eac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certifications, the number of geography courses she/he has taken?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nd the geography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tudying 21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26 differen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For investigating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tools were produced based on the modified ‘Preschools Mathematics PCK Interview: PM-PCK Interview’ that used in Kim(2016). To investigate geography teaching efficacy, a modified version of tools used by Cho(1997) in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as adapted and used. The total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were examin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and frequency and percentages, and then by performing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case of result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Scheffé posterior test was conducted after performing one-way ANOVA to figure out which groups generated the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ly show lo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and show significant discrepancies among individual teachers with teachers’ individual differences, geography content strands, and type of teaching scenarios. Also, Key variables including educational background, certifications, and the number of geography courses she/he has taken had meaningful effects 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level. Therefore, knowledge levels increase along with advance in teachers’ degree, especially higher for the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 than with college level or less. Moreover, kindergarten teacher certification and enrollment in geography courses tend to increase knowledge level. Teaching experiences, howeve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overall teaching efficacy in geography was not high. Also, geography teaching outcome expectancy showed higher level than personal geography teaching efficacy. Among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geography courses she/he has taken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In other words,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tend to think more positively, and teachers who have taken geography courses are found to have positive geography teaching outcome expectancy. La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geography teaching efficacy,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sonal geography teaching efficacy and overall efficacy in teaching geography. Thus, teachers with higher level of pedagogical knowledge in geography show higher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geography, and vice vers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