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 개념(‘방향과 위치’, ‘지도’,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즉,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지리 개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방향과 위치’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도’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5.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두 곳의 공립유치원 만 5세 유아 40명으로, 두 곳 중 한 곳인 B 유치원의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한 곳인 D 유치원의 유아 2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6주에 걸쳐 실험집단에게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기존에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던 유치원 교육활동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본 실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실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에 사용된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은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의 지리 관련 활동을 중심으로, 지리의 기본 개념(방향과 위치, 지도,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영역(언어, 표현, 탐구, 건강, 사회)이 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험에서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은 유치원 일과 중에 수시로 이루어졌으며, 대집단 혹은 소집단 활동으로 진행되거나 각 영역 활동으로 제시되어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개별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유아의 지리 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유아의 ‘방향과 위치’ 개념은 안남이(2002)의 방향개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지도’ 개념은 최낭수(2000)의 지도 개념 이해 실험에 사용된 도구를 유아의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지도 인식 측정도구로 하고, 안남이(2002)가 제작한 기호개념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지도 읽기 측정도구로 하여 측정하였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은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 개념(‘방향과 위치’, ‘지도’,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즉,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지리 개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방향과 위치’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도’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5.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두 곳의 공립유치원 만 5세 유아 40명으로, 두 곳 중 한 곳인 B 유치원의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한 곳인 D 유치원의 유아 2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6주에 걸쳐 실험집단에게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기존에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던 유치원 교육활동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본 실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실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에 사용된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은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의 지리 관련 활동을 중심으로, 지리의 기본 개념(방향과 위치, 지도,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영역(언어, 표현, 탐구, 건강, 사회)이 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험에서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은 유치원 일과 중에 수시로 이루어졌으며, 대집단 혹은 소집단 활동으로 진행되거나 각 영역 활동으로 제시되어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개별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유아의 지리 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유아의 ‘방향과 위치’ 개념은 안남이(2002)의 방향개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지도’ 개념은 최낭수(2000)의 지도 개념 이해 실험에 사용된 도구를 유아의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지도 인식 측정도구로 하고, 안남이(2002)가 제작한 기호개념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지도 읽기 측정도구로 하여 측정하였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은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본 연구자가 고안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각각의 점수는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방향과 위치’ 개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지도’ 개념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지도 인식 능력과 지도 읽기 능력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지도 인식 능력과 지도 읽기 능력에서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도 인식 능력 및 지도 읽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셋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개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넷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개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 개념(‘방향과 위치’, ‘지도’,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즉,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지리 개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방향과 위치’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도’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5.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두 곳의 공립유치원 만 5세 유아 40명으로, 두 곳 중 한 곳인 B 유치원의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한 곳인 D 유치원의 유아 2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6주에 걸쳐 실험집단에게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기존에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던 유치원 교육활동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본 실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실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에 사용된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은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의 지리 관련 활동을 중심으로, 지리의 기본 개념(방향과 위치, 지도,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영역(언어, 표현, 탐구, 건강, 사회)이 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험에서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은 유치원 일과 중에 수시로 이루어졌으며, 대집단 혹은 소집단 활동으로 진행되거나 각 영역 활동으로 제시되어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개별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유아의 지리 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유아의 ‘방향과 위치’ 개념은 안남이(2002)의 방향개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지도’ 개념은 최낭수(2000)의 지도 개념 이해 실험에 사용된 도구를 유아의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지도 인식 측정도구로 하고, 안남이(2002)가 제작한 기호개념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지도 읽기 측정도구로 하여 측정하였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은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본 연구자가 고안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각각의 점수는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방향과 위치’ 개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지도’ 개념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지도 인식 능력과 지도 읽기 능력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지도 인식 능력과 지도 읽기 능력에서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도 인식 능력 및 지도 읽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셋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개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넷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개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적 환경과 대처방식’ 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른 지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the effects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geographic concepts of children ('direction and position', 'map', 'the area in which we live',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the effects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geographic concepts of children ('direction and position', 'map', 'the area in which we live',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In other words, it intends to verify the effects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geographic concepts of experimental group whose members experienced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group whose members have never experienced experience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Research problems set and handled to accomplish such an object are as follows.
1.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direction and position' of children?
2.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map' of children?
3.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the area in which we live' of children?
4.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of children?
5.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of children?
Research objects were 5-year-old 40 children in public kindergarte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20 children in B kindergarten, while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20 children in D kindergarten.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6 weeks.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usual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were conducted for the control group.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 preliminary research, preliminary examination, main experiment and post-inspection. Before and after main experiment,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ost-inspection for children were conducted, respectively.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conducted in main experiment include various kinds of activities such as geography-related activities using the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basic geographic concepts (direction and position, map, the area in which we live,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and many life areas of kindergarten curriculum (language, expression, investigation, health and society).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were conducted in kindergarten whenever necessary. Large or small group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is experiment. Or individual activities were conducted at the time for indoor free activity.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ost-inspection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geographic concepts of children. The concept of 'direction and position' of children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tool developed by An Nam-I(2002) for measuring the concept of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hildren. As for the survey on the concept of 'map', map recognition ability was measured by using the modified tool of Choi Nang-su(2000) used in the experiment about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ap. The ability to read a map was measured by using the modified tool developed by An Nam-I(2002) for measuring the concept of sign of An Nam-I(2002). The concepts of 'the area in which we live',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measurement tool whos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 specialist in children educatio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used to analyze each grade collected: preliminary examination was taken as covariat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direction and 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 map recognit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read a map of children were measur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the concept of 'map'. I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p recognit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read a map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d a positive effective on the map recognit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read a map of children.
Third, as for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the area in which we liv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d a positive effective on 'the area in which we live'.
Fourth, as for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d a positive effective on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Fifth, as for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d a positive effective on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the effects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geographic concepts of children ('direction and position', 'map', 'the area in which we live',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In other words, it intends to verify the effects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geographic concepts of experimental group whose members experienced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group whose members have never experienced experience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Research problems set and handled to accomplish such an object are as follows.
1.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direction and position' of children?
2.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map' of children?
3.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the area in which we live' of children?
4.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of children?
5. What effect do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ve on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of children?
Research objects were 5-year-old 40 children in public kindergarte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20 children in B kindergarten, while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20 children in D kindergarten.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6 weeks.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usual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were conducted for the control group.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 preliminary research, preliminary examination, main experiment and post-inspection. Before and after main experiment,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ost-inspection for children were conducted, respectively.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conducted in main experiment include various kinds of activities such as geography-related activities using the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basic geographic concepts (direction and position, map, the area in which we live,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and many life areas of kindergarten curriculum (language, expression, investigation, health and society).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were conducted in kindergarten whenever necessary. Large or small group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is experiment. Or individual activities were conducted at the time for indoor free activity.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ost-inspection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geographic concepts of children. The concept of 'direction and position' of children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tool developed by An Nam-I(2002) for measuring the concept of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hildren. As for the survey on the concept of 'map', map recognition ability was measured by using the modified tool of Choi Nang-su(2000) used in the experiment about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ap. The ability to read a map was measured by using the modified tool developed by An Nam-I(2002) for measuring the concept of sign of An Nam-I(2002). The concepts of 'the area in which we live',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measurement tool whos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 specialist in children educatio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used to analyze each grade collected: preliminary examination was taken as covariat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direction and 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 map recognit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read a map of children were measur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the concept of 'map'. I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p recognit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read a map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d a positive effective on the map recognit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read a map of children.
Third, as for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the area in which we liv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d a positive effective on 'the area in which we live'.
Fourth, as for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d a positive effective on 'geographic environment and how to cope with geographic environment'.
Fifth, as for the effect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on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relating to real life had a positive effective on 'interaction with other area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