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리교육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해는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유아 지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치원 교사는 유아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는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유아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3. 유치원 교사는 어떠한 교수 · 학습방법으로 유아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소재한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치원 교사 279명을 선정하였다.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현황을 연구하기 위하여 교사용 질문지를 배포한 후 이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²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지리교육의 개념에 있어서 유아 지리교육을 유아가 살고 있는 장소, 방향과 위치, 공간과의 관계, 지역을 다루는 것으로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유아 지리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지리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갖기 위해라는 인식이 많았고, 목표는 유아를 둘러싼 주위환경, 지구상의 ...
본 연구에서는 지리교육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해는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유아 지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치원 교사는 유아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는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유아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3. 유치원 교사는 어떠한 교수 · 학습방법으로 유아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소재한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치원 교사 279명을 선정하였다.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현황을 연구하기 위하여 교사용 질문지를 배포한 후 이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²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지리교육의 개념에 있어서 유아 지리교육을 유아가 살고 있는 장소, 방향과 위치, 공간과의 관계, 지역을 다루는 것으로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유아 지리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지리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갖기 위해라는 인식이 많았고, 목표는 유아를 둘러싼 주위환경, 지구상의 물리적 환경, 인간의 환경에 관심갖기라는 인식이 많았다. 다룰 수 있는 내용에서는 지구보호, 공간과의 탐색, 방향과 위치, 국가, 지역, 지구, 태양계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적합한 연령은 만 3세로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다. 유아 지리교육의 개념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유아 지리교육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유아 연령에서 교사의 경력과 학력,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 지리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시 정도에 있어서, 유아 지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에 비하여 실시되고 있는 정도는 낮았다. 지리교육의 내용 중 상징과 읽기, 축적 등의 어려운 기술을 필요로 하는 지도와 지구의 하위 내용을 제외한 장소, 방향과 위치, 장소 내에서의 관계, 공간적인 상호작용, 지역에 대하여 적절하게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 지리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시 정도는 장소의 하위 영역인 지구보호, 방향과 위치의 하위 영역인 거리의 측정, 장소 내에서의 관계의 하위 영역인 환경과의 관계, 공간적인 상호작용의 하위 영역인 정보의 공유, 다른 지역과의 관계에서 공통적으로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 지리교육의 교수 · 학습방법에 대한 인식에 있어, 실시 시기에서는 주로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지리교육의 내용에 대해 잘 모르는 편이라고 응답한 것과는 모순되었다. 또한 지리교육을 실시하는 생활주제로는 지구와 환경, 우리나라와 다른나라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인적자원으로는 교직원간의 장학을 통하여 지리교육에 대한 도움을 서로 얻고 있었으며, 교수 매체로는 사진, 그림, 도서나 컴퓨터와 같은 시각적 매체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참고자료로 신문, 인터넷, 잡지, TV 등의 보도자료를 활용하는 교사가 많았다. 유아 지리교육의 교수 · 학습방법에 대한 인식은 실시시기와 참고자료에서 공통적으로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아 지리교육을 바라보는 시각을 조금 더 넓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지리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한 편견과 부담감으로부터 버려야 할 것이다. 더불어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의미를 재고찰 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봄으로써, 지리교육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물리적 지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유아를 둘러싼 환경과의 관계, 그리고 공간과의 상호작용까지도 포함되어 진다는 인식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물리적인 환경과 소통하는 유아로서 그 존재를 인식하고, 유아의 주변 환경에 대한 탐색을 존중할 때에 올바른 지리교육이 시작될 것이다. 지리교육을 다른 사회 과학적 지식으로 분리하여 살펴보기 보다는 유아의 일상경험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유아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에게 지리와 관련하여 그 목표와 내용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장의 많은 유치원 교사들은 이러한 사실들을 인식하지 못하며, 유아 지리교육의 내용 및 범위, 그리고 그 기준 설정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를 위한 지리교육의 구체적인 지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환을 위하여 교사 교육 및 재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교육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해는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유아 지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치원 교사는 유아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1-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지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는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유아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2-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3. 유치원 교사는 어떠한 교수 · 학습방법으로 유아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3-3.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어떠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소재한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치원 교사 279명을 선정하였다.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현황을 연구하기 위하여 교사용 질문지를 배포한 후 이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²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지리교육의 개념에 있어서 유아 지리교육을 유아가 살고 있는 장소, 방향과 위치, 공간과의 관계, 지역을 다루는 것으로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유아 지리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지리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갖기 위해라는 인식이 많았고, 목표는 유아를 둘러싼 주위환경, 지구상의 물리적 환경, 인간의 환경에 관심갖기라는 인식이 많았다. 다룰 수 있는 내용에서는 지구보호, 공간과의 탐색, 방향과 위치, 국가, 지역, 지구, 태양계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적합한 연령은 만 3세로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다. 유아 지리교육의 개념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유아 지리교육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유아 연령에서 교사의 경력과 학력,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 지리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시 정도에 있어서, 유아 지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에 비하여 실시되고 있는 정도는 낮았다. 지리교육의 내용 중 상징과 읽기, 축적 등의 어려운 기술을 필요로 하는 지도와 지구의 하위 내용을 제외한 장소, 방향과 위치, 장소 내에서의 관계, 공간적인 상호작용, 지역에 대하여 적절하게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 지리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시 정도는 장소의 하위 영역인 지구보호, 방향과 위치의 하위 영역인 거리의 측정, 장소 내에서의 관계의 하위 영역인 환경과의 관계, 공간적인 상호작용의 하위 영역인 정보의 공유, 다른 지역과의 관계에서 공통적으로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 지리교육의 교수 · 학습방법에 대한 인식에 있어, 실시 시기에서는 주로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지리교육의 내용에 대해 잘 모르는 편이라고 응답한 것과는 모순되었다. 또한 지리교육을 실시하는 생활주제로는 지구와 환경, 우리나라와 다른나라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인적자원으로는 교직원간의 장학을 통하여 지리교육에 대한 도움을 서로 얻고 있었으며, 교수 매체로는 사진, 그림, 도서나 컴퓨터와 같은 시각적 매체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참고자료로 신문, 인터넷, 잡지, TV 등의 보도자료를 활용하는 교사가 많았다. 유아 지리교육의 교수 · 학습방법에 대한 인식은 실시시기와 참고자료에서 공통적으로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아 지리교육을 바라보는 시각을 조금 더 넓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지리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한 편견과 부담감으로부터 버려야 할 것이다. 더불어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의미를 재고찰 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봄으로써, 지리교육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물리적 지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유아를 둘러싼 환경과의 관계, 그리고 공간과의 상호작용까지도 포함되어 진다는 인식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물리적인 환경과 소통하는 유아로서 그 존재를 인식하고, 유아의 주변 환경에 대한 탐색을 존중할 때에 올바른 지리교육이 시작될 것이다. 지리교육을 다른 사회 과학적 지식으로 분리하여 살펴보기 보다는 유아의 일상경험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유아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에게 지리와 관련하여 그 목표와 내용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장의 많은 유치원 교사들은 이러한 사실들을 인식하지 못하며, 유아 지리교육의 내용 및 범위, 그리고 그 기준 설정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를 위한 지리교육의 구체적인 지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환을 위하여 교사 교육 및 재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how do kindergartens teachers' recognize about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furthermore I wish to contribute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may be achieved substantially. The issue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How do kinderg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how do kindergartens teachers' recognize about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furthermore I wish to contribute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may be achieved substantially. The issue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generalized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1-1. How do they perceive the generalized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their teaching career? 1-2. How do they perceive the generalized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their scholarship? 1-3. How do they perceive the generalized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their kindergarten's type? 2. Which content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o kindergarten teachers have? 2-1. Which content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o they have by their teaching career? 2-2. Which content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o they have by their scholarship? 2-3. Which content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o they have by their kindergarten's type? 3.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do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3-1.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do they recognize by their teaching career? 3-2.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do they recognize by their scholarship? 3-3.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do they recognize by their kindergarten's type?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279 teachers who is working for the kindergartens in Seoul, Kyunggi, Jeonnam and Kyungnam Province as the subjects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for the recognition about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its enforcement present condition. The selected data was analyze by x² verif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recognized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handling the place where child lives, direction and location, region. 91.4% teachers responded 'Necessary' of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o it was exposed that most teachers we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reason was thought that it is helpful to have upright conception of geography. They also recognized about main themes they could deal with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it was learning care for our earth, spatial interaction, direction and location, nation, region, the earth, solar system. Also,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it is suitable for 3 years old for the geography education.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teaching career, scholarship, and kindergarten's type. Secondly, although most teachers we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ut the teachers' enforcement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as lower than their thought. Most teachers were practicing the contents of geography appropriately about place, direction and location, relationships within place, spatial interaction, region except the reduced scale, mapping experiences that it is too difficult for children.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kindergarten's type at caring for our earth, distance and measurement, relation with environment, sharing the information, relationship with other regions. Thirdly, a large number of teachers gave geography education frequently linking with kindergarten curriculum. It is inconsistent with their response that they do not know well about geography education's contents of kindergarten curriculum. Also, the themes of geography education tended to concentrate o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the earth and environment. Many teachers made use of pictures, photos, books, or computers as teaching aid, teaching staffs as human resources. And most teachers were using the information materials of newspapers, internet, magazines, TV as a reference.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kindergarten's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how do kindergartens teachers' recognize about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furthermore I wish to contribute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may be achieved substantially. The issue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generalized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1-1. How do they perceive the generalized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their teaching career? 1-2. How do they perceive the generalized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their scholarship? 1-3. How do they perceive the generalized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their kindergarten's type? 2. Which content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o kindergarten teachers have? 2-1. Which content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o they have by their teaching career? 2-2. Which content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o they have by their scholarship? 2-3. Which content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o they have by their kindergarten's type? 3.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do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3-1.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do they recognize by their teaching career? 3-2.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do they recognize by their scholarship? 3-3. Which teaching-learning methods do they recognize by their kindergarten's type?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279 teachers who is working for the kindergartens in Seoul, Kyunggi, Jeonnam and Kyungnam Province as the subjects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for the recognition about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its enforcement present condition. The selected data was analyze by x² verif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recognized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handling the place where child lives, direction and location, region. 91.4% teachers responded 'Necessary' of the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o it was exposed that most teachers we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reason was thought that it is helpful to have upright conception of geography. They also recognized about main themes they could deal with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it was learning care for our earth, spatial interaction, direction and location, nation, region, the earth, solar system. Also,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it is suitable for 3 years old for the geography education.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teaching career, scholarship, and kindergarten's type. Secondly, although most teachers we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ut the teachers' enforcement of geograph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as lower than their thought. Most teachers were practicing the contents of geography appropriately about place, direction and location, relationships within place, spatial interaction, region except the reduced scale, mapping experiences that it is too difficult for children.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kindergarten's type at caring for our earth, distance and measurement, relation with environment, sharing the information, relationship with other regions. Thirdly, a large number of teachers gave geography education frequently linking with kindergarten curriculum. It is inconsistent with their response that they do not know well about geography education's contents of kindergarten curriculum. Also, the themes of geography education tended to concentrate o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the earth and environment. Many teachers made use of pictures, photos, books, or computers as teaching aid, teaching staffs as human resources. And most teachers were using the information materials of newspapers, internet, magazines, TV as a reference.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kindergarten's typ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