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한국산 독포아강 (Ciliophora: Litostomatea: Haptoria) 섬모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 study of haptorian ciliates (Ciliophora: Litostomatea: Haptoria) from Korea원문보기
한국산 독포아강(subclass Haptoria) 섬모충의 종 다양성과 계통수를 밝히기 위해 계통분류연구를 수행하였다. 2013년 7월에서 2016년 7월까지 국내 담수, 기수, 토양 총 13곳에서 시료를 채집하였다. 형태학적 연구는 생체와 염색표본을 관찰하여 동정하였고, 형질통계분석을 하고, 그림과 사진 도판을 제작하여 기재하였다. 분자계통학적 연구는 18S rRNA 유전자를 추출, 중합효소 연쇄 반응(...
한국산 독포아강(subclass Haptoria) 섬모충의 종 다양성과 계통수를 밝히기 위해 계통분류연구를 수행하였다. 2013년 7월에서 2016년 7월까지 국내 담수, 기수, 토양 총 13곳에서 시료를 채집하였다. 형태학적 연구는 생체와 염색표본을 관찰하여 동정하였고, 형질통계분석을 하고, 그림과 사진 도판을 제작하여 기재하였다. 분자계통학적 연구는 18S rRNA 유전자를 추출,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염기서열을 밝힌 후 GeneBank에 등록된 연관 분류군을 선별하여 Maximum likelihood (ML)와 Bayesian inference (BI)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형태학적분석 결과, 15종(1목, 4과, 5속)을 발견하였고, 2신종(Enchelys megaspinata, Kentrophyllum sp. n,), 13미기록종(Apobryophyllum schmidingeri, Arcuospathidium bulli, A. cultriforme cultriforme, A. cultriforme scalpriforme, A. multinucleatum, Chaenea vorax, Cultellothrix atypica, Kentrophyllum verrucosum, Spathidium ascendens, S. papilliferum, S. polynucleatum, S. rectitoratum, Trachelophyllum brachypharynx)을 기재하였다. 본 연구종 11종, 12개(11종, 12개체군), GenBank에서 독포아강 섬모충 68개(59종, 68개체군)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Rhynchostomatia아강 8개(7종, 8개체군)와 Trichostomatia아강 4(4종, 4개체군), 외집단(outgroup)으로 사용할 Armophorea강 3개(3종, 3개체군)을 선정하여 계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개체군 Apobryophllum속, Trachelophyllum속, Kentrophyllum속은 단계통(monophyletic group)을 형성하였고, 형태학적 형질과 1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유사도에 의해서 설명하였다. 반면에, 한국 개체군 Arcuospathidium속, Enchelys속, Spathidium속의 경우 이질적인 계통수가 나타났다. Arcuospathidium속, Enchelys속의 형태학적 형질과 1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유사도와 함께 계통학적 분석하였다. Spathidium papilliferum의 경우 미포자충류의 공생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독포아강 섬모충의 분자계통학적 연구는 아직 미흡하며, 그 중 Spathidiidae과의 연구는 앞으로 풀어야 할 연구이다.
한국산 독포아강(subclass Haptoria) 섬모충의 종 다양성과 계통수를 밝히기 위해 계통분류연구를 수행하였다. 2013년 7월에서 2016년 7월까지 국내 담수, 기수, 토양 총 13곳에서 시료를 채집하였다. 형태학적 연구는 생체와 염색표본을 관찰하여 동정하였고, 형질통계분석을 하고, 그림과 사진 도판을 제작하여 기재하였다. 분자계통학적 연구는 18S rRNA 유전자를 추출,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염기서열을 밝힌 후 GeneBank에 등록된 연관 분류군을 선별하여 Maximum likelihood (ML)와 Bayesian inference (BI)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형태학적분석 결과, 15종(1목, 4과, 5속)을 발견하였고, 2신종(Enchelys megaspinata, Kentrophyllum sp. n,), 13미기록종(Apobryophyllum schmidingeri, Arcuospathidium bulli, A. cultriforme cultriforme, A. cultriforme scalpriforme, A. multinucleatum, Chaenea vorax, Cultellothrix atypica, Kentrophyllum verrucosum, Spathidium ascendens, S. papilliferum, S. polynucleatum, S. rectitoratum, Trachelophyllum brachypharynx)을 기재하였다. 본 연구종 11종, 12개(11종, 12개체군), GenBank에서 독포아강 섬모충 68개(59종, 68개체군)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Rhynchostomatia아강 8개(7종, 8개체군)와 Trichostomatia아강 4(4종, 4개체군), 외집단(outgroup)으로 사용할 Armophorea강 3개(3종, 3개체군)을 선정하여 계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개체군 Apobryophllum속, Trachelophyllum속, Kentrophyllum속은 단계통(monophyletic group)을 형성하였고, 형태학적 형질과 1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유사도에 의해서 설명하였다. 반면에, 한국 개체군 Arcuospathidium속, Enchelys속, Spathidium속의 경우 이질적인 계통수가 나타났다. Arcuospathidium속, Enchelys속의 형태학적 형질과 1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유사도와 함께 계통학적 분석하였다. Spathidium papilliferum의 경우 미포자충류의 공생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독포아강 섬모충의 분자계통학적 연구는 아직 미흡하며, 그 중 Spathidiidae과의 연구는 앞으로 풀어야 할 연구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