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자살 현상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리투아니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보기


첸카 트비르만타스 (연세대학교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한국 현대사회와 문화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과 리투아니아의 높은 자살률은, 여전히 전세계를 이끄는 자살률은 양 국가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혐의를 둔다. 양국의 청소년 자살률이 비록 높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3명 중 한 명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회적 사실이라는 점에서 양국의 청소년 자살 문제는 심각하며 양국 청소년 자살 현상을 대상으로 비교문화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펼친 논의와 다양한 자료, 즉, 통계, 자살 유서, 신문 기사 등을 분석하여 상호 보완하며 양국의 청소년 자살 현상을 비교하고 양국의 청소년 자살 현상에 대한 가능한 해석을 제시하는 데에 그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자살에 대한 사회적 태도 분석을 통해서 볼 수 있듯이 양국의 자살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며 양국에서의 청소년 자살 문제는 필요한 관심을 받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 경우 위선적인 태도는 주로 자본주의적 사회의 수요로 인한 형성된 태도라고 볼 수 있는 동시에 리투아니아의 자살에 대한 태도는 오랫동안 지속된 소련 지배와 사회주의적 사회 질서에서 자살 문제는 인식되지 못했다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양국의 청소년 자살 현상의 주요 요인 분석에서 추론해 낼 수 있듯이 한국 청소년들이 겪는 문제로 학업 스트레스, 가정불화, 우울증이 있으며 그것이 서로 영향을 미치며 결국 자살로 이어진다는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리투아니아 경우 가정 내의 문제는 핵심 청소년 자살의 요인으로 거론될 수 있으며 우울증과 취약한 심리적인 상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양국의 청소년 자살 요인을 사회적 맥락에서 살펴보면 한국 청소년 자살 현상에 미치는 요소는 잘못된 교육 환경과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높은 교육열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신자유주의 교육개혁과 교육열은 치열한 경쟁, 부모의 통제 및 간섭, 학력에 의한 사회적 지위 상승 기능을 통해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리투아니아 경우 소련 지배와 억압, 소련 붕괴로 인한 문화적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both South Korea and Lithuania are leading the world with high suicide rates, a fundamental dilemma arises, that points to the possible problems at the structural level of both societies. Even though both South Korea and Lithuania are not best known for their adolescent suicide rate, statistic...

주제어

#청소년 자살 리투아니아 자살 교육열 문화적 트라우마 아노미 adolescent suicide suicide in Lithuania education fever cultural trauma anomie 

학위논문 정보

저자 첸카 트비르만타스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한국학협동과정 한국 현대사회와 문화전공
지도교수 김왕배
발행연도 2018
총페이지 vi, 98 p.
키워드 청소년 자살 리투아니아 자살 교육열 문화적 트라우마 아노미 adolescent suicide suicide in Lithuania education fever cultural trauma anomie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738938&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