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해에 대한 위험요인을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를 통해 미리 예측하고 12주간 컨디셔닝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을 때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 점수와 운동기능체력(평형성, 최대근력, 유연성, 민첩성, 상지의 파워, 하지의 순발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경기도 소재 M대학의 배구선수 15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주 2회씩 120분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4주 동안의 컨트롤기간과 12주 동안의 컨디셔닝 트레이닝 개입기간으로 나누었다. 1∼4주 동안은 유연성과 평형성을 기본으로 한 기능적 움직임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2가지 동작을 정확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진행하였다. 5∼8주에는 코어운동과 ...
FMS 기반의 컨디셔닝 트레이닝이 운동기능체력에 미치는 효과
박 희 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이 동 준
본 연구는 상해에 대한 위험요인을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를 통해 미리 예측하고 12주간 컨디셔닝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을 때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 점수와 운동기능체력(평형성, 최대근력, 유연성, 민첩성, 상지의 파워, 하지의 순발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경기도 소재 M대학의 배구선수 15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주 2회씩 120분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4주 동안의 컨트롤기간과 12주 동안의 컨디셔닝 트레이닝 개입기간으로 나누었다. 1∼4주 동안은 유연성과 평형성을 기본으로 한 기능적 움직임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2가지 동작을 정확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진행하였다. 5∼8주에는 코어운동과 저항운동에 집중하는 기초 체력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RM의 60∼80%의 강도로 12회 3세트를 실시하였다. 9∼12주에는 기능 체력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2가지 동작을 30초 실시하고 10초 휴식을 가지는 인터벌 트레이닝으로 실시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능적 움직임 점수의 변화에서는 딥 스쿼트(p<.001), 허들 스텝(p<.001), 회전 안정성(p<.001), 몸통 안정성 푸쉬-업(p<.05), 인라인 런지(p<.001), 능동적인 스트레이트 레그 레이즈(p<.001) 등 6가지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운동기능체력의 변화에서는 좌측 외발서기와 우측 외발서기의 측정 결과에서 좌측 외발서기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01). 전신반응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사후검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컨디셔닝 프로그램은 선수들의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켜 훈련이나 경기 중의 상해 위험을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되며, 운동기능체력의 향상을 함께 이루기 위해서는 스포츠 종목별 특성을 고려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키워드) 컨디셔닝트레이닝, 기능적움직임검사, FMS, 운동기능체력
FMS 기반의 컨디셔닝 트레이닝이 운동기능체력에 미치는 효과
박 희 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이 동 준
본 연구는 상해에 대한 위험요인을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를 통해 미리 예측하고 12주간 컨디셔닝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을 때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 점수와 운동기능체력(평형성, 최대근력, 유연성, 민첩성, 상지의 파워, 하지의 순발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경기도 소재 M대학의 배구선수 15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주 2회씩 120분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4주 동안의 컨트롤기간과 12주 동안의 컨디셔닝 트레이닝 개입기간으로 나누었다. 1∼4주 동안은 유연성과 평형성을 기본으로 한 기능적 움직임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2가지 동작을 정확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진행하였다. 5∼8주에는 코어운동과 저항운동에 집중하는 기초 체력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RM의 60∼80%의 강도로 12회 3세트를 실시하였다. 9∼12주에는 기능 체력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2가지 동작을 30초 실시하고 10초 휴식을 가지는 인터벌 트레이닝으로 실시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능적 움직임 점수의 변화에서는 딥 스쿼트(p<.001), 허들 스텝(p<.001), 회전 안정성(p<.001), 몸통 안정성 푸쉬-업(p<.05), 인라인 런지(p<.001), 능동적인 스트레이트 레그 레이즈(p<.001) 등 6가지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운동기능체력의 변화에서는 좌측 외발서기와 우측 외발서기의 측정 결과에서 좌측 외발서기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01). 전신반응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사후검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컨디셔닝 프로그램은 선수들의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켜 훈련이나 경기 중의 상해 위험을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되며, 운동기능체력의 향상을 함께 이루기 위해서는 스포츠 종목별 특성을 고려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Conditioning Training of FMS on Exercise Functional Fitness
Park Heej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Dongj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
The Effects of Conditioning Training of FMS on Exercise Functional Fitness
Park Heej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Dongj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methods to leaders and athletes by predicting the risk factors of injuries in advance through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and identifying changes in Functional movement screen scores and Exercise Functional Fitness(equilibrium, maximum strength, flexibility, agility, the power of the upper limb, quickness of the lower limb) after 12 weeks’ conditioning training. The subjects were 15 volleyball players in M University in Gyeonggi-do. 120 minutes’ training sessions were administered for 12 weeks twice per week. It was divided into 4 weeks’ control time and 12 weeks’ conditioning training intervention period. From the 1st week to the 4th week, functional movement training based on flexibility and equilibrium was performed. Twelve movements were performed in an accurate and stable posture. In the 5th to 8th weeks, basal physical fitness training exercises focusing on the core exercise and the resistance exercise were performed, and three sets of 12 times with 60 to 80% intensity of 1RM were administered. From the 9th week to the 12th week, functional physical fitness training was performed. Twelve movements were administered as interval training such as 30 seconds’ workout and 10 seconds’ res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score, scores of six items Deep squat(p<.001), Hurdle step(p<.001), Rotation stability(p<.001), Trunk stability push-up(p<.05), In-line lunge(p<.001), and Active straight-leg raise(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hange of the Exercise Functional Fitness, the left one-leg standing and right one-leg standing were reviewed. left one-leg standing balanc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emic reaction changes(p<.05),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post-hoc. In conclusion, the conditioning program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risk of injury during training or competition by improving the functional movements of the athletes. In order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motor skill fitness together, more research is nee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kinds of sports.
Keyword Conditioning training,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Exercise functional fitness
The Effects of Conditioning Training of FMS on Exercise Functional Fitness
Park Heej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Dongj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methods to leaders and athletes by predicting the risk factors of injuries in advance through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and identifying changes in Functional movement screen scores and Exercise Functional Fitness(equilibrium, maximum strength, flexibility, agility, the power of the upper limb, quickness of the lower limb) after 12 weeks’ conditioning training. The subjects were 15 volleyball players in M University in Gyeonggi-do. 120 minutes’ training sessions were administered for 12 weeks twice per week. It was divided into 4 weeks’ control time and 12 weeks’ conditioning training intervention period. From the 1st week to the 4th week, functional movement training based on flexibility and equilibrium was performed. Twelve movements were performed in an accurate and stable posture. In the 5th to 8th weeks, basal physical fitness training exercises focusing on the core exercise and the resistance exercise were performed, and three sets of 12 times with 60 to 80% intensity of 1RM were administered. From the 9th week to the 12th week, functional physical fitness training was performed. Twelve movements were administered as interval training such as 30 seconds’ workout and 10 seconds’ res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score, scores of six items Deep squat(p<.001), Hurdle step(p<.001), Rotation stability(p<.001), Trunk stability push-up(p<.05), In-line lunge(p<.001), and Active straight-leg raise(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hange of the Exercise Functional Fitness, the left one-leg standing and right one-leg standing were reviewed. left one-leg standing balanc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emic reaction changes(p<.05),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post-hoc. In conclusion, the conditioning program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risk of injury during training or competition by improving the functional movements of the athletes. In order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motor skill fitness together, more research is nee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kinds of sports.
Keyword Conditioning training,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Exercise functional fitn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