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는 여러 요인에 의해 변색이 진행되며, 손상의 주된 원인은 유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회화와 같은 유·무기재질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작품이 전시 조명에 노출될 경우 변색의 정도와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화를 구성하는 각 재질에 대한 광원의 영향이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화를 구성하는 요소 중 조명에 민감한 유기재질에 대해 조명별 변색 반응을 연구하였다. 실험방법은 파장대가 다른 세 종류의 LED광원을 장착한 가속열화실험기를 사용하여 회화 바탕재와 전색제의 변색 경향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요인을 분석하였다. 바탕재는 동양의 회화를 구성하는 지지체 중 한지, 화견, 명주 및 삼베를 선정하였다. 전색제는 동양의 회화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
문화재는 여러 요인에 의해 변색이 진행되며, 손상의 주된 원인은 유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회화와 같은 유·무기재질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작품이 전시 조명에 노출될 경우 변색의 정도와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화를 구성하는 각 재질에 대한 광원의 영향이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화를 구성하는 요소 중 조명에 민감한 유기재질에 대해 조명별 변색 반응을 연구하였다. 실험방법은 파장대가 다른 세 종류의 LED광원을 장착한 가속열화실험기를 사용하여 회화 바탕재와 전색제의 변색 경향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요인을 분석하였다. 바탕재는 동양의 회화를 구성하는 지지체 중 한지, 화견, 명주 및 삼베를 선정하였다. 전색제는 동양의 회화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아교(우피교)와 서양의 유화작품에 널리 쓰이는 건성유(린시드유)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시료 표면 변화 관찰에서는 블루스파이크 영역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Blue LED에 노출된 한지와 삼베에서 황색도가 감소하는 변색이 두드러지게 확인되었다. 또한 Blue LED에 노출된 두 종류의 전색제 모두 황색도가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분광 색차 측정 결과 모든 그룹 중 Blue LED로 열화된 시편에서 높은 색차 값을 보였다. 다음으로 White LED, Xeno LED 열화 조건 순으로 색차 값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각 광원의 전복사속(mW) 값이 큰 순서와 같은 경향을 보인다. 전체 색도를 좌우하는 것은 b*값의 변화율로 확인되었고, 한지, 삼베, 아교 및 린시드유에서 그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사 투과 흡수율 측정 결과 모든 시편에서 Blue LED에 노출된 시편의 변화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단파장대(380-480nm)의 반사율이 높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장파장대(480-750nm)보다 단파장대의 흡수율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각 재질의 변색에 미치는 영향은 Blue영역대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회화 구성 재질의 변색에 미치는 광원의 영향은 전광선속(lm)보다 전복사속(mW)에 의해 주요하게 작용하며, 그 정도와 양상은 재질 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간 적용되었던 lux단위의 박물관 조도 기준 외에 파장대별 조건과 이에 적합한 전시조명 연구 등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가 향후 유물 변색 관련 연구 및 변색 조건 표준화 마련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문화재는 여러 요인에 의해 변색이 진행되며, 손상의 주된 원인은 유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회화와 같은 유·무기재질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작품이 전시 조명에 노출될 경우 변색의 정도와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화를 구성하는 각 재질에 대한 광원의 영향이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화를 구성하는 요소 중 조명에 민감한 유기재질에 대해 조명별 변색 반응을 연구하였다. 실험방법은 파장대가 다른 세 종류의 LED광원을 장착한 가속열화실험기를 사용하여 회화 바탕재와 전색제의 변색 경향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요인을 분석하였다. 바탕재는 동양의 회화를 구성하는 지지체 중 한지, 화견, 명주 및 삼베를 선정하였다. 전색제는 동양의 회화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아교(우피교)와 서양의 유화작품에 널리 쓰이는 건성유(린시드유)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시료 표면 변화 관찰에서는 블루스파이크 영역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Blue LED에 노출된 한지와 삼베에서 황색도가 감소하는 변색이 두드러지게 확인되었다. 또한 Blue LED에 노출된 두 종류의 전색제 모두 황색도가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분광 색차 측정 결과 모든 그룹 중 Blue LED로 열화된 시편에서 높은 색차 값을 보였다. 다음으로 White LED, Xeno LED 열화 조건 순으로 색차 값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각 광원의 전복사속(mW) 값이 큰 순서와 같은 경향을 보인다. 전체 색도를 좌우하는 것은 b*값의 변화율로 확인되었고, 한지, 삼베, 아교 및 린시드유에서 그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사 투과 흡수율 측정 결과 모든 시편에서 Blue LED에 노출된 시편의 변화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단파장대(380-480nm)의 반사율이 높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장파장대(480-750nm)보다 단파장대의 흡수율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각 재질의 변색에 미치는 영향은 Blue영역대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회화 구성 재질의 변색에 미치는 광원의 영향은 전광선속(lm)보다 전복사속(mW)에 의해 주요하게 작용하며, 그 정도와 양상은 재질 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간 적용되었던 lux단위의 박물관 조도 기준 외에 파장대별 조건과 이에 적합한 전시조명 연구 등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가 향후 유물 변색 관련 연구 및 변색 조건 표준화 마련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Cultural properties are discolor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l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s constituting cultural properties. Particularly, when a painting containing both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is exposed to museum lighting, the degree and patt...
Cultural properties are discolor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l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s constituting cultural properties. Particularly, when a painting containing both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is exposed to museum lighting, the degree and pattern of its discoloration may appear differentl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first identify the influence of a light source on each material of a pain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coloration response by lighting to each organic material which is sensitive to lighting among the elements of a painting. The discoloration tendency of the base material and vehicle of a painting was identified using an accelerated deterioration test machine equipped with three kinds of LED light sources of different wavelengths,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m were analyzed. Among the supports constituting oriental paintings, Han-Ji, Raw Silk, Silk and Hemp were selected as the base material. Animal Glue used mainly in oriental paintings and dried widely used in western oil paintings were selected as medium materi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scoloration by decreasing of yellowness was found to be noticeable in Han-Ji and Hemp exposed to Blue LED, which has a relatively high range of blue spike, through an observation of changes in the surface of a sample. The yellowness of medium materials exposed to Blue LED was also found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pectral color difference measurement, chromaticity change value of a specimen deteriorated by Blue LED showed the highest tendency in all specimens. chromaticity change was smaller under the deterioration of Xeno LED condition compared to white LED, which shows the same tendency as the order of magnitude of the total radiation flux (mW) of each light source. The rate of change of b*value was found to determine the overall chromaticity, which was noticeable in Han-Ji, Hemp, Animal Glue and Linseed Oil.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reflectance, transmittance and absorptance showed that, in all specimens, the rate of change of specimen exposed to Blue LED was the largest and that the reflectance of the short wavelength band (380-480nm) was on the increase. The range of Blue was found to affect the discoloration of each material, judging by the fact that the absorptance of the short wavelength band was larger than that of the long wavelength band (480-750n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a light source on the discoloration of each material of a painting depends mainly on total radiant flux (mW) rather than total luminous flux (lm), and that the degree and aspect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Besides, it was able to suggest not only the museum light criteria of lux unit that have been applied, but also the condition by wavelength and the necessity of a study on suitable exhibition ligh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discoloration of artifacts and establishing the standardization of discoloration condition in future.
Cultural properties are discolor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l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s constituting cultural properties. Particularly, when a painting containing both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is exposed to museum lighting, the degree and pattern of its discoloration may appear differentl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first identify the influence of a light source on each material of a pain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coloration response by lighting to each organic material which is sensitive to lighting among the elements of a painting. The discoloration tendency of the base material and vehicle of a painting was identified using an accelerated deterioration test machine equipped with three kinds of LED light sources of different wavelengths,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m were analyzed. Among the supports constituting oriental paintings, Han-Ji, Raw Silk, Silk and Hemp were selected as the base material. Animal Glue used mainly in oriental paintings and dried widely used in western oil paintings were selected as medium materi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scoloration by decreasing of yellowness was found to be noticeable in Han-Ji and Hemp exposed to Blue LED, which has a relatively high range of blue spike, through an observation of changes in the surface of a sample. The yellowness of medium materials exposed to Blue LED was also found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pectral color difference measurement, chromaticity change value of a specimen deteriorated by Blue LED showed the highest tendency in all specimens. chromaticity change was smaller under the deterioration of Xeno LED condition compared to white LED, which shows the same tendency as the order of magnitude of the total radiation flux (mW) of each light source. The rate of change of b*value was found to determine the overall chromaticity, which was noticeable in Han-Ji, Hemp, Animal Glue and Linseed Oil.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reflectance, transmittance and absorptance showed that, in all specimens, the rate of change of specimen exposed to Blue LED was the largest and that the reflectance of the short wavelength band (380-480nm) was on the increase. The range of Blue was found to affect the discoloration of each material, judging by the fact that the absorptance of the short wavelength band was larger than that of the long wavelength band (480-750n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a light source on the discoloration of each material of a painting depends mainly on total radiant flux (mW) rather than total luminous flux (lm), and that the degree and aspect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Besides, it was able to suggest not only the museum light criteria of lux unit that have been applied, but also the condition by wavelength and the necessity of a study on suitable exhibition ligh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discoloration of artifacts and establishing the standardization of discoloration condition in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