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유학년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자유학년제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화성시에 있는 A 남·녀 공학 중학교 209명을 대상으로 교우와의 관계 조사 설문지, 교사와의 관계 조사 설문지, 자유학년제 만족도 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자유학년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우와의 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유학년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자유학년제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화성시에 있는 A 남·녀 공학 중학교 209명을 대상으로 교우와의 관계 조사 설문지, 교사와의 관계 조사 설문지, 자유학년제 만족도 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자유학년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자유학년제 만족도 세 변인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우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친구간의 적응, 교사의 수업구성력과 수업능력이 높을수록 교육과정 및 수업만족도, 교육결과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교제의 지속성이 높을수록 교육과정 및 수업 만족도는 낮아졌다. 또한, 교우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사의 수업구성력과 교사와의 친밀성이 높을수록 수업참여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사와의 친밀성, 친구간의 적응이 높을수록 학교구성원간 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우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사의 수업구성, 교사의 지도방법, 친구와의 공동생활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자유학년제 전반적 만족도도 높아졌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지금 새로운 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어지고 있는 자유학년제의 학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요인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교우 및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과 교사의 학생 만족도를 높이는 자유학년제 수업 실시를 돕는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유학년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자유학년제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화성시에 있는 A 남·녀 공학 중학교 209명을 대상으로 교우와의 관계 조사 설문지, 교사와의 관계 조사 설문지, 자유학년제 만족도 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자유학년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자유학년제 만족도 세 변인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우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친구간의 적응, 교사의 수업구성력과 수업능력이 높을수록 교육과정 및 수업만족도, 교육결과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교제의 지속성이 높을수록 교육과정 및 수업 만족도는 낮아졌다. 또한, 교우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사의 수업구성력과 교사와의 친밀성이 높을수록 수업참여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사와의 친밀성, 친구간의 적응이 높을수록 학교구성원간 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우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교사의 수업구성, 교사의 지도방법, 친구와의 공동생활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자유학년제 전반적 만족도도 높아졌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지금 새로운 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어지고 있는 자유학년제의 학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요인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교우 및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과 교사의 학생 만족도를 높이는 자유학년제 수업 실시를 돕는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ree–learning year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ree–learning yea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ree–learning year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ree–learning yea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with friends, the questionnaire with teachers,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wit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Free–learning year for 209 students at A coed Middle School in Hwaseong C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oys in the second grade in middle school had higher friendships, teacher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with the Free–learning year than girls.
Second, it turns out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teachers, and satisfaction with the Free–learning year.
Third, the existence and reliability of friends in friend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e higher the teacher's ability to organize and adapt classes, the more satisfaction he or she had with the curriculum and class, and the more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However, the more sustainable the relationship, the less satisfaction the education courses and classes had. In addition, the more friends and trust they ha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the more teachers were able to organize classes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e more satisfac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attending classes. And the more friends were involved, the more teachers wer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more friends were adjusted, the more satisfaction they wer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Free–learning year was the existence and reliability of a friend, the composition of a teacher's class, the teacher's method of teaching, and the common life with a frie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iscovered factors to enhance student satisfaction in the Free – learning year which is now being implemented as part of a new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it suggests the need for various measures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teachers and a system of support to help teachers conduct their Free – learning year classes that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ree–learning year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ree–learning yea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with friends, the questionnaire with teachers,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wit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Free–learning year for 209 students at A coed Middle School in Hwaseong C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oys in the second grade in middle school had higher friendships, teacher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with the Free–learning year than girls.
Second, it turns out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teachers, and satisfaction with the Free–learning year.
Third, the existence and reliability of friends in friend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e higher the teacher's ability to organize and adapt classes, the more satisfaction he or she had with the curriculum and class, and the more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However, the more sustainable the relationship, the less satisfaction the education courses and classes had. In addition, the more friends and trust they ha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the more teachers were able to organize classes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e more satisfac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attending classes. And the more friends were involved, the more teachers wer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more friends were adjusted, the more satisfaction they wer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Free–learning year was the existence and reliability of a friend, the composition of a teacher's class, the teacher's method of teaching, and the common life with a frie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iscovered factors to enhance student satisfaction in the Free – learning year which is now being implemented as part of a new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it suggests the need for various measures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teachers and a system of support to help teachers conduct their Free – learning year classes that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