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건강·복지 담당자가 인식하는 취약계층 고령자 식품영양서비스 실태 및 맞춤형 식품영양관리 모델 개발 원문보기


장소망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식품영양학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건강·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군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인식을 통해 취약계층 고령자의 식생활 및 현제 진행되고 있는 식품·영양서비스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 맞춤형 영양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설문 대상은 서울시 25개 자치구 동주민센터에서 근무하는 찾동간호사, 복지플래너,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방문건강관리간호사와 영양사이며, 총 277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나, 응답이 불충분한 36부를 제외한 241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설문에 응답한 건강·복지서비스 담당자는 89.2%가 여성이었고, 연령은 40세 이상 64.4%로 연령층이 높았다. 담당 직무는 간호사(찾동·방문건강관리)가 54.3%, 복지플래너 38.6%, 영양사 2.5%의 순이었다. 현재 직위에서의 근무 경력은 3년 미만이 71%, 3년 이상이 28.8%로 나타나 해당 직무에 대한 경험 또는 해당 직군의 근속년도수가 장기적인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2. 취약계층 고령자의 식생활 실태에 대한 건강·복지서비스 담당자의 인식은 ‘식품/식재료 구입비용을 부담스러워한다’, ‘치아상태가 나빠 먹지 못하는 식품/식재료가 많다’가 각각 3.8점으로 가장 높았고, ‘식품을 다양하게 골고루 먹는다’, ‘가정에는 먹을 수 있는 식품/식재료가 충분하다’가 각각 2.1, 2.2로 낮았다. 또한 ‘음식을 짜게 먹는다(3.6점)’, ‘젓갈류, 장아찌 등 절임음식을 위주로 식사를 한다(3.5점)’가 보통에 해당하는 3점을 상회하는 점수로 높게 응답하였다. 직무의 특성상 고령자의 건강관리를 하는 간호사는 ‘음식을 짜게 먹는다(3.8점)’, ‘젓갈류, 장아찌 등 절임음식을 위주로 식사를 한다(3.6점)’으로 복지플래너에 비해 더 문제로 인식하였다(p<0.001, p=0.006).
3. 지역사회 취약계층 고령자에게 제공되는 도시락 및 밑반찬배달서비스 실태에서는 고령자의 안부 확인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메뉴의 선택권과 메뉴가 고령자의 질병 상태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직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도시락배달서비스는 ‘도시락 메뉴가 어르신 기호에 적합하다(2.8점)’, ‘도시락 메뉴가 어르신의 질병 상태에 적합하다(2.5점)’, ‘어르신이 직접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1.6점)’에서 간호사가 복지플래너 보다 낮게 평가 하였다(p=0.015, p=0.001, p<0.001). 이 외에 도시락배달서비스는 ‘주말이나 공휴일에 제공된다(2.4점)’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고, 밑반찬배달서비스는 ‘어르신의 씹는 기능을 반영한다’에서 간호사가 2.7점으로 낮게 평가 하였다(p<0.001).

4. 취약계층 고령자에게 제공되는 식품제공과 식품바우처의 실태에서는 서비스가 정말 필요한 어르신에게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식품제공에서 ‘어르신이 필요할 때 식품/식재료를 제공 받을 수 있다’가 2.5점으로 필요시 제공받지 못하는 어려움 있었다. 식품바우처는 ‘금액을 다 사용하지 못하고 남는다’가 2.6점으로 남는 금액에 대해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식품제공 문항에서 ‘제공 식품/식재료가 어르신의 질병 상태에 적합하다(2.7점)’, ‘어르신이 원하는 식품을 선택 할 수 있다(2.5점)’, ‘어르신이 필요할 때 식품/식재료를 제공 받을 수 있다(2.5점)’는 간호사와 복지플래너에서 의견의 차이가 나타났다(P<0.001). 반면 식품바우처의 문항은 직무에 따른 분석에서 건강·복지담당자의 의견의 차이가 거의 없이 일치하였다.

5. 취약계층 고령자의 12 가지 유형 별로 적합한 식품·영양서비스의 적합성 문항은 독거어르신, 80세 이상 어르신,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etary life of the vulnerable older adults, to investigate food and nutrition service practices targeting the older adults, and to develop a customized nutrition management model for vulnerable older adults residing in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t...

학위논문 정보

저자 장소망
학위수여기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식품영양학과 식품영양학전공
발행연도 2018
총페이지 95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901741&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