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 북한이탈여성이 시·공간적으로 이질적이고 다원적인 삶 의 환경 속에서도 ‘주체적 인간’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도해가는 삶을 살 아온 여정을 드러내는데 목적이 있다. 그녀가 전 생애과정 속에서 경험한 삶은 어떠한 사회·환경적 조건과 삶의 맥락에 놓여 있는지를 확인하고, 북한이탈여성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통해 어떠한 생애과정을 형성, 변화해 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H. Arendt가 제시한 인간의 실존적 조건인‘노동’, ‘작업’, ‘행위’의 개념을‘주체적 삶’의 개념으 로 구성하면서 사회적 맥락과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 의 연구방법으로는 F. Schütze의 이야기식 인터뷰(...
본 연구는 한 북한이탈여성이 시·공간적으로 이질적이고 다원적인 삶 의 환경 속에서도 ‘주체적 인간’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도해가는 삶을 살 아온 여정을 드러내는데 목적이 있다. 그녀가 전 생애과정 속에서 경험한 삶은 어떠한 사회·환경적 조건과 삶의 맥락에 놓여 있는지를 확인하고, 북한이탈여성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통해 어떠한 생애과정을 형성, 변화해 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H. Arendt가 제시한 인간의 실존적 조건인‘노동’, ‘작업’, ‘행위’의 개념을‘주체적 삶’의 개념으 로 구성하면서 사회적 맥락과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 의 연구방법으로는 F. Schütze의 이야기식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를 활용한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북한이탈여성의 삶이 어떻게 경 험되는지를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삶의 특정한 시기를 횡·단면적으로 절단하여 탐구하는 것보다 생애 전 과정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 다. 연구 참여자 선정시 단일 사례로서 북한과 중국, 한국에서 노동과 직업 경험, 교육활동, 가족관계 등을 모두 경험한 다면적 이야기를 해줄 수 있 는 북한이탈여성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중국·한국이라는 여러 가지로 다른 세 나라에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삶의 여정에 따라 북한에서의 삶은 ①생과사의 경계적 삶, 중국에서의 삶은 ②타인에 의해 결정되는 삶, 한국에서의 삶은 ③자신 의 한계에 도전하는 삶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생애사의 전개과정은 발달 단계의 경험적 맥락에 따라 ①가난한 노동자의 딸 ②출신성분으로 좌절된 미래, ③여성가장의 책임자, ④자본에 역전 되어버린 신분, ⑤삶과 죽음의 경계, ⑥합법적 신분이 주는 자유, ⑦적응과 타협을 통한 정착, ⑧일과 교 육으로 성취한 사회적 지위 등 여러 가지 삶의 주제로 재구성하였다. 이 렇게 도출된 삶의 경험들을 F. Schütze의 ‘인생진행의 과정구조’를 통해 분석한 결과 스스로의 삶을 결정하고 적극적인 능동적 ‘행함’과 자신의 의 지와 관계없이 발생되는 사회 환경에 의해 닥쳐오는 불행의 수동적 ‘당함’ 의 삶들이 연속덕으로 교차되는 삶을 살아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 Arendt가 제시한‘ 노동’, ‘ 작업’, ‘ 행위’의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 과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첫째, ‘노동’의 영역은 ‘생존가치의 삶으로 북한- 중국-한국을 거쳐 ‘고난의 행군’과 ‘불법적 신분’이라는 환경의 변화에 따 라 이루어졌고 생존을 위한 노동경험은 생산과 비생산적 노동의 반복적 경험, 지적노동과 육체노동의 연속과 분절 속에서 자신의 삶을 주도해 가 고 있었다. 둘째, ‘작업’의 영역은 ‘미래희망의 삶’으로 주체적인 ‘작업인’으 로서의 ‘경력강화’를 통해 자신의 직업적 헌신을 이루었고 자신의 생 존을 위한 작업 활동을 넘어 타인과 공동체의 생산적 기여자로서 ‘주체적 인 삶‘을 살았다. 셋째, ‘행위’의 영역에서는 ‘세대계승의 삶’으로 교육을 통해 공적영역의 토대를 확보하며, 북한이탈주민 권익의 대변자로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고, 노동과 작업의 필연성으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획득하여 ‘스스로 말하는 행위’를 통해 ‘인간다운’ 삶을 실현코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이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삶에 함축되어 주도적이고 활동적인 삶을 살고자 하 는 ‘삶의 주체성’이 지속적으로 발굴-시도-개발되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 나간다는 사실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국 북한이탈여성의 한국사회 정착은 지원시스템으로만 가능하지 않으며 ‘자율적 노동권’과 ‘교육의 기 회‘, ‘정치적 행위’를 통해 ‘주체적인 삶’이 가능한 사회 환경과 인신의 변 화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 북한이탈여성이 시·공간적으로 이질적이고 다원적인 삶 의 환경 속에서도 ‘주체적 인간’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도해가는 삶을 살 아온 여정을 드러내는데 목적이 있다. 그녀가 전 생애과정 속에서 경험한 삶은 어떠한 사회·환경적 조건과 삶의 맥락에 놓여 있는지를 확인하고, 북한이탈여성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통해 어떠한 생애과정을 형성, 변화해 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H. Arendt가 제시한 인간의 실존적 조건인‘노동’, ‘작업’, ‘행위’의 개념을‘주체적 삶’의 개념으 로 구성하면서 사회적 맥락과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 의 연구방법으로는 F. Schütze의 이야기식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를 활용한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북한이탈여성의 삶이 어떻게 경 험되는지를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삶의 특정한 시기를 횡·단면적으로 절단하여 탐구하는 것보다 생애 전 과정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 다. 연구 참여자 선정시 단일 사례로서 북한과 중국, 한국에서 노동과 직업 경험, 교육활동, 가족관계 등을 모두 경험한 다면적 이야기를 해줄 수 있 는 북한이탈여성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중국·한국이라는 여러 가지로 다른 세 나라에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삶의 여정에 따라 북한에서의 삶은 ①생과사의 경계적 삶, 중국에서의 삶은 ②타인에 의해 결정되는 삶, 한국에서의 삶은 ③자신 의 한계에 도전하는 삶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생애사의 전개과정은 발달 단계의 경험적 맥락에 따라 ①가난한 노동자의 딸 ②출신성분으로 좌절된 미래, ③여성가장의 책임자, ④자본에 역전 되어버린 신분, ⑤삶과 죽음의 경계, ⑥합법적 신분이 주는 자유, ⑦적응과 타협을 통한 정착, ⑧일과 교 육으로 성취한 사회적 지위 등 여러 가지 삶의 주제로 재구성하였다. 이 렇게 도출된 삶의 경험들을 F. Schütze의 ‘인생진행의 과정구조’를 통해 분석한 결과 스스로의 삶을 결정하고 적극적인 능동적 ‘행함’과 자신의 의 지와 관계없이 발생되는 사회 환경에 의해 닥쳐오는 불행의 수동적 ‘당함’ 의 삶들이 연속덕으로 교차되는 삶을 살아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 Arendt가 제시한‘ 노동’, ‘ 작업’, ‘ 행위’의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 과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첫째, ‘노동’의 영역은 ‘생존가치의 삶으로 북한- 중국-한국을 거쳐 ‘고난의 행군’과 ‘불법적 신분’이라는 환경의 변화에 따 라 이루어졌고 생존을 위한 노동경험은 생산과 비생산적 노동의 반복적 경험, 지적노동과 육체노동의 연속과 분절 속에서 자신의 삶을 주도해 가 고 있었다. 둘째, ‘작업’의 영역은 ‘미래희망의 삶’으로 주체적인 ‘작업인’으 로서의 ‘경력강화’를 통해 자신의 직업적 헌신을 이루었고 자신의 생 존을 위한 작업 활동을 넘어 타인과 공동체의 생산적 기여자로서 ‘주체적 인 삶‘을 살았다. 셋째, ‘행위’의 영역에서는 ‘세대계승의 삶’으로 교육을 통해 공적영역의 토대를 확보하며, 북한이탈주민 권익의 대변자로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고, 노동과 작업의 필연성으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획득하여 ‘스스로 말하는 행위’를 통해 ‘인간다운’ 삶을 실현코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이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삶에 함축되어 주도적이고 활동적인 삶을 살고자 하 는 ‘삶의 주체성’이 지속적으로 발굴-시도-개발되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 나간다는 사실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국 북한이탈여성의 한국사회 정착은 지원시스템으로만 가능하지 않으며 ‘자율적 노동권’과 ‘교육의 기 회‘, ‘정치적 행위’를 통해 ‘주체적인 삶’이 가능한 사회 환경과 인신의 변 화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the journey of life in which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lead their lives as ‘subjective human beings’even in an environment of heterogeneous and pluralistic life. We have identified the social·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context o...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the journey of life in which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lead their lives as ‘subjective human beings’even in an environment of heterogeneous and pluralistic life. We have identified the social·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context of life int the live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have examin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ife cycle of the women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life.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labor’, ‘work’, and ‘act’ which are existential conditions of human being proposed by H. Arendt are composed of the concept of ‘subjective life.’In this way, we explain integratly the social developmental aspects. The narrative interview of F. Schütze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entire life cycle rather than to search for a specific period of life in cross-section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experience their liv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a single case, a North Korean female refugee who experienced labor, work, education and family relation in each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life them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that have been experienced in the multinational society of North Korea, China, and Korea : ① Life in North Korea is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② Life in China is determined by others, and ③ Life in Korea is a life that challenges its limits. In addition, eight themes according to the empirical context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life : ① the daughter of a poor worker ② the future frustrated by the elements of her origin, ③ the head of the female leader, ④ the identity that has been reversed to capital, ⑤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⑦ settling through adaptation and compromise, and ⑧ social status achieved through work and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life derived from this through F. Schütze’s ‘process structure of life structure’, it is found that they have lived the crossing process of life between the active ‘act’of the self-determined and passive ‘suffering’ of unhappiness caused by the social environment that is determined regardless of their willness. In addition, we reconstructed the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labor’, ‘work’, and ‘act’ proposed by H. Arendt. First, the area of ‘labor’ was ‘life of survival value’ which is made by ‘ environmental struggle’ and ‘illegal status’through the North Korea – China - Korea, and she was leading her life in a series and segment of intellectual and physical labor. Second, the area of ‘work’ is ‘future hopeful life’ as the process of experience as subjective ‘worker.’ By acquiring the status of people’s workers – illegal workers - legitimate status, they achieved their professional commitment through ‘career enhancement’, and the have subjective life as a productive contributor to others and the community beyond work activities for her survival. Third, the area of ‘act’ is ‘the life of succession to the generation’, securing the foundation of the public domain through education, expanding social relations as the advocate of the right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acquiring genuine freedom from the necessity of labor and work, they wanted to achieve ‘decent living’ through ‘talking themselv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life in North Korea and China experienced by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s not meaningless, but is meaningful as it is implied in individual life and intended to live a leading and active with discovering – trying – developing their ‘subjectivity of life.’ In the end,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n the Korean society is not possible only through the support system.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social environment and awareness that can lead to ‘subjective life’ through ‘autonomous labor rights’, ‘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the journey of life in which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lead their lives as ‘subjective human beings’even in an environment of heterogeneous and pluralistic life. We have identified the social·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context of life int the live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have examin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ife cycle of the women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life.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labor’, ‘work’, and ‘act’ which are existential conditions of human being proposed by H. Arendt are composed of the concept of ‘subjective life.’In this way, we explain integratly the social developmental aspects. The narrative interview of F. Schütze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entire life cycle rather than to search for a specific period of life in cross-section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experience their liv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a single case, a North Korean female refugee who experienced labor, work, education and family relation in each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life them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that have been experienced in the multinational society of North Korea, China, and Korea : ① Life in North Korea is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② Life in China is determined by others, and ③ Life in Korea is a life that challenges its limits. In addition, eight themes according to the empirical context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life : ① the daughter of a poor worker ② the future frustrated by the elements of her origin, ③ the head of the female leader, ④ the identity that has been reversed to capital, ⑤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⑦ settling through adaptation and compromise, and ⑧ social status achieved through work and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life derived from this through F. Schütze’s ‘process structure of life structure’, it is found that they have lived the crossing process of life between the active ‘act’of the self-determined and passive ‘suffering’ of unhappiness caused by the social environment that is determined regardless of their willness. In addition, we reconstructed the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labor’, ‘work’, and ‘act’ proposed by H. Arendt. First, the area of ‘labor’ was ‘life of survival value’ which is made by ‘ environmental struggle’ and ‘illegal status’through the North Korea – China - Korea, and she was leading her life in a series and segment of intellectual and physical labor. Second, the area of ‘work’ is ‘future hopeful life’ as the process of experience as subjective ‘worker.’ By acquiring the status of people’s workers – illegal workers - legitimate status, they achieved their professional commitment through ‘career enhancement’, and the have subjective life as a productive contributor to others and the community beyond work activities for her survival. Third, the area of ‘act’ is ‘the life of succession to the generation’, securing the foundation of the public domain through education, expanding social relations as the advocate of the right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acquiring genuine freedom from the necessity of labor and work, they wanted to achieve ‘decent living’ through ‘talking themselv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life in North Korea and China experienced by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s not meaningless, but is meaningful as it is implied in individual life and intended to live a leading and active with discovering – trying – developing their ‘subjectivity of life.’ In the end,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n the Korean society is not possible only through the support system.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social environment and awareness that can lead to ‘subjective life’ through ‘autonomous labor rights’, ‘ educational opportunities.’
Keyword
#북한이탈여성 주체적 삶 생애사연구 F. Sch?tz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H. Arendt Subjective Life Life history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재숙
학위수여기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인력개발학과 고용정책전공
지도교수
임세영
발행연도
2018
총페이지
200
키워드
북한이탈여성 주체적 삶 생애사연구 F. Sch?tz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H. Arendt Subjective Life Life histo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