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탈출하여 한국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1998년 이전에는 947명이었으나, 그 이후 급증하여 2014년 12월말 현재 27,518명(통일부, 2015)이 되었고, 이들 중 여성이 70%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을 돕기 위하여 하나원 교육, 정착금과 주거지원금, 직업훈련 등 다양한 정책 및 제도적 지원을 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사회 적응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북한의 생활, 탈북과정, 한국사회 적응과정과 북한의 실상을 알리고 한국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에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0)가 제시한 ...
북한을 탈출하여 한국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1998년 이전에는 947명이었으나, 그 이후 급증하여 2014년 12월말 현재 27,518명(통일부, 2015)이 되었고, 이들 중 여성이 70%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을 돕기 위하여 하나원 교육, 정착금과 주거지원금, 직업훈련 등 다양한 정책 및 제도적 지원을 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사회 적응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북한의 생활, 탈북과정, 한국사회 적응과정과 북한의 실상을 알리고 한국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에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은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이 살아온 이야기를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적합한 연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탈출 후 한국에 입국하여 10년 이상 거주하면서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이며,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을 모두 녹취한 후, 녹취된 내용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듣고 내용을 이해하면서 내러티브적으로 코딩하였다.
상기의 과정에서 이끌어낸 연구 참여자의 내러티브 구성은 1단계 연구 참여자의 북한탈출 이전까지 북한에서의 경험, 2단계 북한탈출 후 한국에 입국하여 겪었던 경험, 3단계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까지의 경험으로 나누어 시간과 공간의 흐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특이사항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한적 사유재산 인정 및 상거래 확대 등 북한의 경제 체계가 변화하고 있었다. 북한에서도 돈이 있으면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할 수 있고, 누구든지 장사를 해서 돈을 벌수도 있다. 또한 개인이 동산을 소유할 수 있을 정도로 사유재산이 인정되는 등 북한의 실상이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에 입국하여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 일부는 취업난, 사회적 차별 등으로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러한 어려운 형편의 북한이탈주민이 북한에 남아있는 부모형제로부터 돈을 송금 받아 생활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북한정권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안정적으로 한국사회에서 적응하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점이다. 이는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사회에서 안정되고 행복하게 살고 있는 소식이 북한주민들에게 전해져 민심이 동요될 것을 염려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입국은 사실상 브로커를 통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특히 이미 한국에 살고 있는 가족이나 지인이 브로커 비용에 대한 보증이 필요하며 이 때 브로커에게 지불하는 비용은 상황에 따라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남한의 대중문화가 이미 북한사회에 상당수 파고들고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이 중국 북경영사관 TV에서 나오는 한국 노래를 이미 인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참여자의 증언은 그만큼 북한 내에서도 한국 노래가 광범위하게 불러지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傍證)한다.
여섯째, 남북한은 교육체제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1)남한은 학교 내에 상담교사와 학교폭력위원회가 있지만 북한에는 이러한 보직과 제도가 따로 없고 담임교사가 학생상담을 맡고 있다. 2)남한의 교육시스템과 달리 북한에서는 1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 담임교사가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졸업을 할 때까지 책임지고 가르친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를 통하여 북한에서의 생활, 탈북과정, 한국사회 적응과정을 시간과 공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하여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의 실상을 알리고 북한이탈주민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도출해 냈다.
둘째, 도출된 문제점들은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정책 또는 제도개선의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북한을 탈출하여 한국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1998년 이전에는 947명이었으나, 그 이후 급증하여 2014년 12월말 현재 27,518명(통일부, 2015)이 되었고, 이들 중 여성이 70%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을 돕기 위하여 하나원 교육, 정착금과 주거지원금, 직업훈련 등 다양한 정책 및 제도적 지원을 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사회 적응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북한의 생활, 탈북과정, 한국사회 적응과정과 북한의 실상을 알리고 한국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에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은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이 살아온 이야기를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적합한 연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탈출 후 한국에 입국하여 10년 이상 거주하면서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이며,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을 모두 녹취한 후, 녹취된 내용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듣고 내용을 이해하면서 내러티브적으로 코딩하였다.
상기의 과정에서 이끌어낸 연구 참여자의 내러티브 구성은 1단계 연구 참여자의 북한탈출 이전까지 북한에서의 경험, 2단계 북한탈출 후 한국에 입국하여 겪었던 경험, 3단계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까지의 경험으로 나누어 시간과 공간의 흐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특이사항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한적 사유재산 인정 및 상거래 확대 등 북한의 경제 체계가 변화하고 있었다. 북한에서도 돈이 있으면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할 수 있고, 누구든지 장사를 해서 돈을 벌수도 있다. 또한 개인이 동산을 소유할 수 있을 정도로 사유재산이 인정되는 등 북한의 실상이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에 입국하여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 일부는 취업난, 사회적 차별 등으로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러한 어려운 형편의 북한이탈주민이 북한에 남아있는 부모형제로부터 돈을 송금 받아 생활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북한정권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안정적으로 한국사회에서 적응하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점이다. 이는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사회에서 안정되고 행복하게 살고 있는 소식이 북한주민들에게 전해져 민심이 동요될 것을 염려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입국은 사실상 브로커를 통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특히 이미 한국에 살고 있는 가족이나 지인이 브로커 비용에 대한 보증이 필요하며 이 때 브로커에게 지불하는 비용은 상황에 따라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남한의 대중문화가 이미 북한사회에 상당수 파고들고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이 중국 북경영사관 TV에서 나오는 한국 노래를 이미 인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참여자의 증언은 그만큼 북한 내에서도 한국 노래가 광범위하게 불러지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傍證)한다.
여섯째, 남북한은 교육체제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1)남한은 학교 내에 상담교사와 학교폭력위원회가 있지만 북한에는 이러한 보직과 제도가 따로 없고 담임교사가 학생상담을 맡고 있다. 2)남한의 교육시스템과 달리 북한에서는 1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 담임교사가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졸업을 할 때까지 책임지고 가르친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명의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를 통하여 북한에서의 생활, 탈북과정, 한국사회 적응과정을 시간과 공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하여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의 실상을 알리고 북한이탈주민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도출해 냈다.
둘째, 도출된 문제점들은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정책 또는 제도개선의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Prior to 1998, there were a total of 947 North Korean defectors, those who escaped North Korea and entered South Korea, but the number rapidly increased afterwards to reach 27,518 defectors as of December 2014 (Ministry of Unification, 2015), 70% of which is women claiming the majority. The South Ko...
Prior to 1998, there were a total of 947 North Korean defectors, those who escaped North Korea and entered South Korea, but the number rapidly increased afterwards to reach 27,518 defectors as of December 2014 (Ministry of Unification, 2015), 70% of which is women claiming the majorit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order to help the defectors adap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provided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via Hanawon education programs, settlement benefits and housing subsidy, and vocational training. However, despite such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s have shown to undergo significant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South Korean Society.
Thus, in this study the life story of one North Korean defector woman will be analyzed in detail in order to report on the life in North Korea, defection process, adaptation process in South Korea, and the reality of North Korea, and ultimately to find the problem that makes adaptation to South Korea difficult.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Clandinin & Connelly, 2000) was used for the research as a suitable means. The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is the suitable research method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story of a North Korean defector woman.
In this study, one North Korean defector woman, who lived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ten years after her defection from North Korea and have successfully adapted to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selected as the participant of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etween March 2012 and April 2015. All interview content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were recorded and afterwards coded in terms of the narrative after repeatedly listening to the recording and better understanding the contents.
The narrativ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from the above mentioned process was reconstruct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space. The first is the experience in North Korea before the participant’s defection from North Korea. The second is the experiences in South Korea after defection and the third is the experiences until successful adaptation to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following problems and observations could be no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economic system of North Korea was changing, including the acknowledgement of restrictive private property and expansion of commercial transactions. Even in North Korea, anyone with money could hold a wedding at a wedding hall, and anyone could earn money through business. Also, the acknowledgement of private property such that an individual can possess movable assets shows that the reality of North Korea is changing.
Second, some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face an extremely difficult situation economically as a result of unemployment and social discrimination. It appears to be that some North Korean defectors in such financial difficulty receive money from family still remaining in North Korea to sustain living.
Third, the North Korean regime fears the stable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It can be speculated that the regime is afraid that the news of defectors living happily and safely in South Korea will stir the popular sentiment in North Korea.
Fourth, the defectors’ entry into South Korea is in practice impossible without a broker. In particular, a guarantee for broker fees by family or friends already in South Korea is necessary, and the fees are known to be different for each case.
Fifth, the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has very much invaded the North Korean society. The participant’s testimony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lready knew Korean songs on television at the Korean consulate at Beijing, China, further shows that South Korean songs are also widely sang in North Korea.
Sixth, the two Koreans exhibit obvious discrepancies in educational systems. 1) South Korea has counselors and school violence committee within the schools but North Korea has no such positions or systems and the homeroom teachers are in charge of counseling. 2) Unlike the South Korean system, in North Korea, one teacher is in charge of the same class from first grade to sixth grade, overseeing their education until grad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life story of on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life in North Korea, defection process,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 were research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space. It was possible to inform the Korean public of the reality of North Korea and the defectors and to identify specific problems that make their successful settlement in South Korea difficult.
Second, the identified problems will serve as important evidence supporting policy and system reforms to help North Korea defectors adapt to South Korea.
Keyword: North Korean defector woman, problems of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narrative exploration, reality of North Korea, North Korea defection, broker, life story, North Korean defector, North-South Korea cultural differences
Prior to 1998, there were a total of 947 North Korean defectors, those who escaped North Korea and entered South Korea, but the number rapidly increased afterwards to reach 27,518 defectors as of December 2014 (Ministry of Unification, 2015), 70% of which is women claiming the majorit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order to help the defectors adap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provided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via Hanawon education programs, settlement benefits and housing subsidy, and vocational training. However, despite such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s have shown to undergo significant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South Korean Society.
Thus, in this study the life story of one North Korean defector woman will be analyzed in detail in order to report on the life in North Korea, defection process, adaptation process in South Korea, and the reality of North Korea, and ultimately to find the problem that makes adaptation to South Korea difficult.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Clandinin & Connelly, 2000) was used for the research as a suitable means. The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is the suitable research method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story of a North Korean defector woman.
In this study, one North Korean defector woman, who lived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ten years after her defection from North Korea and have successfully adapted to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selected as the participant of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etween March 2012 and April 2015. All interview content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were recorded and afterwards coded in terms of the narrative after repeatedly listening to the recording and better understanding the contents.
The narrativ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from the above mentioned process was reconstruct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space. The first is the experience in North Korea before the participant’s defection from North Korea. The second is the experiences in South Korea after defection and the third is the experiences until successful adaptation to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following problems and observations could be no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economic system of North Korea was changing, including the acknowledgement of restrictive private property and expansion of commercial transactions. Even in North Korea, anyone with money could hold a wedding at a wedding hall, and anyone could earn money through business. Also, the acknowledgement of private property such that an individual can possess movable assets shows that the reality of North Korea is changing.
Second, some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face an extremely difficult situation economically as a result of unemployment and social discrimination. It appears to be that some North Korean defectors in such financial difficulty receive money from family still remaining in North Korea to sustain living.
Third, the North Korean regime fears the stable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It can be speculated that the regime is afraid that the news of defectors living happily and safely in South Korea will stir the popular sentiment in North Korea.
Fourth, the defectors’ entry into South Korea is in practice impossible without a broker. In particular, a guarantee for broker fees by family or friends already in South Korea is necessary, and the fees are known to be different for each case.
Fifth, the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has very much invaded the North Korean society. The participant’s testimony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lready knew Korean songs on television at the Korean consulate at Beijing, China, further shows that South Korean songs are also widely sang in North Korea.
Sixth, the two Koreans exhibit obvious discrepancies in educational systems. 1) South Korea has counselors and school violence committee within the schools but North Korea has no such positions or systems and the homeroom teachers are in charge of counseling. 2) Unlike the South Korean system, in North Korea, one teacher is in charge of the same class from first grade to sixth grade, overseeing their education until grad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life story of on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life in North Korea, defection process,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 were research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space. It was possible to inform the Korean public of the reality of North Korea and the defectors and to identify specific problems that make their successful settlement in South Korea difficult.
Second, the identified problems will serve as important evidence supporting policy and system reforms to help North Korea defectors adapt to South Korea.
Keyword: North Korean defector woman, problems of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narrative exploration, reality of North Korea, North Korea defection, broker, life story, North Korean defector, North-South Korea cultural differenc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