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에게 자기대화가 미치는 영향 : 자기지시훈련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elf-talk on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y via self-instruction training원문보기
본 연구는 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대화가 시험불안 및 자동적 사고, 자기조절,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eichenbaum(1971)이 제안한 자기지시훈련은 자기대화를 통해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에게 맞도록 적절하게 수정되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530명 중 시험불안(TAI-K)점수가 80점 이상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38명이다. 훈련집단 18명, 대기통제 20명으로 무선 할당되어 총 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훈련 집단은 일주일간 개인훈련을 했고, 대기통제집단은 처치가 없었다. 이들 모두 사전과 사후에 시험불안, 자동적 사고, 인지적·정서조절 전략,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훈련집단은 기말고사 2주 전 추후 설문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시험불안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정도는 감소하고, 긍정적 자동적 사고가 증가 경향성이 나타났다. 또한 ...
본 연구는 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대화가 시험불안 및 자동적 사고, 자기조절,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eichenbaum(1971)이 제안한 자기지시훈련은 자기대화를 통해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에게 맞도록 적절하게 수정되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530명 중 시험불안(TAI-K)점수가 80점 이상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38명이다. 훈련집단 18명, 대기통제 20명으로 무선 할당되어 총 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훈련 집단은 일주일간 개인훈련을 했고, 대기통제집단은 처치가 없었다. 이들 모두 사전과 사후에 시험불안, 자동적 사고, 인지적·정서조절 전략,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훈련집단은 기말고사 2주 전 추후 설문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시험불안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정도는 감소하고, 긍정적 자동적 사고가 증가 경향성이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용과 자기비난의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삶의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훈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 참여 약 2달 후 추후에서도 시험불안 감소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대화가 시험불안 및 자동적 사고, 자기조절,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eichenbaum(1971)이 제안한 자기지시훈련은 자기대화를 통해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에게 맞도록 적절하게 수정되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530명 중 시험불안(TAI-K)점수가 80점 이상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38명이다. 훈련집단 18명, 대기통제 20명으로 무선 할당되어 총 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훈련 집단은 일주일간 개인훈련을 했고, 대기통제집단은 처치가 없었다. 이들 모두 사전과 사후에 시험불안, 자동적 사고, 인지적·정서조절 전략,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훈련집단은 기말고사 2주 전 추후 설문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시험불안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정도는 감소하고, 긍정적 자동적 사고가 증가 경향성이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용과 자기비난의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삶의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훈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 참여 약 2달 후 추후에서도 시험불안 감소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talk on test anxiety, automatic think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y.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proposed by Meichenbaum (1971) teaches how to think through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talk on test anxiety, automatic think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y.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proposed by Meichenbaum (1971) teaches how to think through self-talk. This study has been modified appropriately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ies. Among the 530 university students, 38 participants who had more than 80 test anxiety score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were selec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aining group(n=18) or wait-list control group(n=20). The training group had individual training for one week and the wait-list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All of them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test anxiety, automatic think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training group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wo weeks before the final ex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gree of test anxiety and negative automatic thinking decreased and the positive automatic thinking tendency increased. There were also changes in acceptance and self-criticism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est anxiety reduction effect persisted even after 2 months after the experi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talk on test anxiety, automatic think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y.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proposed by Meichenbaum (1971) teaches how to think through self-talk. This study has been modified appropriately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test anxiety tendencies. Among the 530 university students, 38 participants who had more than 80 test anxiety score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were selec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aining group(n=18) or wait-list control group(n=20). The training group had individual training for one week and the wait-list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All of them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test anxiety, automatic think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training group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wo weeks before the final ex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gree of test anxiety and negative automatic thinking decreased and the positive automatic thinking tendency increased. There were also changes in acceptance and self-criticism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est anxiety reduction effect persisted even after 2 months after the experi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