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합성 물질의 부작용으로 인체 안전성이 부각되면서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의 소재 개발과 친환경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 탄산수의 세안법이 전해지면서 음용수에서 피부미용까지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 탄산수의 적용이 두피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두피관리 프로그램에 응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문제성 두피(지루성, 민감성, 지성두피)를 지닌 20~30대 성인 남성 18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1일부터 2017년 8월 5일까지 총 5주간 진행하였다. 두피에 일반 샴푸만 사용한 대조군((N=9)과 일반 샴푸 후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N=9)으로 구분하였으며, 두피의 홍반, 각질 및 모발의 밀도를 전두부(Center Point)를 중심으로 정중앙 선을 따라 1cm, 5cm, 10cm 지점과 오른쪽 귀 끝부분의 위 3cm 지점의 측두부와 양쪽 귀(Ear Point) 기준으로 후두부 정중앙 지점을 측정하여 실험 전에서 실험 3주차, 실험 3주차에서 실험 후(5주차), 실험 전에서 실험 후(5주차)로 구분하여 두 군 간의 변화량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후에는 육안 평가를 통한 두피의 상태변화와 두피 상태 개선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5점 척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 · 후의 두피 홍반의 변화량에서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0.33±0.71, 실험군은 1.11±0.93으로 나타났으며(p<.01), 측두부 지점에서 대조군은 -0.11±0.33, 실험군은 1.44±0.88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후두부 지점에서 대조군은 -0.11±0.60, 실험군은 1.33±1.12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1)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두피 홍반의 감소가 샴푸만 사용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 전 · 후의 두피 각질의 변화량에서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0.44±0.73, 실험군은 0.67±1.1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전두부 10cm 지점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는 두 군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실험군에서 대조군의 변화량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 전 · 후의 모발의 밀도 변화량에서 전두부 5cm 지점에서 대조군은 -1.23±1.86, 실험군은 1.54±2.70,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1.11±1.36, 실험군은 0.63±1.98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실험 후 육안 평가를 통한 두피 상태 변화에서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두피 톤이 맑아지고, 염증 증상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두피 상태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가려움증 감소’에서 대조군은 3.22±0.44, 실험군은 4.67±0.50으로 나타났고(p<.001) ‘냄새 감소’에서 대조군은 3.22±0.44, 실험군은 4.11±0.60으로 나타났다(p<.01). ‘염증 및 여드름 감소’에서 대조군은 3.11±0.33, 실험군은 4.44±0.53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피 열감 감소’에서는 대조군은 3.33±0.50, 실험군은 4.78±0.44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 ‘각질 감소’에서는 대조군은 3.33±0.50, 실험군은 4.22±0.44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1).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대조군은 3.00±0.00, 실험군은 4.44±0.53으로 실험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연구 결과 미용 탄산수의 두피 적용이 두피의 홍반과 모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피의 염증이 완화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 후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도 전체 항목에서 실험군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피관리 현장에서 미용 탄산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두피관리 단계의 효과를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탄산을 활용한 다양한 ...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합성 물질의 부작용으로 인체 안전성이 부각되면서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의 소재 개발과 친환경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 탄산수의 세안법이 전해지면서 음용수에서 피부미용까지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 탄산수의 적용이 두피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두피관리 프로그램에 응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문제성 두피(지루성, 민감성, 지성두피)를 지닌 20~30대 성인 남성 18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1일부터 2017년 8월 5일까지 총 5주간 진행하였다. 두피에 일반 샴푸만 사용한 대조군((N=9)과 일반 샴푸 후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N=9)으로 구분하였으며, 두피의 홍반, 각질 및 모발의 밀도를 전두부(Center Point)를 중심으로 정중앙 선을 따라 1cm, 5cm, 10cm 지점과 오른쪽 귀 끝부분의 위 3cm 지점의 측두부와 양쪽 귀(Ear Point) 기준으로 후두부 정중앙 지점을 측정하여 실험 전에서 실험 3주차, 실험 3주차에서 실험 후(5주차), 실험 전에서 실험 후(5주차)로 구분하여 두 군 간의 변화량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후에는 육안 평가를 통한 두피의 상태변화와 두피 상태 개선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5점 척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 · 후의 두피 홍반의 변화량에서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0.33±0.71, 실험군은 1.11±0.93으로 나타났으며(p<.01), 측두부 지점에서 대조군은 -0.11±0.33, 실험군은 1.44±0.88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후두부 지점에서 대조군은 -0.11±0.60, 실험군은 1.33±1.12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1)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두피 홍반의 감소가 샴푸만 사용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 전 · 후의 두피 각질의 변화량에서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0.44±0.73, 실험군은 0.67±1.1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전두부 10cm 지점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는 두 군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실험군에서 대조군의 변화량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 전 · 후의 모발의 밀도 변화량에서 전두부 5cm 지점에서 대조군은 -1.23±1.86, 실험군은 1.54±2.70,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1.11±1.36, 실험군은 0.63±1.98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실험 후 육안 평가를 통한 두피 상태 변화에서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두피 톤이 맑아지고, 염증 증상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두피 상태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가려움증 감소’에서 대조군은 3.22±0.44, 실험군은 4.67±0.50으로 나타났고(p<.001) ‘냄새 감소’에서 대조군은 3.22±0.44, 실험군은 4.11±0.60으로 나타났다(p<.01). ‘염증 및 여드름 감소’에서 대조군은 3.11±0.33, 실험군은 4.44±0.53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피 열감 감소’에서는 대조군은 3.33±0.50, 실험군은 4.78±0.44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 ‘각질 감소’에서는 대조군은 3.33±0.50, 실험군은 4.22±0.44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1).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대조군은 3.00±0.00, 실험군은 4.44±0.53으로 실험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연구 결과 미용 탄산수의 두피 적용이 두피의 홍반과 모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피의 염증이 완화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 후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도 전체 항목에서 실험군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피관리 현장에서 미용 탄산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두피관리 단계의 효과를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탄산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합성 물질의 부작용으로 인체 안전성이 부각되면서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의 소재 개발과 친환경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 탄산수의 세안법이 전해지면서 음용수에서 피부미용까지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 탄산수의 적용이 두피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두피관리 프로그램에 응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문제성 두피(지루성, 민감성, 지성두피)를 지닌 20~30대 성인 남성 18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1일부터 2017년 8월 5일까지 총 5주간 진행하였다. 두피에 일반 샴푸만 사용한 대조군((N=9)과 일반 샴푸 후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N=9)으로 구분하였으며, 두피의 홍반, 각질 및 모발의 밀도를 전두부(Center Point)를 중심으로 정중앙 선을 따라 1cm, 5cm, 10cm 지점과 오른쪽 귀 끝부분의 위 3cm 지점의 측두부와 양쪽 귀(Ear Point) 기준으로 후두부 정중앙 지점을 측정하여 실험 전에서 실험 3주차, 실험 3주차에서 실험 후(5주차), 실험 전에서 실험 후(5주차)로 구분하여 두 군 간의 변화량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후에는 육안 평가를 통한 두피의 상태변화와 두피 상태 개선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5점 척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 · 후의 두피 홍반의 변화량에서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0.33±0.71, 실험군은 1.11±0.93으로 나타났으며(p<.01), 측두부 지점에서 대조군은 -0.11±0.33, 실험군은 1.44±0.88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후두부 지점에서 대조군은 -0.11±0.60, 실험군은 1.33±1.12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1)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두피 홍반의 감소가 샴푸만 사용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 전 · 후의 두피 각질의 변화량에서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0.44±0.73, 실험군은 0.67±1.1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전두부 10cm 지점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는 두 군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실험군에서 대조군의 변화량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 전 · 후의 모발의 밀도 변화량에서 전두부 5cm 지점에서 대조군은 -1.23±1.86, 실험군은 1.54±2.70, 전두부 10cm 지점에서 대조군은 -1.11±1.36, 실험군은 0.63±1.98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실험 후 육안 평가를 통한 두피 상태 변화에서 미용 탄산수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두피 톤이 맑아지고, 염증 증상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두피 상태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가려움증 감소’에서 대조군은 3.22±0.44, 실험군은 4.67±0.50으로 나타났고(p<.001) ‘냄새 감소’에서 대조군은 3.22±0.44, 실험군은 4.11±0.60으로 나타났다(p<.01). ‘염증 및 여드름 감소’에서 대조군은 3.11±0.33, 실험군은 4.44±0.53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피 열감 감소’에서는 대조군은 3.33±0.50, 실험군은 4.78±0.44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 ‘각질 감소’에서는 대조군은 3.33±0.50, 실험군은 4.22±0.44으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1).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대조군은 3.00±0.00, 실험군은 4.44±0.53으로 실험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연구 결과 미용 탄산수의 두피 적용이 두피의 홍반과 모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피의 염증이 완화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 후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도 전체 항목에서 실험군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피관리 현장에서 미용 탄산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두피관리 단계의 효과를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탄산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As safety for the human body has been highlighted due to the side effects of synthetic materials, people have greater and greater preference for natural materials that cause no harm to the human body an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ith the recent spread of a cleansing method for the face with na...
As safety for the human body has been highlighted due to the side effects of synthetic materials, people have greater and greater preference for natural materials that cause no harm to the human body an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ith the recent spread of a cleansing method for the face with natural carbonated water, the uses of carbonated water have broadened from drinking water to skin car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smetic carbonated water on scalp health and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its application to the old scalp management programs. The subjects include 18 adult men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that had scalp problems(seborrheic, sensitive, and oily scalp). They participated in a five-week experiment from July 1 to August 5, 2017, being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N=9) that had both plain shampoo and cosmetic carbonated water applied to the scalp and the control group(N=9) that used only plain shampoo.
The subjects were measured in red spots, dead skin cells, and hair density on the scalp, and differences in the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experimentation and in Week 3 into experimentation, Week 3 into experimentation and after experimentation(Week 5), and before and after experimentation. A survey(5-point scale) was conducted for changes to the scalp condi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the scalp condition based on assessment with a naked eye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changes to red spots on the scalp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found that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corded -0.33±0.71 and 1.11±0.93 at a 10cm point in the frontal region, respectively(p<.01), -0.11±0.33 and 1.44±0.88 in the temporal region,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p<.001), and -0.11±0.60 and 1.33±1.12 in the occipital region,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p<.01).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as a greater reduction of red spots on the scalp in the experiment group that used cosmetic carbonated water in addition to shampoo than the control group that used only shampoo. Second, as for differences in changes to dead skin cells on the scal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a 10cm point in the frontal region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that recorded -0.44±0.73 and 0.67±1.12, respectively(p<.05).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other regions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to hair densit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corded -1.23±1.86 and 1.54±2.70 at a 5cm point in the frontal region, respectively, and -1.11±1.36 and 0.63±1.98 at a 10cm point in the frontal region, respectively(p<.05). Fourth, the results of assessment with a naked eye for the scalp condition show that the experiment group, which used cosmetic carbonated water, had the scalp tone cleared up and inflammatory symptoms alleviated after the experiment. Finally, the survey results for satisfaction with changes to the scalp condition demonstrate that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corded 3.22±0.44 and 4.67±0.50 in "reduction of itch" and 3.11±0.33 and 4.44±0.53 in "reduction of inflammation and acne,"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 group ha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p<.001).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corded 3.33±0.50 and 4.78±0.44 in "reduction of scalp heat" and 3.00±0.00 and 4.44±0.53 in "softness of hair,"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p<.001). The finding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cosmetic carbonated water to the scalp had positive effects on scalp probl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ddition of a carbonated water program after shampoo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ects of the scalp management stage.
As safety for the human body has been highlighted due to the side effects of synthetic materials, people have greater and greater preference for natural materials that cause no harm to the human body an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ith the recent spread of a cleansing method for the face with natural carbonated water, the uses of carbonated water have broadened from drinking water to skin car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smetic carbonated water on scalp health and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its application to the old scalp management programs. The subjects include 18 adult men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that had scalp problems(seborrheic, sensitive, and oily scalp). They participated in a five-week experiment from July 1 to August 5, 2017, being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N=9) that had both plain shampoo and cosmetic carbonated water applied to the scalp and the control group(N=9) that used only plain shampoo.
The subjects were measured in red spots, dead skin cells, and hair density on the scalp, and differences in the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experimentation and in Week 3 into experimentation, Week 3 into experimentation and after experimentation(Week 5), and before and after experimentation. A survey(5-point scale) was conducted for changes to the scalp condi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the scalp condition based on assessment with a naked eye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changes to red spots on the scalp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found that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corded -0.33±0.71 and 1.11±0.93 at a 10cm point in the frontal region, respectively(p<.01), -0.11±0.33 and 1.44±0.88 in the temporal region,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p<.001), and -0.11±0.60 and 1.33±1.12 in the occipital region,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p<.01).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as a greater reduction of red spots on the scalp in the experiment group that used cosmetic carbonated water in addition to shampoo than the control group that used only shampoo. Second, as for differences in changes to dead skin cells on the scal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a 10cm point in the frontal region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that recorded -0.44±0.73 and 0.67±1.12, respectively(p<.05).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other regions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to hair densit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corded -1.23±1.86 and 1.54±2.70 at a 5cm point in the frontal region, respectively, and -1.11±1.36 and 0.63±1.98 at a 10cm point in the frontal region, respectively(p<.05). Fourth, the results of assessment with a naked eye for the scalp condition show that the experiment group, which used cosmetic carbonated water, had the scalp tone cleared up and inflammatory symptoms alleviated after the experiment. Finally, the survey results for satisfaction with changes to the scalp condition demonstrate that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corded 3.22±0.44 and 4.67±0.50 in "reduction of itch" and 3.11±0.33 and 4.44±0.53 in "reduction of inflammation and acne,"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 group ha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p<.001).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corded 3.33±0.50 and 4.78±0.44 in "reduction of scalp heat" and 3.00±0.00 and 4.44±0.53 in "softness of hair,"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p<.001). The finding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cosmetic carbonated water to the scalp had positive effects on scalp probl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ddition of a carbonated water program after shampoo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ects of the scalp management stag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