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반계고등학생의 진로상담 인식과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여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진로상담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양산시에 소재한 일반계고등학교 두 곳에 재학 중인 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계고등학생 절반 이상이 고등학교 입학 이후 진로 상담을 1회 이상 실시하였고,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상담은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앞으로 학생들의 올바른 진로선택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
본 연구는 일반계고등학생의 진로상담 인식과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여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진로상담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양산시에 소재한 일반계고등학교 두 곳에 재학 중인 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계고등학생 절반 이상이 고등학교 입학 이후 진로 상담을 1회 이상 실시하였고,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상담은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앞으로 학생들의 올바른 진로선택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진로상담을 실시하는 교사들의 진로상담가로서의 자질 향상을 요구하였다. 둘째,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은 내용, 횟수, 시간, 장소, 시기에서 실태와 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진로상담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담임교사의 진로상담가로서의 자질 향상과 학생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충분한 상담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진로진학교사 연계를 통한 진로상담이 필요하며 학교 상담실의 효율적인 사용과 교무실 상담 환경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일반계고등학생의 진로상담 인식과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여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진로상담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양산시에 소재한 일반계고등학교 두 곳에 재학 중인 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계고등학생 절반 이상이 고등학교 입학 이후 진로 상담을 1회 이상 실시하였고,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상담은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앞으로 학생들의 올바른 진로선택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진로상담을 실시하는 교사들의 진로상담가로서의 자질 향상을 요구하였다. 둘째,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은 내용, 횟수, 시간, 장소, 시기에서 실태와 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진로상담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담임교사의 진로상담가로서의 자질 향상과 학생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충분한 상담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진로진학교사 연계를 통한 진로상담이 필요하며 학교 상담실의 효율적인 사용과 교무실 상담 환경의 개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demand on career counseling conducted by homeroom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with a view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career counseling.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38 highschool students attending two hig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demand on career counseling conducted by homeroom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with a view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career counseling.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38 highschool students attending two high schools located in Yangsan-si.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career counseling at least once since they entered the high school, and most counseling services were provid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Homeroom teachers demonstrated a lack of career counselor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nonetheless, their services helped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areer counseling with their homeroom teachers. Career counseling performed by homeroom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content, frequency, location, and time with respect to students’ perception and demand.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capacity of homeroom teachers as career counselors and simultaneously promote education for students in order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career counseling. Furthermore, a sufficient amount of time should be allocated to career counseling, and the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 collaboration with career counsling teachers at schools. In addition, the efficient use of a school’s counseling offi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unseling environment in a teacher’s room would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demand on career counseling conducted by homeroom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with a view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career counseling.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38 highschool students attending two high schools located in Yangsan-si.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career counseling at least once since they entered the high school, and most counseling services were provid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Homeroom teachers demonstrated a lack of career counselor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nonetheless, their services helped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areer counseling with their homeroom teachers. Career counseling performed by homeroom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content, frequency, location, and time with respect to students’ perception and demand.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capacity of homeroom teachers as career counselors and simultaneously promote education for students in order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career counseling. Furthermore, a sufficient amount of time should be allocated to career counseling, and the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 collaboration with career counsling teachers at schools. In addition, the efficient use of a school’s counseling offi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unseling environment in a teacher’s room would be required.
Keyword
#상담심리학 담임교사 일반계 고등학생 인문계 진로상담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