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국공립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mong Public Daycare Teachers원문보기
논 문 요 약 국공립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이 윤 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지도교수 이 윤 형 ) 맞벌이 가족의 부모를 대상으로 영유아 보육시설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육교사의 자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교사는 아동의 특성을 잘 알고 있다’ ‘교사는 아동을 사랑하며 이해하는 마음을 가졌다’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백화숙, 2012). 이처럼 국공립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가 높고 국공립을 이용하지 못하는 부모들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서울시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국공립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만족도는 어떤지에 대해 알고 자신에 대한 ...
논 문 요 약 국공립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이 윤 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지도교수 이 윤 형 ) 맞벌이 가족의 부모를 대상으로 영유아 보육시설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육교사의 자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교사는 아동의 특성을 잘 알고 있다’ ‘교사는 아동을 사랑하며 이해하는 마음을 가졌다’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백화숙, 2012). 이처럼 국공립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가 높고 국공립을 이용하지 못하는 부모들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서울시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국공립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만족도는 어떤지에 대해 알고 자신에 대한 효능감 정도와 부모들이 높게 평가한 교사-영유아와의 상호작용 부분에 대한 서로의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방안을 모색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공립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있는가? 연구문제 2. 국공립 보육교사의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및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및 영향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직접 방문 또는 인터넷으로 전달하였으며, 직접 방문한 설문지 270부와 인터넷 전달 설문지 98부, 총 368부를 최종 연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는 서주희(2012)의 직무만족도 척도를, 교사효능감 척도는 신미정(2015)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박영숙(2015)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척도를 위해 예비조사 실시 후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배경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Cronbach's α 산출,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배경 변인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 예측 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권량희(2014),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박선희(2016)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체의 차이 연구결과 세 변인 모두 교사연령과 담당 학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 경력, 자격증은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국공립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근무시간, 담당학급, 경력, 학력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무시간도 중요하지만 담당학급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고, 교사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경력도 중요하지만 담당학급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성도 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담당학급도 중요하지만 교사학력에 대한 배려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국공립 보육교사는 자신이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능감이 강했으며, 이러한 신념은 직무만족에 대한 교사 개인 뿐 아니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이는 보육교사의 질을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국공립 보육교사로서 자기 스스로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공보육을 실천하는 국공립 보육교사라는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며, 긍정적인 성취감을 갖도록 앞으로의 사회적, 정책적, 운영자의 노력과 배려가 필요하다. 주요어: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국공립 보육교사 *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논 문 요 약 국공립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이 윤 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지도교수 이 윤 형 ) 맞벌이 가족의 부모를 대상으로 영유아 보육시설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육교사의 자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교사는 아동의 특성을 잘 알고 있다’ ‘교사는 아동을 사랑하며 이해하는 마음을 가졌다’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백화숙, 2012). 이처럼 국공립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가 높고 국공립을 이용하지 못하는 부모들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서울시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국공립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만족도는 어떤지에 대해 알고 자신에 대한 효능감 정도와 부모들이 높게 평가한 교사-영유아와의 상호작용 부분에 대한 서로의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방안을 모색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공립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있는가? 연구문제 2. 국공립 보육교사의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및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및 영향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직접 방문 또는 인터넷으로 전달하였으며, 직접 방문한 설문지 270부와 인터넷 전달 설문지 98부, 총 368부를 최종 연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는 서주희(2012)의 직무만족도 척도를, 교사효능감 척도는 신미정(2015)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박영숙(2015)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척도를 위해 예비조사 실시 후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배경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Cronbach's α 산출,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배경 변인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 예측 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권량희(2014),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박선희(2016)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체의 차이 연구결과 세 변인 모두 교사연령과 담당 학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 경력, 자격증은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국공립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근무시간, 담당학급, 경력, 학력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무시간도 중요하지만 담당학급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고, 교사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경력도 중요하지만 담당학급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성도 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담당학급도 중요하지만 교사학력에 대한 배려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국공립 보육교사는 자신이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능감이 강했으며, 이러한 신념은 직무만족에 대한 교사 개인 뿐 아니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이는 보육교사의 질을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국공립 보육교사로서 자기 스스로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공보육을 실천하는 국공립 보육교사라는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며, 긍정적인 성취감을 갖도록 앞으로의 사회적, 정책적, 운영자의 노력과 배려가 필요하다. 주요어: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국공립 보육교사 *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mong Public Daycare Teachers by Lee, Yun He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mong Public Daycare Teachers by Lee, Yun He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Lee, Yoon Hyung
The parents of dual-income families on the use of public daycare centers reported thatthe qualities of teacherswere highly rated, particularlyteachers know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ellandteachers have a high level of love and understanding on childrenwere rated high (Baik, 2012). As shown, parents' satisfaction with public daycares is generally high while the expansion of public daycares in Seoul has been projected. Then,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eachers reflect on their job and their efficacy, and their relation to teacher-child interaction that was rated high by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daycare teachers and to help their efficacy in an effor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fants and themsel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tudy's purpose.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among public day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based on teachers' background? This study was participated by teachers who work at 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sent directly in person or via Internet, and 270 paper-based questionnaires and 98 online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job satisfaction,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s-infant interaction, the teachersjob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Seo Ju - hee's (2012) scale, teacher efficacy by Shin, Mi-jung(2015),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by Park, Young-sook(2015) after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s upon conducting a preliminary test.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s too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Cronbach's α were used. The t-test and the one-way 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t result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predictiv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of public daycare teacher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the studies of Kwon(2014) and Park(2016).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and class among all three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ttainment, teaching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o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teacher - infant interact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age and classroom students' grade levels i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results,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seem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attainment, teaching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ge and classroom's grade level. Fourt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ir working hours, class, and educational attainment. Although working hours is importan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ere is also a need to consider the grade level of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efficacy,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is also important, whil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grade level of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eacher-infant-child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the grade level is important, but also considering teachers'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of public daycare centers have strong beliefs about their ability to do well and affect teacher - infant interaction. As public daycare teachers, thus, it is necessary for them to have a positiv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o feel satisfied about being a public daycare teacher who could raise teacher efficacy on their own and practice public education. Keywords :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public daycare teacher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mong Public Daycare Teachers by Lee, Yun He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Lee, Yoon Hyung
The parents of dual-income families on the use of public daycare centers reported thatthe qualities of teacherswere highly rated, particularlyteachers know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ellandteachers have a high level of love and understanding on childrenwere rated high (Baik, 2012). As shown, parents' satisfaction with public daycares is generally high while the expansion of public daycares in Seoul has been projected. Then,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eachers reflect on their job and their efficacy, and their relation to teacher-child interaction that was rated high by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daycare teachers and to help their efficacy in an effor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fants and themsel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tudy's purpose.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among public day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based on teachers' background? This study was participated by teachers who work at 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sent directly in person or via Internet, and 270 paper-based questionnaires and 98 online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job satisfaction,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s-infant interaction, the teachersjob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Seo Ju - hee's (2012) scale, teacher efficacy by Shin, Mi-jung(2015),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by Park, Young-sook(2015) after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s upon conducting a preliminary test.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s too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Cronbach's α were used. The t-test and the one-way 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t result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predictiv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of public daycare teacher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the studies of Kwon(2014) and Park(2016).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and class among all three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ttainment, teaching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o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teacher - infant interact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age and classroom students' grade levels i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results,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seem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attainment, teaching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ge and classroom's grade level. Fourt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ir working hours, class, and educational attainment. Although working hours is importan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ere is also a need to consider the grade level of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efficacy,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is also important, whil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grade level of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eacher-infant-child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the grade level is important, but also considering teachers'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of public daycare centers have strong beliefs about their ability to do well and affect teacher - infant interaction. As public daycare teachers, thus, it is necessary for them to have a positiv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o feel satisfied about being a public daycare teacher who could raise teacher efficacy on their own and practice public education. Keywords :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public daycare teacher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