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통정책의 패러다임은 이동성을 추구하는 차량중심에서 안전과 공유의 사람중심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로다이어트는 보행친화정책의 일환으로써 기존 차량중심의 도로횡단 구성에서 보도를 확장하고, 차도 등을 축소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이용자 중심의 횡단면을 구성하는 도로 공간으로의 재편을 말한다. 도로다이어트의 실효성 평가와 사회적 요구는 점점 증대되고 있으나, 그 간 시행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나 다양한 지역에 특화된 정책 제시는 미흡한 실정이며, 우선순위로 선정된 장소에 대한 적정성과 사업효과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은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도로다이어트 시행에 따른 보행자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보행자가 체감하는 만족도 요인을 클러스터링하고, 요인별 중요도를 선별하여 도로다이어트 추진 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향후 도로다이어트 추진 방향 설정 및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구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로다이어트를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요인분석에 의해 구분된 성분을 ...
최근 교통정책의 패러다임은 이동성을 추구하는 차량중심에서 안전과 공유의 사람중심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로다이어트는 보행친화정책의 일환으로써 기존 차량중심의 도로횡단 구성에서 보도를 확장하고, 차도 등을 축소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이용자 중심의 횡단면을 구성하는 도로 공간으로의 재편을 말한다. 도로다이어트의 실효성 평가와 사회적 요구는 점점 증대되고 있으나, 그 간 시행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나 다양한 지역에 특화된 정책 제시는 미흡한 실정이며, 우선순위로 선정된 장소에 대한 적정성과 사업효과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은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도로다이어트 시행에 따른 보행자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보행자가 체감하는 만족도 요인을 클러스터링하고, 요인별 중요도를 선별하여 도로다이어트 추진 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향후 도로다이어트 추진 방향 설정 및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구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로다이어트를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요인분석에 의해 구분된 성분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리스크감소와 편의성증대의 두 가지 성분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중 편의성증대 성분이 리스크감소 성분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편의성증대 성분에 포함된 세부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최종모형을 산출하였다. 최종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업지의 토지이용형태를 학교, 주거, 상업, 업무지역으로 구분하여 편의성증대 성분의 세부항목을 재분석한 결과, 토지유형별로 도로다이어트에 대한 보행자 만족도 영향 요인들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행자 만족도를 최대화하는 도로다이어트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로 보행자들의 Needs를 만족시키는 계획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향후 설문조사시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으로 구분하기보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른 리스크감소와 편의성증대 2가지 성분으로 항목을 개발하고, 조사하는 것이 더 유의미한 조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로다이어트 만족도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했으며, 토지유형별 세부모형을 구축하여 각 지역별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교통정책의 패러다임은 이동성을 추구하는 차량중심에서 안전과 공유의 사람중심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로다이어트는 보행친화정책의 일환으로써 기존 차량중심의 도로횡단 구성에서 보도를 확장하고, 차도 등을 축소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이용자 중심의 횡단면을 구성하는 도로 공간으로의 재편을 말한다. 도로다이어트의 실효성 평가와 사회적 요구는 점점 증대되고 있으나, 그 간 시행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나 다양한 지역에 특화된 정책 제시는 미흡한 실정이며, 우선순위로 선정된 장소에 대한 적정성과 사업효과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은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도로다이어트 시행에 따른 보행자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보행자가 체감하는 만족도 요인을 클러스터링하고, 요인별 중요도를 선별하여 도로다이어트 추진 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향후 도로다이어트 추진 방향 설정 및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구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로다이어트를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요인분석에 의해 구분된 성분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리스크감소와 편의성증대의 두 가지 성분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중 편의성증대 성분이 리스크감소 성분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편의성증대 성분에 포함된 세부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최종모형을 산출하였다. 최종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업지의 토지이용형태를 학교, 주거, 상업, 업무지역으로 구분하여 편의성증대 성분의 세부항목을 재분석한 결과, 토지유형별로 도로다이어트에 대한 보행자 만족도 영향 요인들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행자 만족도를 최대화하는 도로다이어트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로 보행자들의 Needs를 만족시키는 계획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향후 설문조사시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으로 구분하기보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른 리스크감소와 편의성증대 2가지 성분으로 항목을 개발하고, 조사하는 것이 더 유의미한 조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로다이어트 만족도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했으며, 토지유형별 세부모형을 구축하여 각 지역별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the transportation policy paradigm has shifted from a motorized vehicle to a human being-centered paradigm for safety and mode sharing. Road-diet refers to the re-organization of road space from an existing vehicle-centered road cross configuration to a pedestrian and bicycle user-focused ...
Recently, the transportation policy paradigm has shifted from a motorized vehicle to a human being-centered paradigm for safety and mode sharing. Road-diet refers to the re-organization of road space from an existing vehicle-centered road cross configuration to a pedestrian and bicycle user-focused geometry as reducing roadways and expanding sidewalks. While the effectiveness and social demands of road diets are increasing in urban area, it is still insufficient the research on evaluation of road diet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policy specialized in a variety of regions which are selected as the priority loc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essential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useful road-diet projects by clustering the specific factors affect the high level of pedestrian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selected factors were taken to establish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oad diet.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Seoul Metro City, which is actively enforcing a road-diet. From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two crucial factors such as risk reduction and convenience increment were found, and they were appli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to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s that the factor of convenience increment has more impact on pedestrian satisfactory than the risk reduction factor. With the outputs, we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s contained in the factor of convenience increment by land use. The land use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residential, commercial and business areas, and appli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final model. Each type of land use demonstrate that particular factors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pedestrians satisfaction and policy makers could carry out to implement a road diet project that maximizes pedestrian satisfaction, It would be more meaningful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two factors, risk reduction, and convenience incr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ather than dividing them into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factors for future surveys. Moreover, we demonstrate that it can predict the level of road diet satisfac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ing approaches and be plausible building individual models by the land use type to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in each location.
Recently, the transportation policy paradigm has shifted from a motorized vehicle to a human being-centered paradigm for safety and mode sharing. Road-diet refers to the re-organization of road space from an existing vehicle-centered road cross configuration to a pedestrian and bicycle user-focused geometry as reducing roadways and expanding sidewalks. While the effectiveness and social demands of road diets are increasing in urban area, it is still insufficient the research on evaluation of road diet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policy specialized in a variety of regions which are selected as the priority loc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essential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useful road-diet projects by clustering the specific factors affect the high level of pedestrian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selected factors were taken to establish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oad diet.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Seoul Metro City, which is actively enforcing a road-diet. From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two crucial factors such as risk reduction and convenience increment were found, and they were appli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to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s that the factor of convenience increment has more impact on pedestrian satisfactory than the risk reduction factor. With the outputs, we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s contained in the factor of convenience increment by land use. The land use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residential, commercial and business areas, and appli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final model. Each type of land use demonstrate that particular factors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pedestrians satisfaction and policy makers could carry out to implement a road diet project that maximizes pedestrian satisfaction, It would be more meaningful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two factors, risk reduction, and convenience incr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ather than dividing them into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factors for future surveys. Moreover, we demonstrate that it can predict the level of road diet satisfac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ing approaches and be plausible building individual models by the land use type to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in each lo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